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수도권 투표율 75% 안팎… 광주 80.4% 최고

  • 2012-12-19
  • 김진우·송윤경기자 (경향신문)
ㆍ15대 대선 이후 최고치

ㆍSNS 통한 독려도 한몫

 

제18대 대통령 선거 투표율이 크게 치솟았다. 1997년 15대 대선 이후 최고치다.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한 이후 5차례 치러진 대선에서 투표율이 줄곧 내림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히 ‘투표율 폭발’이라 할 만하다.

 

중앙선관위가 19일 집계한 18대 잠정 투표율은 75.8%였다. 앞선 두 번의 대선 투표율을 크게 앞서는 수치다. 18대 대선 투표율 63.0%를 12.8%포인트나 앞선 것은 물론 17대 대선 투표율 70.8%를 5%포인트차로 훌쩍 뛰어넘었다. 앞선 5차례 대선에서 투표율은 1987년 13대 때 89.2%를 기록한 뒤 14대 81.9%, 15대 80.7%로 계속 낮아지는 추세였다.

 

투표율 상승은 이날 오전 일찍 예고됐다. 중앙선관위가 오전 9시 집계한 투표율은 11.6%였다. 지난 2002년 16대 대선 때 같은 시간대 투표율 10.7%에 비해 0.9%포인트 정도 높아진 것이다. 이번 대선이 16대와 비슷한 양상이라는 점에서 당시 최종 투표율 70.8%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8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구(79.7%), 울산(78.5%), 경북(78.2%), 경남과 전남(이상 77.0%) 순이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전통적 강세 지역인 호남과 영남 지역에서 나란히 높은 투표율을 보인 셈이다.

 

이번 대선 승패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됐던 수도권은 서울 75.2%, 경기 74.9%, 인천 74.0%로 모두 전체 투표율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서울은 오전만 해도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으나 오후 들면서 투표율이 급상승했다. 또 다른 승부처였던 부산은 전체 투표율과 비슷한 76.2%로 잠정집계됐다. 투표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충남(72.9%)이었다.

 

이날 투표율은 선관위조차 “이렇게 높을 줄은 정말 몰랐다”고 할 정도로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앞서 선관위는 유권자 의식조사에서 적극적 투표의향층이 79.9%로 조사됐고, 대개 실제 투표율은 이보다 7~8% 정도 낮게 나왔다는 점에서 투표율이 70%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2002년 16대 대선 투표율은 70.8%였는데 당시 조사에서 적극적 투표의향층이 80.5%로 집계됐다. 17대 대선 때도 적극적 투표의향층이 67.0%였는데 실제 투표율은 63.2%로 나타났다.

 

투표율 상승의 배경으로 우선 이번 대선이 1997년 이후 처음으로 보수와 진보를 대변하는 후보 간의 양자대결로 구도가 짜여진 점이 꼽힌다. 양측 지지층이 확고하게 결집한 데다 선거 판도가 막판까지 초박빙 상황으로 전개되면서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이준웅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두 후보의 지지율이 완전히 딱 붙어서 열심히 선거운동을 하니까 유권자들이 투표를 통해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를 당선시키겠다는 열망이 컸다”며 “박빙이면 박빙일수록 한 표가 기여하는 가치가 커지면서 흥행의 이유가 됐다”고 말했다. 초접전 상황이 끝까지 이어지면서 유권자들이 자신의 한 표가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해 투표장으로 향했다는 것이다.

 

오프라인은 물론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온라인상에서 투표 독려 분위기가 형성됐다는 점도 투표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선관위 관계자는 “지난 대선과 비교하면 투표참여 독려운동을 선거운동으로 안 보니까 그게 가능해졌다”며 “SNS가 활성화되면서 투표를 독려하는 분위기가 더욱 강해졌다”고 했다. 실제 이날 유권자들은 투표를 한 뒤 온라인상에 ‘인증샷’을 올리는 등 투표 참여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이번 선거가 세대 선거의 성격을 띤 점도 거론된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50·60대 인구가 증가하고, 20·30대가 결집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