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조직화’ 이뤄질까 … 현직 기초단체장 무소속 출마도 변수
역대 지방선거의 가장 큰 변수는 ‘정권 견제론(심판론)’이었다. 지금까지 치러진 4차례 지방선거 중에서 야권이 승리한 3차례가 전례다. 여권이 승리한 1번은 김대중 정부 출범 넉달 만에 치러진 것으로 견제론 보다는 여권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정서가 통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견제론이 먹힐까. 여론조사 전문기관 디오피니언 안부근 소장은 “심판론(견제론)이 기본이지만 아직까지 천안함이라는 현안이 이를 막고 있는 형국”이라고 분석했다.
◆천안함과 노무현 서거 1주기 = 통상 안보이슈는 여권에 유리하다. 불안심리가 확산되면 변화 보다는 안정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반면 천안함 침몰사고는 ‘안보위기론’과 ‘안보무능론’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여야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아시아연구원과 한국리서치, 중앙일보 등의 지방선거 패널조사에 따르면 천안함 사건으로 지지성향이 야당→여당으로 바뀐 경우는 18%였고 여당→야당은 15%였다. 여야 모두 유불리를 따지기 곤란한 수치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 영향은 아직까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지방선거에 영향을 줄 경우 한나라당에 불리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숨은 야당표 = 여론조사로만 보면 수도권 야권 유력후보들은 한나라당 후보들에게 10~20%포인트 가량 뒤지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이 수도권 승리를 자신하는 것은 여론조사로 드러나지 않는 ‘숨은 야당표’ 때문이다. 1996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야당의 조순 후보가 초반 20%포인트 가량 뒤진 여론조사 결과를 뒤집고 승리하기도 했다. 정치권에서는 통상 5~10% 가량이었던 숨은 야당표가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10~15%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나라당이 여론조사에서 앞서면서도 승리를 확신하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반한나라당’ 정서 = 각종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지지율은 30% 안팎으로 민주당을 압도하고 있다. 하지만 복합적인 이유에서 기인한 ‘반한나라당 정서’ 또한 만만찮다. 전문가들은 중간선거의 경우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이끄는 힘은 긍정적 정서가 아니라 부정적 정서라고 보고 있다. 한나라당 지지자 보다 반한나라당 정서를 가진 유권자가 투표장으로 갈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른바 ‘분노의 조직화’다.
◆같은 기호 찍는 줄투표 =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4장의 투표용지를 2차례에 걸쳐 받아 8번 기표를 해야 한다. 첫 번째는 교육감과 교육의원, 광역의원, 기초의원을 선택하고 두 번째는 기초단체장, 광역단체장, 광역비례의원, 기초 비례의원을 선택해야 한다. 같은 기호만 골라 찍는 ‘줄투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미 2006년 지방선거에서 줄투표 현상을 경험한 후보자들은 ‘좋은 기호’를 받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기초단체장 선거의 영향력 = 한나라당은 공천과정에서 현역 기초단체장 40%를 탈락시켰다. 특히 수도권 교체비율이 높다. 이들이 무소속을 출마할 경우 여당표를 잠식할 수 있다. 더구나 기초단체장 선거는 광역단체장 선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은 “서울은 물론 경기 기초단체장이 어렵다”며 “광역단체장 선거의 선행지수가 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경기 남부지역 아파트 가격하락과 선거결과의 상관관계, 20~30대 투표율 등이 관전 포인트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