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석주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일상적으로는 잠재된 상태인 한일 양국의 민족주의가 역사 또는 영토 문제가 부상 할 때 상대국에 대한 혐오와 반발의 형태로 표출된다고 지적합니다. 저자는 한류 열풍에 대한 반작용으로 혐한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는 일본 내 배외주의와 애국주의의 확산을 이끌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외교를 비롯한 민간 교류 활성화를 제안합니다.

I. 서론

 

동아시아연구원(EAI)과 겐론NPO에서 실시한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지난 11년간 한일 양국 국민여론은 반일과 혐한을 넘어 관계개선을 향하고 있다. 반면 민족주의와 같은 부정적 인식이 한일관계에 갈등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민족주의는 평상시에는 잠재적으로 내재되어 있으나 한일 간 역사나 영토를 둘러싼 이슈가 발생할 경우 즉시 시위나 반발, 혐오로 표출된다. 예를 들어 2019년 한국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과 수출규제, 지소미아 해소 선언 이후 발생한 혐한이나 반일시위가 이에 해당한다.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에 따르면 일본의 경우 2022년도 한국의 정치와 사회의 상황에 대해 ‘민족주의’로 응답한 비율이 50.9%로 ‘민주주의’로 응답한 비율보다(43.3%) 높다. 이는 2013년도 보다 7.6%로 보다 높은 수치이며 2017년도 48.6%보다도 높다. 국민성에 대해서도 평화적이라고 응답한 비율보다 호전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볼 때 한일 간 역사와 영토를 둘러싼 갈등이 내재화·고착화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다만 해당 결과만으로는 한일 간 잠재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민족주의, 국가주의, 군국주의 등 부정적 인식의 원인이나 실체에 접근하는 것은 다소 한계가 있다.

 

이 글에서는 한일 국민상호인식조사를 대상으로 한일 간 부정적 인식이 나타나는 배경에 대해 정치사회적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동아시아연구원(EAI)과 겐론NPO의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가운데 일본 국민의 상호인식조사 부분을 활용한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적인 언설로서 ‘혐오’가 등장한 배경과 한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한다. 일본의 경우 민족주의는 주로 배외주의를 통해 표출된다. 배외주의는 외국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역사수정주의와 더불어 한일관계의 저해 요인이 된다. 배외주의는 사회에 대한 불만이나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계층이 확산되면서 불거진 사회 현상일 뿐 아니라 민족주의, 역사수정주의, 북한 납치문제 등 한일관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사회운동과 극우 내셔널리즘이 결합된 일본형 배외주의는 우파계 시민단체를 통해 한국과 관련한 혐한 뉴스를 발신하는 등 일본 국민여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한일 국민상호인식조사를 통해 상대국 대한 부정적 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토한다. 분석 대상이 되는 문항은 ‘부정적 키워드’가 제시된 질문으로 2013년부터 2023년까지 흐름과 변화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위의 분석을 토대로 지난 11년 간 한일 국민여론의 인식의 변화와 흐름을 설명한다.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주요 언론 기사와 미디어를 통해 한일 주요 쟁점이 한일관계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검토한다. 한일 양국 간 민족주의가 어떻게 확산되고 수렴되는지 변화와 흐름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한일 양국 국민의 민족주의 변수가 한일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흐름을 제시하고 향후 한일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민족주의를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일관계가 협력이 가능한지에 대해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결론으로 한일 관계개선을 위해서는 ‘혐오’의 언설을 넘어 공공외교와 민간교류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II. 일상적 언설로서 ‘혐오’와 한일관계

 

1. ‘혐오’언설의 구조와 한일관계

 

