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시민, 평택개발 정부 역할 '부정적'<토론회>
| 2010-12-16
김명균기자
경기도 평택시민들은 미군기지이전에 따른 '평택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활동에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연구원 이곤수.정원칠 선임연구원은 16일 오후 평택대에서 열린 '시민과 함께하는 평택발전 대토론회'의 주제발표(평택지역개발정책의 시민만족도 평가)를 통해 "평택시민의 14.9%만이 평택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활동에 지지를 보일 뿐, 39.3%는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고 밝혔다.
경기도 평택시민들은 미군기지이전에 따른 '평택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활동에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연구원 이곤수.정원칠 선임연구원은 16일 오후 평택대에서 열린 '시민과 함께하는 평택발전 대토론회'의 주제발표(평택지역개발정책의 시민만족도 평가)를 통해 "평택시민의 14.9%만이 평택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활동에 지지를 보일 뿐, 39.3%는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11월 11∼12일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 평택시민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인용한 이들 연구원은 "정부에 대한 불신은 지역개발정책과 관련한 정부부처들이 평택시에 대한 정책적 배려나 관심, 행정적 지원 및 예산배정 등에서 당초의 결정을 지키지 않는다는 인식이 크기 때문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시장과 집행부(시)에 대한 반대율(32.6%)이 지지율(24.3%)보다 높고, 시의회와 시의원 역시 지지율13.5%에 반대율 39.4%, 시민단체와 경제단체는 각각 지지율 18.6%와 14.1%로 공공 및 사회부문 모두 시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04년까지 미군기지의 평택지역 이전에 대해 찬성 40.5%, 반대 28%이던 시민여론은 평택지원특별법 제정 등 지원과 보상책으로 인해 현재 찬성 49.5%, 반대 24.3%로 변화됐다.
정해진 경기개발연구원은 "평택시민들은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청소년 교육 및 치안, 환경분야에서 피해를 보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홈스테이나 호스트 패밀리 프로그램 도입, 미군기지내 영어캠프 확대 및 지역사회 영어학교 개설 등의 갈등해소 방안을 마련, 주한미군과 협력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삶의 질' 개별항목에 대한 평가에서 시민들은 교통과 정보통신, 재난구호 부문에 만족하고 있지만, 교육과 보건의료 및 후생복지, 여가 및 문화부문에 대해서는 불만족을 표시했다.
평택시와 동아시아연구원이 공동주최한 이날 토론회에는 시의회와 학계, 시민단체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10-12-16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10-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