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물

MORE
[EAI 여론브리핑] 2025 대통령선거 결과 분석
논평·이슈브리핑
손열ㆍ송채린 편 | 2025-06-09
Ⅰ.제21대 대통령 선거 및 정책 우선순위 인식   ●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양극화 선거라 할 수 있다. 계엄과 탄핵에 따른 보수 진영의 분열 가능성, 한국정치의 극단적 정치 갈등에 대한 우려, 개헌 등 제도개혁 논의 분출, 여당 경선 과정에서의 난맥상, 제3당의 약진 가능성 등에도 불구하고 선거 결과는 진보-보수 양진영 결집으로 나타나 한국 정치의 양극화가 강고함을 보여주었다.   ● 한국은 양대 정당 간 정서적 분단 상태이다. 이념적으로는 다수(37.6%)의 중도층이 존재하나, 소수 강경보수와 강경 진보 그룹이 상대에 대한 혐오에 근거한 격렬한 정치적 논쟁으로 정치를 지배하고 있다. 이번 대선도...
[Global NK 논평] 미중해양세력전이, 1차 해양방어선, 그리고 한반도
논평·이슈브리핑
오인환 | 2025-06-04
■ Global NK Zoom&Connect 원문으로 바로가기   I.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해양조치계획(Maritime Action Plan: MAP)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지난 4월 해양지배권 회복(Restoring America`s Maritime Dominance)이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을 발표하였다. 여기에는 조선업 공급망을 재편하고 미국의 조선역량의 열세를 상쇄시키기 위해 가용한 모든 정책적 수단이 망라되어있다. 이 행정명령의 기본적인 목표들은 선박건조를 위한 안정적인 연방재정의 확보, 미국에서 제조되거나 미국국적으로 운용되는 상선들의 국제적 경쟁력 강화, 해양산업기반의 재건, 그리고 조선...
[신정부 외교 정책 제언 스페셜리포트] ④ 복합 대북전략과 남북관계의 재구성
스페셜리포트
박원곤 | 2025-05-27
I. 북한의 대외전략과 남북관계   1. 북한의 대외전략 북한은 신냉전의 세계를 추구한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2021년 최고인민회의 석상에서 최초로 신냉전을 언급한 이래, 2024년 12월 8기 11차 전원회의에서 “자주세력권의 장성과 약진이 두드러지고 패권세력권의 립지가 급격히 약화 쇠퇴”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패권세력권”에 반미 세력을 결집한 “자주세력권”이 충돌한다는 세계관이다.   북한은 냉전 시기와 같은 진영을 구축하기 원한다. 러시아와 협력을 확장하고 결국 중국을 포함한 진영을 확고히 하여 그 안에서 생로를...

행사

MORE

멀티미디어

MORE
멀티미디어
이재묵 | 2025-06-13
  이재묵 한국외대 교수는 “보수의 심장에서의 균열? 제21대 대선에서 본 지역주의 투표의 변주와 반복”을 주제로, 이번 대선에서 나타난 영남 지역의 투표 성향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이 교수는 2022년 대선 대비 2025년 대선에서 PK(부산·울산·경남)를 중심으로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이 상승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접전 양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하며, 이는 영남 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