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터넷이 올해 노벨평화상 후보에 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진 후 한국은 물론 각국 네티즌들이 "올해 노벨평화상은 인터넷에 주자"며 지지 견해를 밝히고 있다. 홈페이지(www.internetforpeace.org)가 개설됐으며 17일까지 6291명이 서명했다.
개인이 아닌 사물(기술)에 노벨평화상을 주자는 발상은 2006년 미국의 타임지가 올해의 인물로 인터넷 속 `당신(You)`을 선정한 것과 같이 신선하다.
PC에서만 사용하던 인터넷은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게임기 등)를 만나 `컴퓨터 네트워크` 수준을 넘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란 테헤란에서 선거 결과를 두고 유혈사태가 벌어졌을 때 트위터는 서방 세계에 소식을 알리는 중요한 수단이 됐다. 아이티 칠레 등에서 지진이 났을 때도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큰 도움을 줬다.
인터넷은 인간의 기본권이 되고 있다. 인간이면 누구나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매일경제와 동아시아연구원, 영국 BBC가 공동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세계 10명 중 7명(71%)이 인터넷 접근권을 기본권 차원에서 보장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했다. 한국인은 무려 96%가 이 의견에 동의했다.
한국은 인구 대비 인터넷 보급률이 77%에 달해 국내 어느 곳이든 언제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지만 인도는 인터넷 보급률이 7%에 불과하고 중국은 27%, 인도네시아는 13%에 머물러 있다. 인터넷 접근성이 빈부 격차를 유발한다.
이는 한국 정보기술(IT) 모바일 산업이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시사한다. G20 의장국이자 원조 공여국이 된 한국은 이제 IT 인프라스트럭처와 높은 기술 수준을 바탕으로 모바일 와이맥스(와이브로) 등을 통해 IT 원조 비중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