한일관계에서 혐오가 문제가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EAI 상호인식 조사에 따르면 2022년 한일 양국 모두 호감도가 과거 최고치 수준으로 나타났다(손열 2022). 비호감도는 최저치에 근접하는 등 한일 간 우호협력 분위기가 목격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 온라인을 통한 한국 문화의 확산은 일본인들이 한국에 대해 호감을 갖는데 비교적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인터넷이나 온라인상, 출판물에서는 혐한이나 반일 등 부정적인 언설이 유포되고 있다. 한국에 대한 혐오 감정을 나타내는 어휘인 ‘혐한’과 ‘재일특권’은 전통 미디어가 아닌 인터넷상에서 만들어졌다(히구치 나오토 2015, 287). 히구치 나오토는 혐한과 재일특권과 같은 용어를 널리 퍼뜨린 것은 『만화 혐한류(マンガ嫌韓流)』라고 보았다(히구치 나오토 2015, 287). 만화 혐한류의 대중적인 인기와 더불어 우익 인사들이 차례로 홈페이지나 게시판, SNS를 통해 인터넷상에 혐오 언설을 확산시켰다. 혐한 관련 서적이 출판시장에 등장하면서 전통적인 미디어 시장에서도 특정한 국가와 민족을 지칭하는 혐오는 일상적 용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처럼 일상적 언설로 나타난 혐오 표현은 사회적인 현상을 넘어 국가 간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호감도가 상승하긴 했으나 지난 10년 간 추이를 볼 때 역사와 영토, 위안부 문제 등 양 정부가 대립하던 시기 한일 양국에서는 혐오와 관련하여 혐한 현상과 반일시위도 적지 않게 목격되었다.

 

혐오 언설이 발생하는 구조와 확산은 다음<표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행위자 측면에서 혐오는 정치적인 영향력을 가진 정치가나 관료의 발언이나 언설, 지속적인 반복을 통해 대중으로 확산된다. 발언의 진위여부 보다는 행위자의 언설을 통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될 수 있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대내적으로는 제도적 측면과 대외적인 측면에서 한일관계를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틀에서 제도는 혐한이나 언설을 제한하는 제도의 유무를 말한다. 정치공간은 언설이 확산 혹은 제한이 이루어지는 유무형의 공간으로 성격에 따라 개방적 혹은 폐쇄적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조 아래 혐오는 사회적인 현상에서 국가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표 1> 혐오언설의 구조와 정치적 확산>

 

   

제도적 규제

   

강력함

느슨함

정치 공간

폐쇄적

혐한·반일 축소

혐한·반일

제한적 확산

개방적

혐한·반일

제한적 축소

혐한·반일 확산

 

 

한일 관계에서 혐한에 앞서 주목할 점은 넷우익과 정치적 영향력이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 상에서 반한 감정을 표출해왔으며 2005년에는 미디어에서 ‘넷우익’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넷우익은 기존우익과 달리 배외주의를 내세우며 최근에는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혐한 시위를 일으키는 단체로 성장했다(辻 2008, 16). 넷우익이 활동하는 사이버공간은 주로 2ch, 니코니코, 오픈재패니스 게시판, SNS 등이다. 넷우익은 끊임없이 한국을 비판하는 정보를 게시하거나 외국인차별에 관한 콘텐츠를 발신한다. 그러나 배외주의적인 언설과 달리 실제 넷우익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소수의 우익이 복수의 개별계정을 통해 활동하거나 주로 전자메일을 이용하여 활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규모를 알기는 어렵다. 분명한 것은 일본 사회에서 한국에 대하여 외국인 차별에 대한 혐오를 적극적으로 확산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이 같은 확산은 일본 보수의 우경화 현상과 맞닿는다. 나가노 고이치(中野晃一 2016)는 “일본의 우경화 현상은 역사인식이나 역사, 도덕교육에 관한 문제와 관련된다. 우경화는 모든 전쟁을 자존자위 즉 평화를 위한 전쟁이라고 정당화하는 야스쿠니사관을 중심으로 역사수정주의를 기반으로 한다“고 지적했다.

 

2000년대 들어 넷우익이 정치적으로 세력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2007년 사쿠라이 마코토를 중심으로 재특회가 결성되었다. 재특회는 한국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발신하며 2020년 현재 약 1만 7천명의 회원이 등록한 일본 최대 규모의 우익단체이다. 온라인상에서 소규모의 한정된 공간에 머물렀던 넷우익이 미디어를 통해 대중친화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본격적으로 정치활동을 하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일련의 흐름에는 사쿠라이 마코토를 비롯한 우익을 주도한 인물들과 미디어를 통한 대중화가 자리한다. 일본 미디어에서는 혐한에 의해 한류가 쇠퇴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되었다. 혐한의 분위기가 강해지면 한류팬의 거점이 줄어들 뿐 아니라 한국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는 것이다(<読売新聞> 2015/5/14). 혐한은 혐한책 출판 붐으로 이어졌고 실제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인은 2012년 351만명에서 2015년에는 30%이상 하락했다(<読売新聞> 2015/06/22; <朝日新聞> 2015/11/22).

