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북의 도발, 대북정책 논쟁 야기

  • 2010-11-30
  • Jaeyeon Woo (The Wall Street Journal)

▲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covering their faces to hide their identities, hold candles at a rally to denounce North Korea’s artillery shelling of Yeonpyeong Island, in Seoul November 29, 2010.

 

지난 화요일 북한의 연평도 폭격은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국민적인 논란에 더욱 불을 지폈다.

 

지난 토요일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동아시아연구원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68.6%의 응답자가 어느 정도의 군사적 대응을 더 했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이는 지난 4월 천안함 침몰시 이루어진 비슷한 여론조사에서 28.2%의 응답자만이 군사적 대응을 지지했던 것에 비해 가파르게 상승한 수치이다.

 

국회에서는 연평도 폭격으로 인해 지난 정부의 햇볕정책에 대한 논쟁이 거세졌다.

 

일요일,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반복적인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햇볕정책이 “완전히 실패”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어 “북한군의 민군 차별 없는 이번 공격은 국민 모두를 위장 평화의 깊은 잠에서 깨어나게 했다” 라고 말했다.

 

어제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가TV 토론에서 한 발언은 이런 비난 분위기를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안대표는 “진보정권 10년동안 60억 불이 넘어갔다. 그게 폭탄과 핵무기로 되돌아 왔다,” 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대해 야당들은 신속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한나라당은 “자기들의 책임은 뒤로 돌리고 계속 야당 탓만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 역시 트위터 메세지를 통해 한나라당에 “실패한 강경정책 책임전가”를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박 원대대표는 “북한을 대화장으로 이끌도록” 6자 회담 재개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 대표는 이어 동아시아연구원의 여론조사 결과 72%이 응답자가 연평도 폭격에 대한 대통령의 대응이 불충분했다고 대답한 결과를 강조했다.

 

이 기사의 영어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