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역대 대통령들의 통치 스타일은 크게 군인 출신과 민간인 출신으로 나뉜다.
박정희(朴正熙).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전 대통령 등 군인 출신 대통령은 군대 조직을 운영하던 리더십을 국정 운영에 그대로 활용했다.
이들의 장점은 무엇보다 권한의 하부 위임에 철저했다는 점이다. 朴전대통령은 비서실장(金正濂)에게 경제팀 인사를 전적으로 맡기기도 했고, 全전대통령은 경제정책에 관한 한 경제수석(金在益)에게 완전히 의존했다.
이같은 통치 스타일은 경제 정책이 상대적으로 정치적 영향을 덜 받게 했으며 1980년대 초 경제 안정화에도 일조했다는 평가다. 盧전대통령도 경제 정책을 참모진에 크게 의존했다.
또 군대 조직을 운영한 경험을 살려 국정 시스템 운영에도 나름대로 능력을 발휘했다. 하지만 이 부분은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참모나 비서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려는 노력이 부족해 조직이 매우 비민주적으로 운영됐다는 비판이다.
반면 김영삼(金泳三)전 대통령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민주화 투쟁 당시의 "야당적 리더십"을 국정 운영에 그대로 적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들은 국정 운영에서 절차적 민주성을 지키는 데 역점을 두면서 군인 출신 대통령들과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군의 정치 개입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했고, 김대중 대통령은 인권.양심범.의문사 문제 등을 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측근이나 사조직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공조직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아 결국 시스템 운영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스타일이 야당 지도자로서 오랫동안 군사 독재에 맞서 싸우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갖게 됐다 하더라도 바람직한 리더십과는 거리가 멀다.
이들은 또한 민주화를 이끈 주인공이라는 자기 과신에 사로잡힌 나머지 실패의 쓴맛을 보기도 했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은 스스로 엄청난 독서량과 지식을 갖고 있다는 자신감, 이를 나타내 보고 싶은 자기 현시욕이 강해 각종 정책과 관련해 불필요한 말을 너무 많이 하곤 했다.
때문에 주위의 전문가들이 입을 다물게 됐고, 이는 결국 정책 실패로 이어졌다. 동양의 옛 현자들이 치자(治者)가 말을 많이 하는 것을 크게 경계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출신이 무엇이든 간에 朴전대통령을 제외한 역대 대통령이 모두 친인척 관리에 실패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