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美·中·러 전문가들, 한반도 통일 '시각' 및 대응방안 소개

  • 2014-09-25
  • 박대로기자 (뉴시스)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 국가들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남북한 통일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과 이에 대한 대응방안들이 제시됐다.

 

리난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반도국제포럼'에 참석해 "통일한국이 미국의 위성 국가가 될 것을 우려하면서 미국이 중국 봉쇄정책을 펼칠 경우 미군을 안전한 거리에 두지 못하기 때문에 한반도 통일에 반대하는 의견이 중국에 있다"고 소개했다.

 

리 연구원은 다만 "중국과 한국, 미국이 고위급 정치·군사적 접촉을 통해 미·중간 전략적 신뢰를 강화하고 공포감을 완화하며 오해를 해소할 경우 3국은 한반도 통일에 관해 궁극적 합의에 이를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바실리 미헤예프 러시아 국제경제·국제관계연구소(IMEMO) 부원장도 "구소련 시기 러시아는 동맹인 북한이 주도하는 한반도 통일에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통일을 반대했으나 오늘날 러시아는 한반도 통일에 긍정적 내지는 중립·긍정적 입장"이라고 러시아 여론동향을 소개했다.

 

미헤예프 부원장은 "한반도 문제가 러시아 대외정책에 중요한 관심사안이 아니라는 점, 독일과 동유럽의 경험에 비춰봤을 때 통일 이후 북한 지역에 대한 국제사회의 막대한 투자가 필요할 것이란 점, 통일 이후 현재와 같은 수준의 경제 금융분야 협력을 한국으로부터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탓에 한반도 통일에 중립·긍정적인 의견이 있다"고 전했다.

 

후지와라 기이치 일본 도쿄대 교수도 "한반도에 대한 전후 일본인들의 인식이 여전히 냉담하다"며 "결국 이런 인식이 변화돼야 일본의 한반도 통일 지지를 얻어낼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반면 주변국의 동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일부 있었다.

 

프랭크 자누지 미국 맨스필드재단 사무총장은 "중국은 한반도 통일을 지극히 실용적인 관점에서 평가할 것이며 통일과정 속에서 베이징이 서울의 손을 들어주는 방향으로 귀결될 것"이라며 "중국정부가 지지하는 6자회담이 종점 협상과 남북화해를 포괄한다는 점에서도 중국이 한반도 통일을 지지할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견해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