 

2019년 이후에도 혐한에 대하여 반감을 갖는 기사가 드물지만 나타나고 있다. 도요케이자이(東洋経済)는 기사에서 “일본에서는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혐한의 감정적 언동이나 보도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다. 산케이신문 서울 주재 객원논설위원으로 2014년 『한국인의 연구(韓国人の研究)』를 출간한 구로다 가쓰히로는 반한이 놀랍다고 했다. 과거 일본에서도 반한 현상이 있었다. 예를 들어 1973년 김대중 납치사건을 제1차 반한 현상이다. 그 배경에는 한국의 공작원이 한국 대통령이 된 김대중씨를 일본에서 납치했다는 것에 대한 일본인들의 분노가 있었다. 지금의 반한은 일반 대중에게도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한류 열풍의 반동으로 한국으로 비판하고 있다. 서점에는 반한 책이 넘치는데 저자 대부분은 한국의 전문가나 관련 있는 사람이 아니다. 일본에서 한국이 그토록 비판받는 것을 보면 한국을 동정하고 싶을 정도이다”라고 했다.

 

혐한을 조장하는 발언에 대하여 사과하거나 자중하려는 목소리가 나타났다. 2019년 8월 30일 와이드쇼 프로그램 “고고스마 GOGO!SMILE!”에서는 이전 방송에서 나온 헤이트 스피치발언에 대하여 “ 8월 27일 방송한 한일 문제 관련 코너에서 한 헤이트 스피치는 해서는 안됩니다. 하물며 범죄를 조장하는 발언은 사람으로서 용서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중략… 헤이트나 범죄를 조장하는 것은 용인할 수 없습니다. 방송을 보고 불쾌하셨던 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올립니다”며사과했다. 저널리스트 니시무라 히데키(西村秀樹)는 “왜 텔레비전은 ‘혐한’을 부추기는가(なぜテレビは「嫌韓」を煽るか)”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고고스마의 사례를 거론하며 정치적 수단으로서 미디어의 책임을 말했다. 해당 기사에서는아베정권이 일본 국민에게 혐한 의식을 고취하고 배외주의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現代の理論』21号, 2019)

 

혐한을 제도적으로 규제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났다. 2016년 5월 ‘일본외 출신자에 대한 부당한 차별적 언동의 해소를 위한 법(헤이트 스피치 대책법)’을 제정했다.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제도적인 조치를 마련했다. 가와사키시에서는 지자체에서는 최초로 2019년 12월 ‘차별이 없는 인권존중 마을 만들기 조례(헤이트스피치 금지 조례)’를 제정했다. 이 같은 제도적 조치로 인해 헤이트 스피치나 혐한 등 무분별한 확산이 어느정도 제약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2. 기존연구 검토

 

최근까지 일본에서는 혐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했다. 다카하라 모토아키(高原基秋 2006)는 일본 사회에서 외국인에 대한 혐오가 발생하는 요인에 대해 급변하는 사회에서 발생한 고용불안과 사회적 불안이나 불만을 제시했다. 야스다 고이치(安田浩一 2015)도 일본의 사회적 경제적으로 소외된 계층으로부터 배외주의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히구치 나오토(樋口直人 2014)는 재일코리언에 대한 헤이트 스피치와 재특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다만 히구치 나오토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기존의 식민지 제국주의적 시각에서 한국을 부정하는 인식 즉, 혐한이 발생했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볼 때 혐한이나 그러한 인식이 한일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혐한 혹은 혐오 인식이 언론이나 미디어, 출판 등 매체를 통해 일반 국민에게 확산되는 것은 경계해야한다. 나아가 국가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일본의 혐한에 대하여 발생한 배경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혐한에 관한 연구는 문화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한영균(2013)은 반한류로서 혐한 현상을 나타났다고 보았다. 2000년대부터 한류 붐이 발생하였으며 2005년에 들어 반한류 현상으로 ‘혐한류’가 발생했다고 보았다. 정수영(2009)도 한류로 인하여 일상적 문화 교류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매스 미디어가 한류와 혐한류를 확대 재생산하는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강기철(2020)은 혐한이 발생하는 배경으로 출판사의 상업적 이익과 잡지시장의 불황, 인터넷 미디어의 출연과 영향력 확대로 보았다. 혐한 서적 출판 붐은 출판계의 이윤을 창출하는 구조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인터넷 상에서는 기존의 한국 멸시와 인종 차별주의가 표현의 자유라는 도구를 통해 표출 된 것으로 보았다. 박수옥(2009)과 송민수(2016)는 2ch을 통해 혐한과 미디어내셔널리즘의 발생 구조를 밝혔다. 한편, 혐한은 내셔널리즘과 민족주의, 재일코리안에 대한 차별적 인식이 내재되어 있다. 이 같은 시각에서 김웅기(2016)는 혐한의 현상으로서 헤이트스피치와 대상으로서 재일코리안에 주목하였다. 그는 질적 조사를 통해 재특회(在特会)와 조총련계 조선적자에 대한 혐한 시위의 양상과 피해자의 인식을 규명하였다.

