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시민단체 신뢰 떨어지고…

  • 2007-11-01

<창간 16주년 특집-‘KOREA 2.0-사회>

시민단체 신뢰 떨어지고…

정치권과 기업 등 우리사회 기득권 세력과 집단에 대해 시민의 입장에서 균형잡힌 비판을 해야 할 시민사회단체들도 정파별 이합집산과 비타협적 자세 등으로 국민들의 신뢰를 잃고 있다.

 

주요한 사회적 이슈가 터질 때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해결책을 찾기보다는 정치적 성향에 따라 진보와 보수로 나뉘어 대립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이 단적으로 드러난 것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협상 과정이었다. 주요 진보단체가 모두 포함돼 있었던 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범국본)는 정부와의 대화를 거부한 채 여러 차례 불법적인 시위를 벌여 시민들의 질타를 받았다. 정부와 보수단체들도 이들을 껴안을 수 있는 대안 논리 마련은 등한시한 채 FTA 체결의 정당성 설파에만 몰두했다.

 

남북정상선언, 북방한계선(NLL)문제, 3불정책 등 사회 주요 현안에 대한 시민사회단체 차원의 토론회도 찾아 보기 힘들다. 그나마 있는 토론회도 같은 성향의 단체끼리 모여 찬양이나 성토만을 할 뿐이다. 문제는 대선이 다가오면서 이러한 시민사회단체들의 행태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보수와 진보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미 끼리끼리 모여 대선관련 단체를 만드는 등 영향력 행사에만 몰두하고 있다. 정치권의 치열한 이념갈등으로 대선이 갈등의 장으로 변해버린 상황에서 사회통합의 꺾쇠 노릇을 해야 할 시민단체들이 오히려 사회적 갈등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시민사회단체의 이러한 행태는 결국 신뢰하락으로 이어졌다. 지난 7월 동아시아연구원이 성인 남녀 1502명을 대상으로 한 파워집단 신뢰도 순위에서도 참여연대 14위, 경실련 15위, 전교조는 19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지난 2005년 같은 조사에서 각각 8위, 11위, 12위를 차지한 것에 비하면 이들 단체의 신뢰도는 급격히 하락한 것이다. 뉴라이트전국연합만 10위를 차지, 2005년 12위보다 2계단 상승했으나 시민사회단체의 전반적인 신뢰도 하락 기조를 막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