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연구원(EAI)이 최근 실시한 ‘2025 양극화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국민의 71.5%가 중국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엄사태라는 정치적 위기 속에서 증폭된 반중 감정과 각종 가짜뉴스가 판치며 여론이 더욱 왜곡된 양상을 띠고 있다. 문제는 한중관계의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세대조차 이런 인식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변화의 기로에 선 양국 관계, 오는 6월 출범할 새 정부는 어떤 스탠스를 취해야 할까? 한중우호협회(회장 신정승)는 7일 중국전문가포럼을 열고 ‘여론으로 보는 한중관계: 한일관계 인식과 비교 분석 및 함의’를 주제로 해법을 모색했다.

▶손열 동아시아연구원장 (발제)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반중 감정은 2021년 코로나19팬데믹을 기점으로 최고치인 73.8%를 기록한 뒤 현재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과거 한일 관계에서도 보기 어려운 수치이며 사실상 북한에 대한 인식 수준에 근접하는 결과다. 

실제로 우리 국민은 2016년 사드 사태 이전까지 중국에 대해 비교적 우호적인 태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사드 보복을 계기로 반중 정서가 급격히 확산했고 이후 10년에 가까운 기간 양국 관계는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는 '잃어버린 10년'을 맞이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유발한 요인으로는 사드 보복·역사 문제에 따른 갈등·중국 지도자에 대한 비호감·미세먼지 등 다양한 외부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발표된 한중 관계 여론조사는 과거 한일 관계가 악화됐던 시기를 떠올리게 한다. 한일 관계는 2010년대 초중반에 최악의 상황을 겪었지만 2021년부터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경험을 거울 삼아 한중 관계 역시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선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일본에 대한 국민들의 호감도 변화는 세 가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30대 중심으로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선진국 세대’로 선진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경험을 가진 이들이다. 관광과 직접적인 소비를 통해 일본의 문화와 사람을 체험하면서 양국 관계에 있어 구조적인 지지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윤석열 정부의 관계 개선 의지가 호감도 상승에 큰 영향을 끼쳤다.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일본에 대한 국민 인식도 큰 폭으로 변화했다. 윤 정부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일본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반면 문재인 정부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일본에 부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에 대한 인식 변화에는 한미 관계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한미 관계가 원활히 유지되기 위해서는 한일 관계의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이는 일본에 대한 본질적인 호감이라기보다 한미일 삼각 협력 구조 속에서 한일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한 결과로 풀이된다.

최근 발표된 중국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의외로 2030세대 청년층에서 비호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0~60대에 비해 약 13%p 높은 수치다. 청년층이 중국에 대해 갖는 호감 요인으로는 '고도 경제 성장을 이룬 국가'라는 정체성이 일정 부분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정서는 부정적 인상이 더 강하게 반영된다. 젊은 세대는 주변에서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자주 접하게 되며 중국산 저가·저품질 제품에 대한 경험과 한국 내 중국인에 대한 인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반중 정서를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략)

6대 프로젝트

세부사업

Keyword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