 

혐한과 한일관계에 관한 연구로는 이명희(2021)와 노윤선(2016)의 연구 등이 있다. 이명희는 아사히신문의 사설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균형 잡힌 비판과 자성적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노윤선은 혐한에 대하여 포괄적 접근을 통해 한일 양국 관계의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했다. 예를 들어 출판이나 미디어, NPO의 역할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았다.

 

III.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분석과 '부정적 인식'

 

1. 혐한과 호감도

 

한일관계에서 혐한 현상은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까. 한일관계에서 혐한은 직접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사실상 혐한 문제는 특정한 국가나 민족에 대한 개인의 극단적 감정이 사회적으로 표출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혐한은 본질적으로 차별적, 구조적 문제를 내포하며 한일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문제는 혐한 현상이 온라인 상에서 SNS,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판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출된다는 점은 경계해야 한다. 혐한 문제는 사회 전체를 바라볼 때, 혹은 한일 관계를 볼 때 이례적이고 마이너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대중매체를 통해 혹은 뉴 미디어를 통해 여론에 확산될 때 파급효과는 적지 않다. 실제로 전쟁이나 폭동이 아니더라도 일상공간에서 발생한 분쟁이 인터넷 공간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되거나 여론을 형성하고, 사회적 문제로 확대된 경우가 적지 않다. 이같은 점에서 우리는 혐한 현상이 한일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장에서는 한일 국민상호인식 조사 가운데 부정적인 인식 에 관한 질문을 선별하여 10년간의 흐름과 변화를 제시한다. 혐한에 대해 연구한 다나베 슌스케(田辺俊介)는 혐한 현상의 원인에 대해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 개인, 사회적 인식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일본에서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저하되었으며 시기별로 다른 원인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2012년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상륙으로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배외주의가 표출되었다고 보았다. 반면 2013년의 경우에는 개인에 잠재된 애국주의 인식이 외국인을 향해 표출 된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해 다나베는 애국주의 하위 개념으로 ‘혐한’을 설명하고 개인이나 사회의 인식이 중요하다고 보았다(田辺俊介 2011). 이처럼 혐한이나 혐오는 특정한 민족이나 국가에 대한 극단적인 감정의 표출이나 그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인식이나 여론의 경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에서 드러나는 국가나 국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혐한의 원인과도 관련되는 만큼 해당 질문에서 중요한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장에서는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를 통해 일본인 혹은 일본 사회에 내재된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첫째,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와 더불어 안정성을 제시한다. 둘째, 객관적이고 균형 있는 질문을 통해 ‘감정’에 대한 부분을 객관적이고 균형 있는 질문을 통해 실증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국민이 지닌 ‘부정적 인식’이 국가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이를 데이터를 통해 장기간 관찰한 경우가 많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는 매우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다.

 

2.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분석 (2013~2023)

 

본 장에서는 일본의 상호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혐오와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항목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기는 2013년부터 2022년으로 10년간을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에 대한 일본 국민의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내는 질문으로 다음과 같다.

 

■ 한국이나 한일관계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는가?

 

■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인상은 어떠한가?

 

■ (일본이) 한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현재 한국의 정치와 사회의 상황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한국의 국민성: 평화적 호전적

 

■ 일본에 있어 군사적인 위협이라고 느껴지는 나라와 지역은 어디인가?

