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 조사결과, 국회의원 정원 축소, 정당 보조금 삭감 등을 주장하는 '안철수 정치개혁안'에 대해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성정치권에 대한 정치불신이 극심하다는 사실이 재확인됐다.
29일 <내일신문>에 따르면, 동아시아연구원(EAI)·한국리서치가 지난 27일 전국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회의원 정원 축소를 중심으로 한 '안철수안'에 대한 공감률은 71.9%나 됐다.
반면 '지역구 축소, 비례대표 확대'를 중심으로 한 '문재인안'에 대한 공감률은 49.0%에 그쳤다.
정한울 EAI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내일>에 "최소한 현재의 논쟁구도에서 안 후보의 파격적인 주장이 국민여론에 당장 부정적 영향보다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며 "새누리당과 민주당 모두 현재의 정치불신에 최소한 절반씩의 원인을 제공한 정치집단으로, 최소한 정치쇄신에 대해서는 겸허한 태도를 보여야 국민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다자대결에서는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36.2%, 안철수 후보 29.4%, 문재인 후보 23.1%로 조사됐다. 지난달 22일 조사와 비교하면 박 후보와 문 후보는 2.2%p, 3.9%p 각각 상승했고 안 후보는 1.2%p 하락했다.
그러나 박근혜 후보는 양자대결에서 안철수, 문재인 후보에게 모두 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안철수-박근혜 양자대결에서는 안철수 51.8%, 박근혜 42.0%로 안 후보가 여전히 오차범위 밖에서 크게 앞섰다.
문재인-박근혜 양자대결에서는 문재인 47.5%, 박근혜 43.8%로 나타났다.
야권후보 단일화 대한 압력은 더 높아졌다.
전체 단일화 여론은 9월 조사에서 44.8%였지만 10월 조사에선 48.7%로 나타났다.
문재인 지지층(다자대결 기준)의 단일화 찬성률은 9월 76.1%에서 10월 83.9%로 크게 뛰었다. 안철수 지지층에서도 54.7%에서 62.6%로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