
EAI 컨퍼런스 “쿠데타 이후, 미얀마 민주주의의 미래”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 | 2021-04-16
동아시아연구원(원장 손열)은 미얀마 쿠데타와 시민 불복종 운동에 관해 시의성 있는 민주주의 협력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 <쿠데타 이후, 미얀마 민주주의의 미래> 컨퍼런스를 개최했습니다.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2020년 총선이 부정선거라며 쿠데타를 일으켰습니다. 아웅산 수지 국가고문을 포함한 정부 지도자들을 구금한 이래, 시민 불복종 운동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2020 미얀마 총선 후 설문조사 프로그램을 운영한 동아시아연구원의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강화 팀과 국내 미얀마 및 동남아 전문가가 한 데 모여 미얀마 민주화의 미래에 관한 토론을 펼쳤습니다.
4월 16일 (금) | 내용 | |
14:00 - 14:10 (KST) 오프닝 |
- 개회사: 손열(EAI원장, 연세대 교수) | |
14:10 - 15:10 (KST) 제1세션 |
미얀마 총선(2020) 후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토론 - 사회: 손열 (EAI원장, 연세대 교수) |
|
발표 | 배진석 (경상대 교수) | |
토론 및 질의응답 | 정한울(한국리서치 여론본부 전문위원) 장준영(한국외대 교수) |
|
15:10 - 15:30 (KST) 휴식 |
||
15:30 - 17:00 (KST) 제2세션 |
미얀마 민주주의 전환의 문제점과 국제사회의 민주주의 보호 지원방안 - 사회: 이숙종 (EAI 시니어펠로우, 성균관대 교수) |
|
발표 1. 미얀마 민주주의 전환의 구조적 문제점 | 박은홍(성공회대 교수) | |
발표 2. 미얀마 군부 쿠데타와 시민 보호에 대한 아세안의 대응 | 이재현(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
발표 3.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한국의 대응과 미얀마 민주주의 지원 가능성 | 김헌준 (고려대 교수) | |
발표 4. 미얀마 사태를 둘러싼 한국 정부와 시민사회의 대응 | 이현윤(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
토론 및 질의응답 | 웨 노에 흐닌 쏘(행동하는미얀마청년연대) 배현진(외교부 동남아2과) |
|
17:00-17:10 (KST) 클로징 |
- 폐회사: 이숙종(EAI 시니어펠로우, 성균관대 교수) |
[비디오 타임라인 정보]
00:00:30 개회사
00:07:00 제1세션 미얀마 총선(2020) 후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토론
01:10:40 제2세션 미얀마 민주주의 전환의 문제점과 국제사회의 민주주의 지원방안
민주주의 협력
미얀마 시민사회 역량 강화
[EAI 컨퍼런스] 한국 민주주의 미래와 제도개혁: 위기와 대안 I & II
| 2021-04-16
EAI 창립 22주년 기념 후원의 밤
| 2021-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