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10명 중 7명 “북한은 우리 영토 아니다”
| 2020-07-06
김승현 기자
우리나라 영토에 대한 인식에도 현실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남한·한반도·한반도+만주의 세 지역으로 구분한 영토 인식 질문에 ‘한반도+만주 지역까지’라는 응답은 전 연령층에서 5.7~13.1%였다. 2005년 19~29%에서 10%포인트 넘게 낮아졌다. 우리 영토가 ‘남한 지역’이라는 응답은 20대의 경우 73.0%에 달해 2005년(36.7%)보다 2배로 늘었다. 다른 연령대에서도 54.0~66.0%의 응답 비율을 보였다.
20대 “북한은 남” 40~50대 “형제”
‘남한과 북한은 현실적으로 별개의 독립적인 국가’라는 데 긍정하는 답변은 90.2%로 나타났다. 2005년 77.7%였던 것에서 12.5%포인트 증가했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우리·형제·이웃·남·적 등의 단어 선택에서 나타났다. 평소 북한을 ‘우리’로 생각한다는 응답은 2005년 30.5%에서 2020년 13.9%로 감소했다. 반면에 적이라는 응답은 같은 기간 8%에서 19.1%로 증가했다.
북한에 대한 인식은 세대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30대의 부정적 인식이 45.7%로 가장 높았고, 40~50대가 31.2%로 낮았다. 60대 이상 노년층은 청년층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북한에 대해 20대는 남(24.4%)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1위였고 40~50대는 형제(22.7%)로 보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북한은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90.2%였고,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에 대해서는 현재 수준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46.5%로 가장 높았다.
김승현 정치에디터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20-07-06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2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