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총선] 경합지역 갈수록 늘어… '이런 총선은 처음'

  • 2012-04-05
  • 이동훈기자 (한국일보)

[D-6] ■ 경합지역 갈수록 늘어 판세 오리무중

불법사찰 부각되며 되레 정권심판 주춤… 수도권 40곳서 박빙

 

청계천서도 "투표합시다",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참여 독려를 위해

청계천에 설치한 4·11총선 서울지역 출마자 174명의 선거벽보 아래로 4일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최흥수기자

 

"이런 총선 처음 본다."

 

4ㆍ11 총선을 일주일 앞둔 4일 여야 정치권 관계자들이 일제히 내뱉는 하소연이다. 결과를 종잡을 수 없는 게 선거 승부라지만 "이번 총선은 그 정도가 심하다"는 게 이들의 한결 같은 얘기다.

 

우선 판세가 갈수록 오리무중이다. 여야 관계자들과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수도권 112개 선거구 가운데서 40개가 오차범위 내 경합 지역"이라고 입을 모은다. 이전 총선에서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1,000표 이내서 승부가 갈린 지역구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아니다. 게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혼전 지역이 늘어나기까지 한다. "이번 총선이 1,000표 이내에서 당락이 결정되는 지역이 가장 많은 선거로 기록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어느 당이 1당이 될 것이란 기본적인 가닥도 잡히지 않는다. 탄핵 후폭풍 속에 치러진 17대 총선이나 대선 승부의 여파가 총선까지 영향을 미친 18대 총선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확연하다. 이전 총선에선 대세는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선거 전문가들이 이번 총선은 정권심판론의 압도적인 영향력 아래 치러질 것으로 봤다. "야당의 싱거운 승리로 끝날 것"이라는 게 한결 같은 전망이었다. 새누리당에선 "탄핵 역풍이 불던 17대 총선의 121석은 고사하고 100석도 쉽지 않을 것"이란 우울한 전망까지 나왔었다.

 

하지만 여야가 공천 작업에 들어간 2월 말을 전후해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그 이유를 여당 지지층의 조기 결집에서 찾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제주 해군기지 이슈가 부각되고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전면에 등장해 대선과 총선의 연계성이 커지면서 보수층이 조기에 결집하는 보기 드문 양상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이런 마당에 민주당에서 공천 잡음이 불거졌고, 야권 단일화 과정도 순탄하지 못했다. 급기야 "새누리당이 1당을 할 수도 있겠다"는 관측까지 나왔다.

 

하지만 지난달 말, 민간인 사찰 파문이 불거지면서 선거판이 다시 출렁이고 있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새누리당의 상승세를 꺾고 박 위원장 뒤에 숨어 있던 청와대를 선거 한복판에 불러냈다는 점에서 사찰 논란은 야권에 호재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물론 그 영향력에 대해선 논란이 분분하다. 윤 실장은 "폭로 과정의 문제로 현 정부가 일방적으로 비난 받아야 할 사안이 논쟁거리가 됐고 효과가 반감했다"고 지적했다. 사찰 논란이 과잉 부각돼 정권심판론까지 덮어버리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정권심판론의 토대는 경제ㆍ민생 문제인데 정치적 논쟁에 가려지는 측면이 있다"며 "중도층이 '정부도 싫고 야당도 싫다'는 식의 냉소적 반응을 보이면 투표율이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결국 어느 쪽으로의 일방적 쏠림은 아직까지 없다. 민심의 추는 좌우를 오가다 다시 균형을 맞춘 형국이 됐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현재로선 민주당이 다소 유리해 보이지만 수도권 2,3석 승부에 따라 1당도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승부를 예측하기 힘들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