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차기 대선 최대쟁점 경제 문제될 것"
한국의 차기 대선에서 경제문제가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가 27일 전망했다.
뉴욕타임스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가 크게 하락한 이유를 경제문제에서 찾으면서 외형적으로 한국경제가 건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국민의 체감경기는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을 노 대통령이 간과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동아시아연구원의 정한울 연구원의 말을 인용, 노 대통령이 이념적 이슈를 바탕으로 대통령에 당선됐으나 이제는 유권자들이 이념 문제에 피로를 느끼면서 경제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신문은 지난 대선에 가장 큰 이슈였던 북한문제가 내년 대선에서는 경제에 밀려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야당이 노 대통령이 대북포용정책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지만 대북접근법에서는 급격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보여 결국 경제문제가 가장 큰 대선 이슈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대권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도 "차기대선의 가장 큰 이슈는 경제문제가 될 것"이라면서 대북포용정책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자신과 당의 입장이지만 포용정책을 중단하거나 거부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라고 밝혔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이 신문은 이 전 시장이 자신은 한국 영해 내 북한 선박 검색을 위한 미국 주도의 노력에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이는 한국민들이 "군사적 충돌"을 피하길 희망한다는 사실을 미국이 이해했을 경우에 한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사업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뉴욕타임스, 내년 한국 대선이슈는 `경제`
한국에서 가장 큰 이슈는 경제문제이며 차기 대선에서도 최대 쟁점이 될 것이라고 미국 유력지인 뉴욕타임스가 전망했다. 뉴욕타임스는 27일(현지시간) 국제면 주요기사에서 최근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가 11%로 하락했다면서 지지도가 하락한 이유는 대북정책이나 핵문제가 아니라 경제문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한국 경제가 외형적으로는 건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국민의 체감경기는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을 노 대통령이 간과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또 노 대통령이 경제에 대한 신경을 쓰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서 그에 대한 지지도가 2년 전에 30% 아래로 떨어졌고 올 들어서는 노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층이었던 젊은이들 사이에서 높은 청년실업 등으로 불만이 고조되면서 10%대로 하락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열린우리당 천정배 의원이 "우리가 지지를 잃은 주된 요인은 민생문제를 제대로 챙기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전체적인 경제는 나쁘지 않으나 평균적인 사람들의 생활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동아시아연구원의 정한울 연구원도 "유권자들이 이념 문제에 피로를 느끼면서 경제에 더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차기 大選 경제가 최대이슈”
NYT “유권자들 이념문제에 피로감” 보도
한국의 차기대선에서 최대 이슈는 경제문제가 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가 27일 서울발 기사에서 전망했다.
신문은 내년으로 임기가 끝나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가 11%에 그치고 있는 것은 다름 아닌 ‘경제문제’라면서, 한국 경제는 외형적으로는 건실해 보이지만 국민의 체감 경기는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을 노 대통령이 간과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동아시아연구원(EAI) 정한울 연구원의 말을 인용, “노 대통령이 이념적 이슈를 바탕으로 대통령에 당선됐으나 이제는 유권자들이 이념문제에 피로를 느끼면서 경제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지난 대선에서 가장 큰 이슈였던 북한문제가 내년 대선에서는 경제에 밀려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야당은 노 대통령의 포용정책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지만 대북 접근법에서는 급격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대권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도 “차기대선의 가장 큰 이슈는 경제문제가 될 것이며 그 다음이 북핵문제나 그 밖의 한반도 이슈”라면서 대북포용정책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자신과 당의 입장이지만 포용정책을 중단하거나 거부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라고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이 전 시장이 노 대통령과 달리 한국 영해 내 북한 선박 검색을 위한 미국 주도의 노력에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이는 한국민이 ‘군사적 충돌’을 피하길 희망한다는 사실을 미국이 이해했을 경우에 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또 이 전 시장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사업 등 북한과의 경제협력 관계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김계환특파원 · 위정환특파원 · 이문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