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대선 1년전, 국민 의식변화 조사…] 경제·사회의식

  • 2006-12-18
  • 박석원기자 (한국일보)

"분배우선" 70% → 45% 보수화 뚜렷
 
계속되는 경제 침체와 경기부진의 여파로 국민들의 경제와 사회 현안에 대한 의식도 보수화 경향이 뚜렷했다. 성장과 분배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3.5%가 ‘소득분배 보다 경제성장이 중요하다’고 대답, ‘분배를 우선해야 한다’ (45.3%) 보다 우세했다.

이런 결과는 본보가 2002년 5월 실시한 조사에서 ‘분배가 우선이므로 복지에 치중해야’(23.8%)하거나 ‘다른 분야 예산을 줄여서라도 복지예산을 늘려야 한다’(46.4%)는 ‘분배우선’ 입장이 70.2%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26.7%나 후퇴한 수치이다. 반면 2002년에는 ‘복지예산을 동결’(16.1%)하거나 ‘복지를 줄여서라도 성장에 집중’(11.2%)하자는 주장을 합쳐도 ‘성장 중시’ 의견이 27.3%에 불과했으나 4년반 만에 26.2% 나 늘어난 셈이다. 국민들의 의식이 ‘분배우선’에서 ‘성장중시’로 수평이동 중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성장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별로 50대이상(65.9%), 40대(54.4%), 30대(49.2%), 29세이하(39.2%) 순으로 조사돼 연령이 높을수록 고성장에 대한 욕구가 강했고, 젊은 층으로 갈수록 ‘분배 정의’에 대한 신념이 강했다. 지역별 편차도 두드러졌다. ‘성장 우선’ 인식은 대구(69%)에서 가장 강했고, ‘분배 우선’ 인식은 전남(61.9%)에서 가장 강해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민생직결 산업 종사자의 파업’에 대한 인식도 2002년 조사에서 65.1% 였던 부정적 인식이 73.7%로 약간 늘어났다. ‘특수 산업이므로 되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40.2%, ‘시민생활에 불편을 주므로 반대한다’는 의견이 33.5%였다. 특히 주부(76.6%)와 자영업자(76.5%)들의 반대가 가장 심했다. 전교조 활동에 대해서도 68.2%가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특이한 점은 ‘매우 부정적’의견을 낸 절대 반대층이 이 25.5%에 달한 반면 ‘매우 긍정적’인 절대 지지층은 2.7%로 미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