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대선에서 올드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유권자는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에, 뉴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유권자는 문재인 민주당 후보에 투표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현진 성신여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최근 펴낸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5: 패널조사를 통해 본 2012 총선과 대선’에서 “진보와 보수 간 대립이 치열했던 만큼 미디어 선거전도 치열했던 18대 대선에서 미디어를 이용하는 유권자들은 분명하게 나뉘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신문, TV 등 기득권층의 영향력이 큰 매체를 많이 이용하는 유권자들일수록 박근혜 당선인을 선택했다”면서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유권자들일수록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같은 유권자들의 미디어 이용 방식에 대해, 서 교수는 미디어가 유권자의 태도를 변화시키기보다는 기존 태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보였다고 진단했다.
서 교수는 보수 성향 유권자는 보수 성향 언론이나 방송을 지속적으로 접촉해 자신의 가치와 믿음을 더욱 강화시키고 보수쪽 후보에게 투표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진보 성향 유권자는 진보쪽 미디어 접촉을 빈번하게 하고 이를 통해 지지 입장을 분명히 한 뒤 진보쪽 후보에게 투표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진단이다.
서 교수는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고 개인적이고 선별적인 미디어 선거전이 확대될 향후 선거에서 오히려 미디어가 기존의 세대 간, 이념 간 균열을 더욱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에서 서 교수는 EAI·SBS·중앙일보·한국리서치 공동 2012 총선 대선 패널 조사 자료를 사용했다. EAI 여론분석센터는 지난 2006년 지방선거부터 패널 조사를 진행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