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 정책 회귀 반대'도 英·獨과 함께 1위
한국, 미국 등 세계 주요 19개국 국민 중에서 현재의 글로벌 경제위기 주범이 미국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한국 국민이 가장 높았으나 현재의 경제난에 대처하기 위해 보호무역 정책으로 회귀하는 데 반대하는 비율도 한국 국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메릴랜드대의 국제정책태도프로그램(PIPA)이 한국의 동아시아연구원(EAI) 등과 함께 세계 19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경제위기에 관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PIPA가 22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대해 한국인 응답자의 68%가 ‘나쁜 아이디어’라고 답해 영국, 독일과 함께 공동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홍콩 65%, 중국 63%, 미국 55% 등의 순으로 보호무역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보호무역 정책에 나쁜 아이디어라고 답한 19개국 전체 응답자의 평균 비율은 43%였다. 한국인 중에서 보호무역 정책으로 회귀하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로 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30%로 19개국 전체 평균 48%보다 훨씬 낮았다.
미국의 경제 정책이 글로벌 경제위기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의 72%가 ‘매우 그렇다’고 응답해 19개국 국민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한국인 중에서 미국 책임론에 대해 ‘약간 그렇다’는 응답 비율은 26%로 나타나 한국인의 98%가 미국 책임론에 동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다음으로 미국의 책임에 대해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나라는 독일(68%), 홍콩(63%), 인도와 터키(각 58%), 영국 (57%) 등의 순이다. 19개국 평균은 49%였다.
경제위기에 자국 정부가 제대로 대처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한국인 응답자의 80%가 ‘부족하다’고 답변해 한국이 우크라이나(85%)에 이어 두 번째로 자국 정부의 경제 살리기 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조치가 미흡하다는 19개국 전체의 응답 비율은 56%로 나타났다.
국제적으로 은행을 규제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돼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의 33%가 동의를 표시했으나 66%는 각국의 자율 규제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따라 한국이 19개국 중에서 자율 규제를 지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 마련 방안에 대한 지지가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