 

【질문】 한국이나 한일관계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는가?

 

 

위의 표에서 나타나듯 지금까지 일본은 주로 전통적인 미디어인 신문이나 텔레비전을 통해 한국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조사에 따르면 일본이 한국의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평균 90%이상이 언론매체라고 응답했다. 반면 직접 한국인과 대화하거나 한국에 방문한 경험은 10% 이내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물론 정보는 직접 경험하거나 보지 않더라도 얻을 수 있으며 신뢰성이 낮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전통적인 미디어는 객관성을 담보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한 이미지나 프레임 등 제한된 정보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외에도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상대 국가를 접할 기회가 많아진다면 상호인식이 개선될 여지가 있을 것이다.

 

【질문】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인상은 어떠한가?

 

 

지난 11년간 일본의 대한 호감도는 2016년을 정점으로 하강하는 추이를 보이다가 2019년 이후 꾸준히 상승했다. 2023년도에는 좋은 인상이 좋지않은 인상을 앞지르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한국에 대한 일본의 호감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좋지 않은 인상이 높았던 시기는 대부분 한일 간 역사나 영토를 둘러싼 갈등이 불거졌을 때이다. 2012년은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하여 한국에 대한 일본 국내의 여론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2015년은 한일 위안부 합의가 있었으며 2019년은 강제징용대법원 판결과 수출규제로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2020년부터 2021년 사이 코로나 사태로 한일 간 직접적인 교류가 낮아진 반면 일본 내 한국 드라마와 k-pop 등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했다. 2022년 윤석열 정권이 들어서면서 정부 간 우호 협력적인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한국에 대한 좋은 인상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질문】 일본이 한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난 10년간 한일 간 역사문제와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갈등은 고착화되었다.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10년간 일본이 한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지는 이유로 역사문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독도영토를 둘러싼 갈등은 응답률에는 거의 변화가 없으나 역사문제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정치지도자나 정부의 태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시기에 따라 매우 유동적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이후에는 한국 정부의 행동에 위화감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점차 낮아졌다. 2023년에만 실시하였으나 한국인의 반일감정 때문에라고 응답한 비중이 64.9%로 나타났다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 이를 종합하면 한일 간 역사문제나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갈등은 오히려 고착화 해갔다. 반면, 정치지도자와 정부와 관련해서는 시기별로 다르게 인식했다. 정치지도자나 정부의 태도는 여론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2023년도 결과에서 나타나듯 한국인의 반일감정 역시 일본에게 한국에 대한 호감을 낮추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질문】 현재 한국의 정치와 사회의 상황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의 정치 사회 상황에 대해 질문한 결과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난 응답은 민족주의며 다음으로 높은 응답은 국가주의이다. 반면 평화주의와 민주주의 등 긍정적인 인식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일본에서 인식하는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군국주의는 모두 부정적인 것으로 한국을 전쟁 상태로 보거나 혹은 역사와 영토를 둘러싸고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것과도 관련된다. 민족주의라는 응답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이 나타났다. 민주주의와 평화주의는 20%미만의 응답률을 보였으나 민주주의는 2015년부터 꾸준히 상승하여 2022년도에는 국가주의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한국이 일본과 마찬가지로 민주주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낮게 인식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그 배경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2021년도부터 한국의 정치사회 상황에 대해 민주주의라고 응답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2022년도에는 국가주의보다 민주주의가 훨씬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평화주의는 어떤 경우에도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다. 다만 군국주의는 2020년부터 다소 낮아진 반면 평화주의는 2019년도 이후 꾸준히 상승했다. 2022년의 경우 평화주의와 민주주의가 동시에 상승한 반면 국가주의와 군국주의는 하락하는 등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다소 완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같은 변화는 역시 코로나 시기 한국에 대해 우호적인 인식이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우호적인 인식이 증가한 배경으로는 코로나 시기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이어져 온 한류 붐에 더하여 코로나 시기 K-POP과 K-드라마 등 일본 내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이와 더불어 윤석열 기시다 정권에 들어 한일 정부 간 우호적인 분위기는 한국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데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질문】 한국의 국민성: 평화적 호전적

 

 

