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운송·통신 등 실질 협력 확대
최근 러시아는 쇠락한 초강국 면모를 벗고 국제무대의 주연으로 돌아왔다. 전략·전술핵무기 재강화와 고성장을 통한 GDP 9위권 진입, 그리고 “에너지 우산”을 통한 러시아의 외교적 영향력의 강화라는 반전(反轉)을 이끈 주연은 지난 8년간 강력한 리더십을 행사해 온 푸틴 대통령이다. 동아시아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해 당사자’ 지위의 유지라는 수세적 태도를 벗고 지역질서의 ‘주주’로서의 비용을 부담할 의사를 분명히 했다. BDA문제 해결과 북핵 불능화의 기술처리 과정에서 “6자회담의 무임승차자”라는 오명을 씻을 적절한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제 러시아는 그간 감축해 온 극동군의 전략무기체계를 재강화하고 중국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동아시아 세력균형을 위해 노력을 시작하였다. 북한과는 정신적 유대를 넘어 채무 해결을 필두로 철도연결과 항만조차를 통한 운송협력, 전력망연결과 에너지협력, 북한 중공업 개·보수사업 등 실질협력을 강화해가고 있다.
궁극적으로 러시아는 이런 영향력 강화를 통해 자국의 명시적 입지가 불확실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과정을 지역 다자안보체제 건설로 연결시킴으로써 동아시아질서의 주주로서 안정적 지분을 제도화하는 장기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이런 러시아의 정책과 관련하여 새 정부는 다음과 같은 대(對)러 정책의 방향을 정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