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지도자들의 리더십 부재가 심각하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그나마 낫지만 신뢰도는 35%에 그쳤다.
16일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가 운영하는 국제정책 프로그램 월드퍼블릭오피니언(www.worldpublicopinion.org)은 이같은 조사 보고서를 냈다.WPO이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인도 등 합쳐서 세계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20개 나라에서 1만 9751명을 설문한 결과다.
반 총장과 조지 부시 미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 등 8명을 놓고 세계적인 문제에 대처하는 능력 면에서 신뢰할 만한 인물이냐, 신뢰하지 못 하느냐를 물었다. 여론조사 신뢰도는 ±2∼4%다.
반 총장 다음으로는 푸틴 총리(32%),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30%), 후 주석(28%),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26%)이 비교적 나은 신뢰도를 받았다. 부시 대통령(23%)은 페르베즈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18%)과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22%)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아 체면을 구겼다.
부시 대통령은 ‘신뢰하지 못한다.’는 별도의 응답 부분에서 67%로 가장 높았다. 가장 믿지 못할 지도자로도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부시 대통령은 미국 내에서조차 42%로 브라운 총리(59%)에게 밀리는 수모를 겪었다. 그는 나이지리아에서 60%, 인도에서 45%의 지지를 받았다. 국가별로 따지면 반 총장은 한국에서 신뢰한다는 응답을 83% 얻었다. 이어 나이지리아(70%), 중국(57%)으로 그가 국제구호에 앞장선 나라에서 과반의 지지를 받았다.
한국에서는 브라운 총리가 57%, 후 주석 56%, 푸틴 총리 54%, 사르코지 대통령 48%, 부시 대통령 30%, 아마디네자드 대통령 21%, 무샤라프 대통령 1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월드퍼블릭오피니언은 “세계적으로 다수 지지를 얻는 지도자가 한 명도 없다는 점에서 세계가 리더십 공백상태에 빠졌다는 방증”이라고 풀이했다.
이 기관은 지난달 세계 19개국 1만 7525명을 대상으로 각국 지도자의 민주주의 의식을 조사, 발표한 적이 있다. 이 조사에서 국가가 국민 대다수의 이익보다는 소수의 이익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이 평균 63.4%나 차지했다.
이런 불만은 멕시코(83%), 미국(80%), 한국과 나이지리아(이상 78%) 순으로 높았다.50% 이하는 중국(30%)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