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투표율 공식'이 통용되는 이유는 세대별로 여·야(與野) 지지율의 차이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평소 투표를 잘 하지 않던 20·30대의 투표 참여가 높아져서 투표율이 상승할 경우엔 이들이 많이 지지하는 야권이 유리해진다는 것이다. 이번에 '투표율 45%'가 기준선으로 등장한 근거는 얼마 전 치러진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다. 당시 투표 직후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투표자 25.7% 중 한나라당 안(案)인 '단계적 무상급식' 지지가 85.5%였다. 전체 서울 유권자로 환산하면 22%였고, 투표장에 다시 나올 가능성이 큰 장·노년층이 다수였다. 투표율이 이들의 두 배 이상인 45%를 넘길 경우엔 젊은층이 중심인 야권 지지층이 더 많이 투표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야권이 승리할 것이란 계산이다.
선거 판세가 접전(接戰) 양상으로 바뀌면서 투표율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야권은 무소속 박원순 후보에 대한 검증의 수위가 높아지자 "네거티브 공세로 정치에 대한 불신을 조장해 20·30대의 투표율을 떨어뜨리려는 술책"이라고 역공을 펼치고 있다. 네거티브 공세가 투표율을 하락시킨다는 것은 맞는 얘기다. 박 후보가 주도한 '낙천·낙선 운동'이 전개됐던 2000년 총선의 투표율은 57.2%로 건국 이후 당시까지 16차례 총선 중에서 최저치였고, 4년 뒤인 2004년 총선의 60.6%보다도 낮았다.
그래도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율은 평일에 치러진 역대 재·보선 평균 투표율 35%를 훨씬 상회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동아시아연구원의 지난해 6월 지방선거 직전 조사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가 서울에서 71%였고, 실제 투표율은 54%였다. 같은 기관의 최근 조사에서 적극적 투표 의향층이 65%인 것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45% 안팎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 트위터를 통한 투표 독려가 젊은층의 투표율을 더 끌어올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럴 경우 전문가들의 예측이 맞는다면 여당은 승리하기 어렵다. 투표율이 높아도 여당이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은 50·60대 이상이 주축인 여당 지지층이 무상급식 주민투표보다도 더 열성적으로 투표장에 나오는 수밖에 없다.
이번 10·26 재·보선도 각 후보 측은 투표장에 나오는 유권자들의 연령대를 보면서 일희일비(一喜一悲)할 것이다. 하지만 여·야가 각각 '젊은 표(票)' '장·노년 표' 울렁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우리 정치의 미래는 암울하다. 가까운 장래에 가능할 것 같지는 않지만 투표율로는 승패를 예측할 수 없는 선거를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