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ㆍ남측 수석대표 조명균 장관, 북측 리선권 위원장 나올 듯…준비위 자문단 46명 구성도

정부는 남북정상회담 일정과 의제 등을 협의하기 위한 남북 고위급회담을 오는 29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열 계획을 21일 밝혔다. 

고위급회담 수석대표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맡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2차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22일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북측에 이같은 제안을 공식 전달할 예정이다.

남측 대표단은 조 장관 외에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관계자 1명씩 모두 3명으로 구성된다. 북측에선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이 단장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남측 대표단 구성에 맞춘다면 서기실과 통일전선부 관계자가 단원으로 나올 수 있다. 

김 대변인은 “고위급회담 의제는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 대표단 등 기본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상회담 개최일에 대해 “(우리 안이) 있기는 한데 지금 공개하는 건 부적절하다”면서 “양쪽 다 좋은 날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하면서 시기를 ‘4월 말’이라고 해둔 상태다. 

정상회담 의제는 한반도 군사적 긴장완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 등 평화공존 방안,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 방안 등이다. 고위급회담 결과 채택될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관한 합의서’에 2000년 6·15 공동선언과 2007년 10·4 공동선언의 정신이 언급될 수도 있다. 청와대가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를 구성하면서 경제부처 장관들을 배제시킨 만큼 남북 경협 등은 정상회담 의제에는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2000년과 2007년 회담과 달리 이번에는 고위급회담에서 큰 틀의 합의가 이뤄지면 추가 실무접촉 필요성은 높지 않다. 정상회담이 군사지역 내에서 열리므로 이동수단, 경호, 신변안전, 의전, 통신 등 주변적인 사항에 대해선 협의할 것들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정상회담 준비위는 이날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자문단을 원로 21명, 전문가 25명 총 46명으로 구성했다. 원로 그룹에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정상회담에 관여한 민주평화당의 박지원·정동영 의원, 박재규 경남대 총장, 정세현·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황원탁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포함됐다. 보수 인사로는 이홍구 전 국무총리, 홍석현 중앙일보 전 회장, 학자 출신으로 하영선·장달중 서울대 명예교수,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최완규 전 북한대학원대 총장, 여성으로는 이현숙 전 대한적십자사 부총재, 장상 전 연세대 총장이 참여한다. 전문가 그룹에는 양무진·임을출 북한대학원대 교수, 고유환·김용현 동국대 교수, 이정철 숭실대 교수, 김준형 한동대 교수 등이 포함됐다. 

6대 프로젝트

Keyword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