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신문이 영국 BBC월드, 동아시아연구원(EAI)과 함께 세계 26개국 2만797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세계 시민 10명 중 8명은 인터넷을 “인간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도구가 아니라 의식주처럼 누려야 할 기본권 중 하나로 이해한다”고 응답했다.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응답자도 10명 중 7명(71%)은 인터넷 접근권을 기본권 차원에서 보장해야 한다고 답했다.
인터넷 보급률이 호주에 이어 2위를 차지한 한국은 인터넷 접근권을 인간으로서 최소한 누려야 할 기본권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의견이 96%로 나타나 조사 대상 26개국 중에서 가장 높았다.
신흥 경제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브라질, 중국, 러시아 등 ‘브릭스’ 국가들은 기대와 현실 사이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접근이 기본권이라는 인식은 브라질 91%, 중국 87%, 러시아 70%로 선진국 국민과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었지만 실제 보급률은 브라질 34%, 중국 27%, 러시아 32% 수준에 그쳤다. 세계적 IT강국 인도는 인터넷 기본권에 대한 국민 인식이 다른 나라에 비해 61%로 낮고, 실제 인터넷 보급률도 7%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47%는 인터넷의 가장 큰 효용 가치가 정보 검색에 있다고 답했다. 최근 부상하는 소셜 네트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꼽은 이는 32%였다. 음악,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에 가치를 부여한 응답자는 12%, 온라인 쇼핑 등을 중시한 응답은 5% 등에 그쳤다.
한국 국민의 응답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무려 72%의 응답자가 정보 검색을 인터넷의 최대 효용가치로 꼽았고 커뮤니케이션 기능 13%, 소비ㆍ구매 정보 획득 6%, 엔터테인먼트 5%, 콘텐츠 생산과 공유 활동에 대한 응답은 3%로 소수에 그쳤다.
‘나는 인터넷 없이 살 수 없다’고 답한 응답자를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84%, 멕시코 81%, 러시아 71%, 중국 63% 순이었다. 한국은 54%를 기록해 5위를 기록했다. 반면 프랑스 42%, 영국 40%, 호주 38%, 미국 36%, 캐나다 35% 등 대부분 선진국들은 35∼42% 수준이었다.
네티즌이 인터넷을 사용할 때 우려하는 점으로는 인터넷 사기(32%)가 최우선으로 꼽혔다. 폭력적이고 노골적인 콘텐츠를 꼽은 응답이 27%, 사생활 침해는 20%, 콘텐츠 검열을 꼽은 응답이 6%로 뒤를 이었다.
반면 한국 네티즌은 사생활 침해에 대한 염려가 가장 컸다. 무려 41%가 인터넷 사용 과정에서 사생활 침해 문제가 걱정된다고 답했다. 폭력적·외설적 콘텐츠 문제를 지적한 응답이 22%, 인터넷 사기를 꼽은 응답이 20% 수준이었다. 또 국가 검열이 11%, 기업 영향력을 꼽은 응답이 3%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