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재·보궐선거 결과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참패였다. ‘서울의 호남’이라는 관악과 ‘야권의 심장’이라는 광주에서의 패배는 ‘야권연대’의 필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선거 다음날인 30일 문재인 대표가 “더 크게 계획하고 더 크게 통합하겠다”고 한 것만 보더라도 ‘야권 분열’이 패인이었음을 시인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향후 문재인 대표와 제1 야당의 진로와 관련, ‘야권 연대’의 기틀을 다시 마련해야 하는 동시에 당내 통합과 단결을 이뤄내야 하는 과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야권 분열'이 가장 큰 패배 요인, 다만 문재인에 책임 전적으로 물을 수 없어
전문가들은 이번 4.29재·보선에서 새정치연합이 전패한 가장 큰 이유를 ‘야권 분열’에 있다고 입을 모았다.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타 정한울 수석연구원은 30일 ‘민중의소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선거 결과로 놓고 보면 여당에게 ‘성완종 사건’ 등 불리한 악재가 많았지만 결국 제1야당의 분열 때문에 여당의 승리로 결과가 나왔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도 “문 대표 본인이 조장하지는 않았지만, 결국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과 천정배 의원의 탈당을 용인하는 모양새가 되면서 야권분열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는 없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 상태에서 지도부가 조기사퇴할 경우 당이 마땅한 대안없이 더 큰 혼란에 휩싸일 수 있어 문 대표의 사퇴까진 이어지진 않을 전망된다. 김한길·안철수 전 공동대표 시절 실시된 7.30 재보궐 선거 패배로, 지도부가 전원 사퇴한 후 당내 혼란이 커졌던 '경험' 역시 적잖은 부담이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당내에서는 지난해 김한길·안철수 지도부가 7.30재·보선으로 무너진 뒤 혼란한 상황이 온 것에 대한 학습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문 대표 이후 대안도 없다는 점을 봤을 때 사퇴 요구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당내에서도 문 대표에게 모든 책임을 지울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흩어지지 말고 스크럼 짜고 단결할 때. 첫째도 단결, 둘째도 단결, 셋째도 단결"이라며 지금은 '문재인 책임론'을 거세게 제기할 때가 아니라고 말했다. 전략기획위원장인 진성준 의원도 “어떻게 문 대표만의 책임이겠느냐. 선거 패인은 야권분열이 첫번째고, 두번째는 맞춤형 후보공천을 못한 것 아닌가”라며 “후보를 잘 골랐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문 대표가 그것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한 것이 아니고 지난해 ‘전략공천 파동’ 이후 이번 선거에는 전략적으로 공천하기에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선거 결과에 대해 지도부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선 부분적인 인적쇄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지도부의 사무총장 이하 임명직들은 선거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야권연대 필요성 부각...문재인, 연대를 위한 큰 가치 마련해야”
이번 참패로 ‘야권 연대’의 필요성이 부각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또 제1 야당에게 주어진 과제가 크다고도 강조했다. 특히 향후 총선과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모든 야권 세력이 '합의' 가능한 큰 가치를 마련하는 것이 문재인 대표의 과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영일 평론가는 “다음 총선에서 야권연대는 당연히 필요하다. 2007년 대선 이후 야당의 연패는 모두 야권연대의 실패가 이어진 결과”라며 “야권연대에는 야권 세력이 분명히 합의할 수 있는 큰 가치, 장기적인 비전이 필요하다. 그것을 문 대표가 만든다든지 새정치연합이 주춧돌이 된다든지 이런 메시지와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 대표는 그동안 안보에서는 중도를 주창하며 외연을 확장하려 했으나 실패했다”면서 “새정치연합에게 가장 잘 맞는 포지션에서 야권 구도를 어떻게 짤 것인지 건축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희웅 센터장도 “지금 야권 성향층은 특정 정당에 대한 일체감이 강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새로운 세력이 나오면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에도 국민모임이나 천 정배를 추동한 ‘호남신당’ 등 ‘제3세력’의 출현 가능성이 높아 야권에서는 분열을 막는 문제, 연대를 이루는 문제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당내 균열이 최악, 쪼개진 제1야당을 복구해야
다만, 1차적으로 당내 통합이 우선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진성준 의원은 “향후 천 의원이 이른바 ‘호남신당’을 만든다고 하니 실제로 정당으로 세력화 되는지 지켜봐야겠지만, 군소정당과의 후보단일화에 실패한 것보다 더 큰 문제는 당내 인사들이 탈당한 것”이라며 “이것은 당내 요인, 우리 당의 분열 문제다. 그런 점에서 극복할 과제”라고 말했다.
정한울 수석연구원도 “천 의원이 ‘호남정치 복원’을 내세우자 야당 내에는 ‘호남 대 영남’으로 큰 균열이 만들어졌다. 현재 야당 내 균열은 사상 최악의 상태”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탈계파를 통한 당내 통합 과정에서 철저한 자기반성과 실제로 행동으로 보여주는 통합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