2013년과 2014년 조사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한국 국민에 대해 평화적인 성향보다는 호전적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2014년에는 평화적으로 보는 인식(10.7%)보다 호전적으로 보는 인식(41.5%)이 4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질문】 일본에 있어 군사적인 위협이라고 느껴지는 나라와 지역은 어디인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에 비하여 거의 군사적 위협이 있는 국가로 인식되지 않았다. 미국은 2015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2017년과 2018년에는 한국보다 미국이 군사적으로 위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상대적으로 군사적 위협이라는 인식이 줄어들었다. 2022년 일본에서 방위비를 증대시켰을 당시는 북한에 대한 위협 인식이 소폭 줄어든 반면 중국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전년도 보다 증가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에 대한 군사적 위협인식이 2022년부터 60%이상으로 나타났다.

 

위협인식을 보면 미국과 중국, 한국과 북한이 서로 대칭적으로 증가와 감소가 연동해서 나타난다. 또한 북한과 중국, 러시아 등 공산권 국가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역시 한국과 미국에 대해서는 낮은 위협 인식을 보인다. 그러나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한미 관계와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에 대한 위협 인식이 상반된 수치로 나타나는 것은 드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결과를 종합하면 일본은 군사적 위협에 대해 북한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반면 중국은 감소와 증가 등 당시 상황에 따라 군사적 위협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다. 러시아는 북한이나 중국보다는 군사적 위협을 낮게 인식했으나 미국이나 한국보다는 상위에 있다. 이는 이데올로기적인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과 미국은 가장 낮은 순위에 있으나 마찬가지로 동아시아 정세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변화가 나타났다.

 

그 외에 2019~2020, 2021년 시기의 일본 외무성 내각부 조사에서는 한국에 대한 친근감이 이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과 2022년에도 한국에 대한 친근감이 이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십 교체를 통한 새로운 정권에 대한 일본 국민의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리하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1여 년 간 한일관계는 상호인식이 개선되는 가운데 일본 내에는 한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일정하게 자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조사에서 따르면 부정적인 인식은 고정화된 것과 가변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한국과 일본 간 역사문제와 영토갈등은 고정화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한일관계에서 역사문제는 “일본의 ‘전후처리’와 식민지 문제 등 한일 간 견해의 차이가 좁혀질 가능성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견해가 대부분이다(남상구 2010). 따라서 한일 간 부정적인 인식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정부뿐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의 대응이 필요하다.

 

IV. ‘혐오’의 언설을 넘어서

 

최근 한일관계는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모색하는 가운데 공공외교와 민간교류가 강조되고 있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한일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반 국민을 설득하여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손열(2019)은 일본의 혐한 감정과 불신감을 완화하는 방안으로 공공외교를 제시하면서 “공공외교가 일본 국민을 상대로 한 우호 여론 조성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공공외교는 일반적으로 “자국에게 유리하게 상대국 국민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정부 또는 비정부 행위자의 의도적인 노력”으로 정의한다. 공공외교의 범위는 외국 국민들의 여론을 환기시키려는 정부의 노력, 각 국가 내 민간단체와 이익집단들 간의 상호작용, 외교문제에 대한 언론보도와 정책에 미치는 영향, 외교관과 해외주재원 등 커뮤니케이션 종사자들 간의 의사소통, 각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포함한다(황병덕 외 2012). 한국에서는 공공외교는 “전통적 외교와 달리 외국의 민간 대중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정부 및 비정부 외교 활동’을 총칭한다”는 설명도 있다(김태환 2012). 한국에서 공공외교가 필요한 이유는 “국제사회에서 중견국 한국의 전략적 입지를 다지고 국가이익을 실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공공외교, 경제적 안보적으로 강대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방법으로서 공공외교, 새로운 ‘기뢰의 영역’으로서 상당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김태환 2012).

 

일본에서 공공외교인 ‘퍼블릭 디플로마시(Public Diplomacy)’ [1]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2004년 5월에 발행한 외교청서(『外交青書』)이다. 외교청서에는 퍼블릭 디플로마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구미에서도 매스미디어를 포함한 통신수단의 발달로 모든 외국 국민 여론에 대하여 자국의 매력을 직접 이용하는 퍼블릭 디플로마시(대여론외교 또는 대시민외교)에 주목하여 추진하고 있다“. 2005년 외교청서에서는 퍼블릭 디플로마시에 대해 “전통적인 정부의 외교가 아닌 민간과 연대하여 다른 국가의 국민이나 여론에 직접 대응하는 정부의 외교활동으로 ‘대 시민외교‘ 또는 ’공보외교‘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지만 정확한 번역은 아직 없다”고 기술했다. 2004년 외무성 산하에 공보문화교류부를 설치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추진했다.

