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특정인 위한 부정 선거” 69% “민주당, 연대 깨야” 54%

  • 2012-05-16
  • 신창운여론조사전문기자 (중앙일보)
통진당 사태 … 중앙일보 여론조사

 

부정 경선 파문과 ‘기획 폭력’ 사태에 대한 국민 시선은 냉담했다.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15일 전국의 성인 남녀 9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 ‘특정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한 목적의 총체적 부정 선거’라는 응답이 68.6%에 달했다. ‘개별적 실무 착오에 의한 부실 의혹 선거’란 응답은 18.6%에 그쳤다(모름·무응답 12.8%).

 

당권파의 이정희 전 공동대표는 그간 ‘부정 경선’을 인정하지 않고, ‘관리 부실’이 있었을 뿐이라고 강변해 왔다. 반면에 당 진상조사위원회는 ‘총체적 부실·부정 선거’라고 규정해 왔다. 비례대표 부정 경선에 대한 성격 규정에서부터 당권파의 주장은 공감을 얻지 못한 것이다. 통합진보당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 가운데 64.8%가 총체적 부정 선거라고 답변했다. 당권파가 주장하는 ‘부실 선거’라는 주장에 동의한 이는 24.6%에 불과했다.

 

 

 

통합진보당이 당내 공식 행사에서 애국가를 부르지 않는 것에 대해선 응답자 5명 중 4명가량(80.7%)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해할 수 있다”는 의견은 18.3%에 그쳤다.

 

결론적으로 이석기·김재연 등 비례대표 당선인들이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76.3%)이 압도적이었다. 이 당선인 등이 ‘사퇴할 필요가 없다’(16.1%)는 의견보다 네 배가량 높았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도 파기해야 한다는 답변이 과반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54.1%가 “파기해야 한다”고 한 반면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36.4%였다(모름·무응답 9.5%). 다만 민주당 지지자라고 밝힌 사람들 가운데는 ‘파기’(39.3%)보다 ‘유지’(54.4%) 쪽이 우세했다. 통합진보당 지지자들 역시 “유지해야 한다” (55.6%)는 의견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에 지지 정당이 없는 이른바 무당파 유권자들은 ‘유지’(32.8%)보다 ‘파기’(52.2%) 쪽에 무게를 뒀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EAI)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제도권 정치에 대해 실망감이 높은 중도층이 야권연대에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며 “대선 국면에서 중도 혹은 무당파를 잡아야 하는 민주통합당의 자세가 앞으로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다.

 

통합진보당 사태의 ‘바람직한 해결방안’에 대해선 ‘분당’보다 ‘재창당에 준하는 쇄신’을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새로 출범한 혁신비대위를 중심으로 재창당하고 단합해야 한다’는 응답이 51.6%로 가장 높았다. ‘유시민·심상정 전 공동대표 등 비당권파가 떠나는 방향으로 분당해야 한다’(11.1%)거나 ‘이정희 전 공동대표와 이석기 당선인 등 당권파가 떠나는 방향으로 분당해야 한다’(24.9%)는 ‘분당론’은 그보다 낮았다. 다만 분당론자 가운데는 당권파가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두 배 이상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정당별 지지율은 새누리당 36.1%, 민주통합당 27.5%, 자유선진당 2.8%, 통합진보당 4.1%로 조사됐다. 기타 정당 2.0%, ‘모름·무응답’이 27.5%였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3월 말 조사 때의 34.8%에 비해 낮아진 31.4%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은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추출법으로 선정했다. 조사는 ‘집전화+휴대전화 RDD 방식’으로 실시했고, 최대 허용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3%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