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세월호 후속 조치 효과 주목
ㆍ박 대통령 대국민 담화와 새 총리 인준 국면이 ‘고비’
6·4 지방선거 후보 등록이 15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며 여야가 본격적으로 선거 스타트라인에 섰다. 세월호 참사 수습 국면에서 여당이 반전의 계기를 잡을지 관심이다. 현역 단체장의 프리미엄, 이념·세대 간의 대결 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1) 세월호 후속조치 반전카드될까
초반 레이스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신뢰’ 경쟁에서 갈릴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후폭풍에 휘청이고 있다. 정부 대응이 총체적인 난맥상을 보이면서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은 40%대로 떨어졌다. 덩달아 여당 지지율도 30%대로 추락했다. 그간 박 대통령 리더십에 기대온 탓이다.
동아시아연구원 정한울 여론분석센터장은 “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와 신임 총리 인준 국면이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정성 있는 사과와 해법을 내놓고 납득할 수 있는 개혁안을 제시하면 이탈층이 다시 지지층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연일 세월호 책임론을 꺼내들고 있다. 결과는 미지수다. 무기력한 모습이 함께 부각되면서 ‘야당 실종’ 국면이 장기화되고 있어서다. 20~30%에 달하는 무당층 중 여당 이탈층이 야당으로 이동하지 않은 채 ‘숨은 표’로 머물러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당은 공천 갈등으로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 전문가들은 “단합된 체제로 대여 견제를 이끌지 못하면 역풍이 불 수 있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2) 이념·세대 대결 벌일까
‘세월호 변수’가 이념·세대 대결로 번질 경우 야당은 불리해진다. 각종 여론조사의 적극 지지층 결집 추이를 보면 야당 후보가 여당 후보를 앞서더라도 적극 지지층 조사에선 격차가 좁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 대결 징후도 보인다. 리서치&리서치·동아일보 여론조사에서 ‘세월호 참사로 야권을 지지하게 됐다’는 응답이 20~30대에선 70%를 넘어섰다. 반면 60대 이상에선 ‘새누리당을 지지하게 됐다’가 ‘야권 지지로 기울었다’는 응답보다 2배 이상 많았다.세월호 참사를 두고 보수 진영도 정부 책임을 따지는 상황이어서 이념 대결 구도는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때는 여야의 대안 마련 능력이 중요해진다.
(3) 현역 프리미엄 먹힐까
현역 광역단체장의 경쟁력이 유지될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세월호 참사 전만 해도 ‘여, 정당 우위 대 야, 인물 우위’ 구도가 확연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로 너도나도 비슷한 ‘안전 공약’을 내놓고 있어 지명도 높은 인물이 결국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세월호 참사에 따른 선거 캠페인 중단으로 현역 단체장이 유리하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