 

2014년 이후에 등장한 공공외교는 일본 정부의 입장에 대한 홍보 강화 활동을 중시했다. 외교청서에서는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존재감을 높이고 일본의 모습을 신뢰하고 이해하기 위해 일본의 기본적인 입장이나 사고를 국내외로 적극적으로 발신해야 한다. 동시에 일본의 다양한 매력을 발신하여 일본에 대한 관심이나 친밀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대일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 고 밝혔다.

 

외무성의 역할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외무성은 객관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관련 정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발신하며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해외 미디어가 일본의 역사나 영토, 외교정책에 대하여 사실오인이나 부정확한 인식에 기반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사실에 기반하여 신속하게 반론을 제기한다. 동시에 일본의 입장을 냉정하고 적절하게 발신해야 한다. 특히 영토 보호의 분야에서 알기 쉽게 일본의 입장이나 주장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자료를 주요 11개 언어로 작성하고 외무성 홈페이지에서 발신한다”고 하며 “전통문화나 서브컬쳐(sub culture)를 포함한 다양한 일본문화를 소개하고 젊은이들을 시작으로 인적교류, 국제교류기금을 통한 해외의 일본어 보급 등을 실시한다”고 했다. 공공외교를 위해서는 “관계기관과의 연대를 모색하고 재외공관 등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일본을 어필한다”고 했다(外務省 2014). 강태웅(2015)은 일본의 문화정책에 대해 “일본에서는 문화교류를 통해 한중일의 외교적 갈등을 완화하고자 했다. 2004년 일본의 문화교류 정책은 일본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호의를 갖도록 하는 의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공공외교는 보편적인 정의와 국가와 사례에 따른 특수한 정의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공공외교에 대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것은 소프트 파워(soft power)에 기반하여 정부에서 민간으로, 일방에서 양방으로 주체와 행위자가 변화했다는 점이다. 일본의 경우 공공외교에 대해 공공과 홍보, 문화교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역사나 해양영토 분야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의 입장을 적극 주장하고 이를 해외로 발신하는데도 중점을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외교를 통해 혐한이나 반한, 반일과 같은 배타적 인식을 줄일 수 있는가하는 질문을 할 수 있다. 혐한은 주로 우익 또는 애국자 단체나 이를 표방하는 개인이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방송을 하고, 출판, 시위를 통해 표출된다. 따라서 반한이나 혐한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민간을 대상으로 공인된 정보를 통해 이들의 잘못된 오류를 바로잡고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V. 결론

 

한일 간 역사를 둘러싼 갈등이 불거진 가운데 민간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현재 한국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해 주변국과 함께 단계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한반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 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한일 간에는 역사문제와 내셔널리즘을 둘러싼 갈등관계가 지속되고 있다. 일본은 2004년 일본은 유엔에서 ‘동아시아 공동체’를 발표하고 2006년에는 미국과의 군사동맹을 통한 역내 안정자(Built-in Stabilizer)를 내세우는 등 동아시아 역내 질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제시했다. 2016년 일본 정부는 인도태평양 구상을 전명하면서 미국과의 협조 아래 아시아 국가와 관계를 강화했다. 일본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실현하기 위해 미일동맹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하는 한편 인도, 호주, 아세안 국가와의 협력을 상정했다.

 

반면 역사수정주의 대중적 확산과 보수정치의 우경화는 한일 관계에 갈등을 야기했다. 한일 간 역사문제는 일본의 우경화 현상과 결착되어 한일관계를 한층 악화시켰다. 고이즈미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교과서 검정문제, 위안부 문제 등은 한국뿐 아니라 주변국가에서도 반발했다. 2012년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등 역사와 영토를 둘러싸고 한일 갈등이 고착화되었다. 2018년 한국 대법원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일본 수출규제 조치 등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이후 한일 양국에서 새로운 리더십이 탄생하면서 한일 간 협력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지역 질서 가운데 한일 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공공외교를 비롯하여 민간 교류 활성화를 모색하는 한편 한일 협력의 저해 요인인 혐한과 반일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고찰과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

 

 


 

[1] 일본에서는 공공외교를 ‘퍼블릭 디플로마시’라고 부른다.

