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안철수 대결 땐 '원칙 vs 새 정치' 팽팽
| 2012-08-22
김정곤·강윤주기자
새누리당 대선 후보로 박근혜 후보가 확정되면서 이제 관심은 박 후보의 카운터파트에 모아지고 있다. 현재로선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민주당 경선 주자인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후보 등 4명 가운데 한 명이 대항마로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누가 야권의 단일 후보가 될지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박 후보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 이념·과거사 논쟁 등 진영 대결 치열할 듯
손, 온건 보수도 흡수… 중도층 쟁탈전 치열
김, 이장 출신으로 朴과 대척점… 인지도가 관건
민주통합당 문재인(왼쪽)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에서 열린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의 강연에 참석해 장
교수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대선 후보로 박근혜 후보가 확정되면서 이제 관심은 박 후보의 카운터파트에 모아지고 있다. 현재로선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민주당 경선 주자인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후보 등 4명 가운데 한 명이 대항마로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누가 야권의 단일 후보가 될지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박 후보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원칙의 정치 vs 새로운 정치
야권 후보 단일화 변수가 있지만 현재 지지율로 보면 안철수 원장이 박 후보에게 가장 위협적인 상대로 평가 받고 있다. 다자 대결 구도에서는 여전히 박 후보가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양자 구도에서는 두 후보가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박 후보가 '원칙과 신뢰'의 리더십을 내세운다면 안 원장은 '새 정치'의 상징이다. 세대별로는 박 후보가 50~60대 고령층의 지지가 강한 반면 안 원장은 2030세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때문에 팽팽한 싸움이 예상된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박 후보는 안 원장의 정치 경험 부재와 불안정성을 지적할 것이고, 안 원장은 박 후보를 '앙시앙 레짐'(구체제) 인사로 몰아붙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승부도 예측하기 쉽지 않다. 정치평론가 고성국 박사는 "안 원장이 야권 후보가 되면 안 원장을 지지하는 새누리당 지지층이 새누리당으로 돌아간다"며 박 후보의 승리를 점쳤다. 하지만 정치평론가 유창선 박사는 "안 원장은 야권의 전통적 지지층에 더해 중도층까지 흡수할 수 있다"며 안 원장 손을 들었다.
과거사 대결
민주당 경선 레이스에서 1위를 달리는 문재인 후보가 박 후보의 상대가 될 가능성도 있다. 문 후보가 민주당 후보로 뽑힌 데 이어 야권 후보 단일화 경선에서 안 원장을 제치고 야권의 단일 후보가 된다면 명실상부한 여야 대결이 이뤄지게 된다. 박 후보와 문 후보의 대결은 여야 대결뿐 아니라 이념과 정권 대결의 성격도 강하다.
박 후보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고, 문 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동지이자 최측근이었다는 점에서 과거사 논쟁도 치열하게 벌어질 수 있다. 두 후보 모두 복지와 국민 통합, 한반도 평화를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정작 선거전은 과거 정권의 공과를 거론하면서 철저한 진영 대결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
박 후보와 문 후보의 단순 양자 대결에서는 현재 지지율 차이처럼 박 후보의 우세를 점치는 견해가 적지 않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새누리당의 결집은 확고한 반면 민주당 경선과 야권 후보 단일화를 거치며 야권의 지지층은 분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박 후보의 중도세력 확장에 한계가 있으므로 문 후보가 더 유리하다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준비된 대통령·서민 대통령의 도전
손학규 후보가 박 후보의 대항마로 등장하면 중도층 쟁탈전이 치열하게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손 후보가 반(反) 새누리당 성향의 온건보수와 중도층을 흡수할 능력이 크다고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손 후보는 민주화운동 경력을 부각시키는 한편 경기지사와 장관 등을 거친 행정 경험을 들어 '준비된 대통령'을 강조하고 있다. 박 후보 측은 이에 맞서 손 후보의 당적 변경 경력을 집중 공격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지지율에서는 손 후보가 박 후보에게 크게 뒤지지만 실제 양자 대결이 벌어질 경우 손 후보가 선전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손 후보는 반(反)새누리당과 비(非)새누리당 표를 모두 흡수할 정도로 외연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손 후보가 안 원장 지지까지 업게 되면 박 후보에게 위협적인 상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두관 후보도 야권 단일 후보가 될 경우 박 후보와 선명한 전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장 출신으로 군수와 장관, 도지사를 지낸 경력으로 볼 때 김 후보와 박 후보가 가장 대척점에 서 있기 때문이다. 물론 김 후보의 낮은 인지도와 지지율이 대결의 성사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김 후보가 범야권 단일 후보가 된다면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면서 지지층이 급속히 확산될 것"이라는 견해와 "김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하더라도 본선에서 파괴력을 발휘하기 힘들 것"이란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北, 러시아 경제 지원 받는데도…물가는 왜 오르나
뉴스1 | 2012-08-22
[사설] 한-일 출입국 간소화, 협력 강화 위한 계기 삼아야
한겨레 | 201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