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영선 |
동아시아연구원(EAI)이 27일 서울 풍전호텔에서 연 ‘2020 한국외교 10대 과제’ 토론회도 그런 취지다. 토론회는 ‘한반도 공진화(共進化) 전략’과 ‘동아시아 복합 네트워크 외교’를 키워드로 삼았다. 공진화 전략은 한국과 북한이 서로 영향을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새로운 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복합 네트워크 외교는 한·미 동맹 일변도보다 유엔·중국 등과도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뜻이다.
연구원 이사장인 하영선(정치학) 서울대 교수는 “1991년 비핵화공동선언도,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햇볕정책도, 현 정부의 대북제재 모두가 비핵화에는 실패했다”며 “선(先) 비핵화 입장에서 한 발짝도 못 나가서는 해결책이 없다. 비핵화는 평화체제 논의와 동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새로 등장한 김정은 체제는 3년간 유훈인 선군정치를 시행하며 ‘핵 있는 과잉 안보체제’에서 ‘핵 없는 적정 안보체제’로 갈 수 있는지를 생각할 것”이라며 “핵이 없어도 미 제국주의와 남쪽의 위협, 중국의 외면이란 세 가지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모멘텀을 보려고 할 텐데 차기 정부는 이 기회를 잘 잡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박순성(북한학) 동국대 교수는 “노태우 대통령 시기 북방정책, 대북 포용정책이 공진화 1기, 복합네트워크 1기라면 주변 강대국 리더가 모두 바뀌는 2013년은 새로운 공진·복합 정책이 필요한 시기”라며 “남한이 먼저 대북정책을 바꾸자는 의미에서 포용(engagement)과 비슷하지만 더 확대된 개념이며 어떤 정부에도 설득력이 있다”고 말했다.
박근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 측 자문을 하고 있는 최대석(북한학) 이화여대 교수는 “박근혜 캠프도 우리가 바뀌어야 한다는 데 있어 공진전략과 인식을 같이하는 면이 있다”고 밝혔다.
하루 앞서 26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던 사단법인 ‘한반도 평화포럼’ 토론회에서는 2013년 차기 정부 통일외교안보 분야 10대 과제가 제시됐다. 지난 정부에서 ‘햇볕정책’을 주도했던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등이 주도해 만든 이 제안은 다자적 외교 논의보다는 대북문제에 집중됐다.
5·24 대북 제재조치를 해제하는 한편 내년 중 3차 남북정상회담을 실현해 매년 정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국가정보원의 정치 개입을 제도적으로 차단하되 해외 및 북한정보, 대테러 대응의 전문성을 높이자는 제안도 나왔다. 임동원 전 장관은 “평화정착과 남북공동번영이 새 정부의 절박한 과제”라며 “평화를 지향하는 후보가 이를 대선공약으로 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종석 전 장관은 “차기 정부는 북한주민의 자유권(인권) 신장과 생존권적 기본권 보장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며 “(차기 정부는) 유엔의 북한 인권결의안에 찬성하며 동시에 북한에 대한 상시적인 인도주의적 지원체제를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