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에게 호감을 느끼지는 않지만 정치에 적극적인 '행동하는 무당층(행동 무당층)'이 얼마나 투표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4·11 총선의 승패가 갈릴 전망이다. 통상 무당층으로 표현되지만 투표불참자와 달리 정치관심도와 '내가 정치에 참여하면 세상이 바뀔 수 있다'는 정치효능감이 높아 투표참여 가능성이 높은 '행동 무당층'의 선택이 변수라는 것이다.
9일 발표된 동아시아연구원(EAI)·SBS·중앙일보·한국리서치 '2012년 총선·대선 패널조사'에 따르면 유권자들의 정치효능감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투표는 아주 많은 사람들이 하기 때문에 내가 투표하는가 안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는 예시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84.1%에 달했다. '우리 같은 사람은 정부가 하는 일에 대해 말할 자격이나 능력이 없다'는 예시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절반을 넘어서는 51.8%였다.
◆정치효능감, 2030세대가 더 높다 = 특히 2030세대의 정치효능감은 5060세대를 뛰어넘었다. '투표중요성' 질문에 대한 민감도는 30대(97.3%)가 가장 높았고 20대(86.8%) → 40대(85.9%) → 60대 이상(82.5%) →50대(77.8%)를 기록했다. '정치참여' 질문도 마찬가지로 20대(70.9%)와 (59.6%)가 민감하게 반응했으며 50대(37.3%)와 60대 이상(41.9%)는 소극적이었다. 정치효능감이 높은 2040세대가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한 분석이다. 이같은 흐름은 2009년 이후의 각종 선거를 통해 입증된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치불신'이라는 반대의 작용도 있다. 같은 조사에서 '여야 모두 싫다'에 해당하는 정권심판론-야당비토론 모두 공감 응답자는 38.4%에 달했다.
반면 정권심판론 동의는 27.2%였고, 무책임한 야당 비토론 동의는 22.8%, 둘다 비공감은 11.7%였다. 상충적이긴 하지만 이 조사에서 나타난 양비론자는 2040세대와 이념적으로 진보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상 정치신뢰와 정치효능감이 비례하는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정한울 EAI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이러한 상충적 태도가 특정정당에 대한 쏠림 보다는 무당파 등 중간지대 유권자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들의 향방이 현재의 균형 상태를 무너뜨리고 19대 총선의 향방을 가를 균형추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행동 무당층'이 19대 총선뿐만 아니라 올 연말 치러질 대선의 승부처라는 설명이다.
◆16·17·18대 승부 '2030 투표율'이 갈랐다 = 문제는 이들의 투표율이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과반을 확보한 배경에는 20대(44.7%)와 30대(56.5%)의 높은 투표율이 자리잡고 있다.
반면 2008년 18대 총선에서 이들의 투표율이 28.1%와 35.5%로 떨어지면서 한나라당의 압승으로 이어졌다. 물론 전체 투표율도 60.6%에서 46.1%로 하락했다.
분기점은 2030세대 투표율 50%. 2000년 16대 총선 투표율은 열린우리당이 승리했던 17대와 비슷한 57.2%였지만 2030세대 투표율은 36.8%와 50.6%로 훨씬 낮았다. 전체 투표율도 중요하지만 2030세대 투표율이 민주당의 승리를 판가름하는 결정적인 변수였던 셈이다. 2030세대 투표율이 50%를 넘어설 경우 민주당에 유리하고, 50% 이하로 떨어지면 불리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정 부소장은 "선거 경합도가 높을수록 투표율이 높아지지만 여야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 투표율이 낮아진다"며 "경합과 정치불신이 동시에 높아지는 상황에서 선거결과를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연구교수는 "17대, 18대 총선 투표율이 60% 이하였던 만큼 2번 연속으로 투표를 포기한 유권자는 40% 수준"이라며 "이들이 이번에 투표하러 나오기가 쉽지 않겠지만 선거경합도가 높은 만큼 투표율은 50% 후반대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