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10일 여러 언론사가 실시한 여론조사들의 공통된 특징은 여야 후보간 격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일각에선 도리어 지지율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간의 '정권 심판론'(또는 '견제론')은 여전히 압도적이라는 자못 상반된 결과가 나오고 있다.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9일 SBS <8뉴스>에 따르면, <중앙일보>, 동아시아연구원과 공동으로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6일 전국 성인남녀 1천20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전화면접 방식으로 정례 패널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역대 지방선거의 최대쟁점인 '정권 심판론'에 대해 응답자 절반인 49.9%가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당시 집권당이던 열린우리당이 대참패했던 지난 2006년 지방선거 때의 '정권 심판론' 49.8%와 비슷한 수치다.
또한 10일 <내일신문>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9일 양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도 ‘이명박정부와 거대여당을 견제하는 선거’라는 답변이 42.9%로 ‘이명박정부 집권후반기 힘을 실어주는 선거’(30.1%)라는 응답을 크게 앞질렀다.
‘정권 견제론’은 50대 이상과 대구경북, 한나라당 지지층을 제외한 모든 지역과 세대에서 높게 나왔다. 특히 30대(55.1%)와 40대(48.0%)에서 견제론이 크게 높았고, 전통적 한나라당 텃밭인 부산경남에서도 ‘견제론’이 44.4%로 ‘안정론'(26.9%)을 크게 앞섰다.
그러나 이처럼 '심판론' 또는 '견제론'이 거셈에도 불구하고 충청-대전, 호남, 제주 등을 제외한 지역에선 한나라당이 아직 강세다.
여론조사전문가인 <디오피니언>의 안부근 소장은 <내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현재까지의 여론조사 추이를 보면 여야 후보간 격차가 크게 좁혀지지 않고 있다”며 “심판론이 기본이지만 아직까지 천안함이라는 현안이 이를 막고 있는 형국”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향후 수도권 광역단체장의 격차가 좁혀진다면 견제론이라는 기본성격이 힘을 발휘하는 것으로 봐야 하고, 그대로 유지된다면 천안함 등의 변수가 작용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SBS는 '인기없는 야당'에서 원인을 찾았다.
즉 '심판론'이 맹위를 떨쳤던 지난 2006년 당시에는 여당인 열린우리당 지지율이 22.4%, 한나라당이 39.2%로 야당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한나라당이 34.5% 민주당은 20.9%로 야당 지지율이 크게 낮다는 점이다. 요컨대 세간의 '정권 견제' 심리는 높으나, 야당이 이에 부응할 만큼 화이팅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현재 판세가 20여일 뒤, 6.2지방선거때까지 그대로 이어질까. 여든 야든 그렇게 속단하는 이들은 없다. 역대선거에서도 그랬듯, 몇차례 큰 출렁거림이 있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벌써부터 예기치 못한 돌출사건들이 터져 나오고 있다. 예컨대 현명관 한나라당 제주지사후보 동생의 금품 살포 의혹은 여권에 악재가 되고 있다. 10일 저녁 예고된 천주교의 1만명의 4대강사업 반대 명동집회를 비롯한 종교계의 거센 4대강사업 반대 싸움도 야권에겐 분명 악재다. 반면에 오는 20일로 예고된 군의 천안함 침몰원인 중간발표는 여권의 기대를 모으는 대목이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권후보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한 '심판론'이 기저에 깔려있다는 점은 여권에는 불안,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 한 예로 검찰의 '스폰서 검사' 조사활동이 진행중임에도 불구하고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이 검찰을 질타하면서 '특검' 얘기를 꺼낸 것도 선거전 발표 예정인 스폰서 검사 조사 결과가 "역시나"라는 국민적 실망을 낳으면서 선거에 악재로 작용하려는 걸 사전차단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되고 있다.
결국 '공'은 유권자에게 넘어온 셈이다. 정권을 견제하든 지지하든, 이번 선거가 끝나면 2년 뒤 총선에서나 '선택'이 가능하다. 그 사이에 몇차례 재보선이 있겠으나, '큰 선거'의 심판이 정국을 좌우하는 법이기 때문이다. 결국 유권자가 크게는 나라, 작게는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