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44.3%로 조사됐다. 지난달 44.1%에 이어 2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매일경제신문과 동아시아연구원(EAI)이 공동 기획해 지난 11~12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이 `매우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0.0%, `대체로 잘하고 있다`는 34.3%로 나타났다. 반면 `별로 못하고 있다`는 38.1%, `매우 못하고 있다`는 16.7%로 집계됐다.
이 대통령 지지율은 하락 후 반등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9월 44.5%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10월 41.8%, 11월 39.2%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반등하기 시작해 44% 선을 웃돌고 있다.
최근 지지율 오름세는 원자력발전 수주와 경제지표 개선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정한울 EAI 부소장은 "각종 지표가 다른 나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한국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제기되고 있는 데다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를 직접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호적 여론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집권 3년차를 맞는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로는 경제적 양극화 완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
37.2%가 경제적 양극화 완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경제 성장을 선택한 응답 비율이 21.0%로 그 뒤를 이었고 국민 통합 13.5%, 삶의 질 개선 10.0% 순이었다. 이 밖에 정치 개혁(6.1%)이나 국제경쟁력 강화(5.8%), 남북관계 개선(3.2%) 등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제시한 응답도 있었다.
지난해 2월에 동일한 질문으로 실시한 조사와 비교해보면 경제 양극화 완화를 선택한 비율이 3.3%포인트 늘어난 데 비해 경제 성장은 5.6%포인트 줄었다. 1년 새 양극화 완화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경제성장에 대한 요구는 낮아진 셈이다.
올해 경제성장률 등 각종 경제지표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고용 없는 성장` 가능성에 대한 염려가 여론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경제정책 방향만 놓고 볼 때 분배와 성장 가운데 무엇이 우선돼야 할지에 대한 질문에도 분배를 선택한 비율이 큰 폭 늘었다. 분배 우선론은 1년 전에 비해 7.0%포인트 상승한 48.5%를 기록했다. 반면 성장 우선론은 8.3%포인트 감소한 49.4%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 경제정책 운용에 고민이 커질 전망이다. 현재 정부는 그동안 경기부양을 위해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회수하는 `출구전략` 시행 시기를 고민하는 처지였기 때문에 지난해에 비해 정부 지출이나 저금리 정책 운용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국민 사이에 복지와 분배 요구가 커지고 있어 절충점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안보 문제와 관련해 자주외교를 지지하는 입장은 30.8%로 지난해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미국과 동맹 강화를 지지하는 여론은 43.7%에서 34.7%로 9%포인트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