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장학금 받아도 … 저소득층 대학생 생활비 없어 휴학
| 2015-06-02
김성탁·노진호기자
생활비 연 200만원을 주는 장학금을 운영하는 동아시아연구원의 김가현 대외협력팀장은 “생보자나 차상위 계층 학생은 등록금 지원만으론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남수경 강원대 교수는 “독일에선 장학금이나 학자금 대출뿐 아니라 학생의 의식주 전반을 지원한다는 점을 참고할 만하다”고 말했다.
국가도 민간도 등록금 지원만 초점
생활비 대출 3년 만에 2배로 늘어
“등록금·의식주 균형 있게 지원해야”
조모(24·성균관대 4)씨는 시간당 8000원을 받고 학교에서 매일 세 시간씩 일한다. 부모에게 용돈 받을 형편이 아니어서다. 그는 국가장학금과 학교장학금으로 등록금을 지원받아 왔다. 하지만 생활비가 없어 1~2학년 때는 학원·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했다. 조씨는 “3학년 때부턴 취업 준비를 위해 한국장학재단에서 생활비로 400여만원을 대출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주거비나 용돈 등이 부족해 대출을 받거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친구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최모(24·고려대 2)씨는 외부장학금으로 이번 학기 등록금을 해결했다. 가정 형편상 국가장학금 지급 대상이지만 한 푼도 받지 못했다. 등록금 범위까지만 이중 혜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생활비를 벌려고 과외 두 개를 한다. 그는 “다른 일에 시간을 들이니 학업에 집중하기 어렵다. 장학금을 여러 개 받아도 등록금 액수까지만 주는데, 생활비를 조금만 보태줘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전체 대학생의 58.6%가 국가장학금을 지원받으면서 저소득층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은 확연히 줄고 있다. 하지만 생활비 부담은 여전하다. 국가장학금은 물론이고 대학이 안내하는 교외장학금도 대부분 등록금만 지원하기 때문이다.
본지가 연세대의 2015년 1학기 교외장학금 공지 내용을 살펴본 결과 생활비 지원이 가능한 교외장학금은 전체(69개)의 20%(14개)였다. 서울대와 고려대도 학교장학금 중 생활비 지원 장학금이 10% 미만을 차지한다. 등록금을 지원하는 장학금은 여러 개를 받더라도 등록금 액수까지만 중복 혜택을 볼 수 있다. 등록금을 초과해서 받은 게 드러나면 다음 학기 국가장학금을 받지 못한다. 교외장학금으로 등록금의 90%를 지원받은 학생이라면 국가장학금으론 10%만 채우고 나머지를 반환해야 한다. 그러니 생활비 부족에 허덕이는 것이다.
대학은 이런 저소득층 학생을 돕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어머니와 둘이 생활해 온 김모(23·고려대 경영학)씨는 지난 1월 아파트 화재로 어머니가 다치자 당장 병원비와 생활비를 마련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고려대 김동원 경영대학장은 “국가장학금이 도입돼 등록금 걱정은 덜게 됐지만 교외장학금도 여전히 생활비 지원을 안 하는 구조여서 학업을 포기하는 학생이 많다”며 “동문들이 급히 기부금을 모아 저소득층 학생에게 생활비를 대주는 장학금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생활비 대출 수요는 커지고 있다. 한국장학재단을 통한 등록금 대출액은 2011년 2조3622억원에서 지난해 1조7412억원으로 감소한 반면 생활비 대출액은 같은 기간 3231억원에서 6804억원으로 폭증했다.
서울대는 매달 30만원씩 생활비를 지급하는 장학금을 올해 신설했다. 서울대 장학복지과 관계자는 “1분위 이하 학생들은 등록금이 해결되더라도 생활비가 부족해 휴학하는 일이 잦다. 장학금 구조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국가장학금과 교외장학금이 저소득층의 등록금과 생활비 보조를 균형 있게 지원하는 쪽으로 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학가에서 나온다.
일부 민간 장학재단도 이런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생활비 연 200만원을 주는 장학금을 운영하는 동아시아연구원의 김가현 대외협력팀장은 “생보자나 차상위 계층 학생은 등록금 지원만으론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남수경 강원대 교수는 “독일에선 장학금이나 학자금 대출뿐 아니라 학생의 의식주 전반을 지원한다는 점을 참고할 만하다”고 말했다.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15-06-02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1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