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의 관계 개선이 좀처럼 진행되지 않는 이유는 정치적 리더십이 결여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무라 칸 일본 고베대 교수는 17일 제주도 하얏트리젠시호텔에서 '한일관계의 과거를 넘어 미래로'를 주제로 열린 2015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국제학술행사에서 "한국정부가 영토나 역사인식문제에서 일본의 자세 개선을 촉구하면서도 그 목적을 달성한 것처럼 생각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무라 교수는 "일본정부에 대한 한국정부의 강경한 자세에도 아베 정권의 지지율은 여전히 높고 일본의 국제적 고립도 진행되지 않았다"며 "'바른 비판'을 하면 '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할 만큼 우리가 사는 세계는 단순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우리 정부가 원하는 목적을 실현하려면 반일감정에 기대 아무 행동도 취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양국 관계 개선을 통해 원하는 바를 취하려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무라 교수는 "양국 수뇌가 직접 회담해 관계 개선의 출구를 모색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렵게 되는 게 사실이나 그럼에도 빠른 시기에 수뇌회담을 실현해 양국관계를 회복하려는 과감한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일관계가 근래 보기 어려운 수준으로 악화되면서 양국 국민 간 감정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는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인식 조사를 인용해 일본이 우리나라의 협력 대상이라는 응답률은 지난해 11.3%로 역대 최저로 떨어진 반면, 적대 대상이라는 대답은 18%로 가장 높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인이 일본에 대해 나쁜 인상을 받은 이유로는 역사문제(74.0%·중복응답), 영토문제(69.3%)가 대표적으로 꼽혔다.
강 교수는 그러나 "양국관계에서 민족주의가 정치적으로 활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서로 자극하지 않으려는 정부 차원의 노력과 함께 공동의 이해관계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데이시 다다시 일본 NHK 해설주간은 한일관계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발표했다.
이데이시 해설주간은 "한국의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시민단체 '언론 NPO'가 시민 2천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2회 한일 공동 여론조사'를 보면 한국과 일본 응답자의 90% 이상이 모두 자국의 뉴스미디어에서 상대국과 양국관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문제는 양국 미디어는 자국 정부나 국민에 편리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측면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라며 "다양한 의견이나 관점을 전달하기보다는 대중의 스트레스 발산 수단이 돼 버린 게 아닌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학술행사는 동북아역사재단 등이 주최하고 우리나라 외교부와 일본국 외무성이 후원했으며 오는 19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