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4일로 예정된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도 '반대'가 핵심 키워드다. 오세훈 서울시장 측에서 주장하는 '망국적 유령인 복지 포퓰리즘에 대한 반대'와 야권에서 주장하는 '아이들 밥숟가락 빼앗는 오 시장에 대한 반대'가 정면 충돌하고 있다. 특히 야권은 주민투표를 '선거 비용을 낭비하는 참 나쁜 투표'라며 아예 불참(不參) 운동을 예고하고 있어서 네거티브 싸움의 수위는 더 높아질 전망이다.
지금까지는 서울시민 대상의 여론조사에서 무상급식을 "소득 하위 50% 학생에게 단계적으로 하자"는 오 시장 안(案)에 대한 지지가 "소득 구분 없이 학생 모두에게 전면적으로 시행하자"는 민주당 방안보다 20%포인트가량 높다. 하지만 오 시장이 승리하려면 우선 서울시 유권자 836만명의 3분의 1인 278만명 이상이 투표를 해서 투표함의 개봉 기준을 넘겨야 한다. 7월 23일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선 '단계적 무상급식'에 대한 찬성자가 59%였고, 이들 중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자가 36%였다. 서울시 유권자 수로 환산하면 오 시장 안의 찬성자 중 적극적인 투표 의향자는 178만명이다. 이들만 갖고는 투표함을 열기에 100만명이나 부족하다.
야권도 고민스러운 것은 마찬가지다. 지지층을 총결집해서 투표 결과로 이기는 게 떳떳하겠지만, 지금까지 여론조사 결과로는 별로 승산이 없다. 이보다 안전한 방법인 투표 불참 운동을 통해 투표함을 열지 못하게 하는 것은 유권자들에게 명분이 약하다. 7월 23일 동아시아연구원 조사에서 서울시민의 과반수(60%)가 "주민투표 불참 운동에 공감하지 않는다"고 대답했고,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도 절반에 육박하는 44%가 공감을 표하지 않았다. 야권의 투표 보이콧이란 고(高)강도 네거티브 전략이 공감대를 형성하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조사 결과다.
무상급식 주민투표와 관련, 눈길을 끄는 것은 여야(與野) 네거티브 공방(攻防)의 중심에 있는 저소득층의 선택이다. 여당은 "전면적 무상급식을 하게 되면 빈곤아동을 위한 각종 복지 지원이 축소된다"는 입장인 반면, 야권은 "단계적 무상급식은 가난한 아이와 부자 아이를 편 가르는 차별급식"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여야 모두 상대 측의 무상급식 방식을 반대하는 주요 이유가 '저소득층을 위해서'인 셈이다.
일단 저소득층은 여당 쪽 손을 들어주고 있다.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월소득 200만원 이하 계층은 여당의 '단계적 무상급식'에 대한 찬성이 67%로, 이들보다 소득이 많은 중상위 계층의 찬성률 평균인 57%보다 높았다. 이들은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의지도 45%로 서울시민 평균 35%보다 높았다. '무상급식 방식'이 누구보다도 저소득층에게 중요한 관심사란 의미다. 저소득층의 무상급식 의견에 중상위 계층이 관심을 갖고 동조할지 여부가 주민투표 승부의 결정적 변수 중 하나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