 

 

참고 문헌

 

강기철. 2020. “일본 혐한 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일본문화학보』 85.

 

_________. 2012. “만화혐한류의 상업적 전략과 보수 저널리즘의 확대.” 『일어일문학』 56.

 

강태웅. 2015. “한일 문화교류는 지속되어야 한다: ‘혐한’(嫌韓)을 넘어서.” 『EAI 일본 논평』.

 

김태환. 2012. “21세기 한국형 ‘신공공외교(New Public Diplomacy)-외교정책의 패러다임 쉬프트와 전략적 맵핑-.” 『주요국제문제분석』 No. 2012-35.

 

남상구. 2010. “일본의 ‘전후처리와 식민지 문제” 『한일관계사연구』 36.

 

노윤선. 2016. “한·일 수교 50주년, 혐한(嫌韓)에 대한 재인식.” 『일본문화연구』59.

 

박수옥. 2009. “일본에서의 혐한류와 미디어내셔널리즘.” <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석주희. 2020. “한일관계 세대분석: 청년세대(MZ세대)가 보는 한일관계”. 『EAI워킹페이퍼』.

 

손열. 2019. “3.1운동 100주년의 길목에서 한일관계를 성찰한다: 저항에서 건설로”, 『EAI논평』

 

______. 2022.“제10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분석-한일관계 개선을 촉구하는 국민 여론, 정책으로 이어질까?” 『EAI이슈브리핑』. 3.

 

송민수. 2016. “한일 넷우익 사이트와 혐한 반일 의식.”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0.

 

야스다 고이치. 2013. 『거리로 나온 넷우익』. 후마니타스.

 

이명희. 2021. “일본 아사히신문 사설에 나타난 균형과 한계 - 21세기 반일·혐한의 한일관계 뛰어넘기-.” 『일본문화연구』 77.

 

정수영. 2009. “일본 내 혐한류(嫌韓流)의 성격과 함의 - <만화 혐한류>의 특징 및 서사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조윤수 편. 2020. 『한일관계의 궤적과 역사인식』. 동북아역사재단.

 

진창수·오승희·석주희. 2023. 『새로운 한일관계 구축을 위한 대일본 공공외교』. 세종연구소.

 

한영균. 2013. “일본 내 혐한류 현상의 실체.” 『일본문화연구』 48.

 

한미애·석주희. 2020. “혐오표현과 규제에 관한 연구: 유럽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한영균. 2013. “일본 내 혐한류 현상의 실체.” 『일본문화연구』 48.

 

히구치 나오토 저. 김영숙 역. 2015.『폭주하는 일본의 극우주의-재특회, 왜 재일 코리안을 배척하는가』.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

 

황병덕 외. 2012. “한반도 통일 공공외교 추진전략(I)”,『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2-12-01: 4.

 

EAI-言論NPO,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2013~2022)

 

_________________, 「2023년 EAI-겐론NPO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일본과 한일관계」

 

外務省. 2004. 「外交青書」. 47.

 

______. 2014. 「外交青書」.

 

田辺俊介. 2011. “「嫌韓」の担い手と要因―2009 年と 2013 年の 2 時点のデータ分析による明”,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紀要』. 63.

 

中央調査社(世論調査分析). 2011. “日本人の「好きな国・嫌いな国」” 『中央調査報』No.575.

 

安田浩一. 2012. 『ネットと愛國: 在特會の 「闇」を追いかけて』. 東京: 講談社.

 

師岡泰子. 2013. 『ヘイトスピーチとは何か』. 東京: 岩波新書.

 

安田浩一.岩田温 外. 2013. 『ヘイトスピーチとネット右翼』. 東京:オークラ出版.

 

永吉希久子. 2019.『ネット右翼とは何か』. 青弓社.

 

 


 

석주희는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이다.

 


 

담당 및 편집: 오준철_EAI 연구보조원
    문의: 02 2277 1683 (ext. 205) | jcoh@eai.or.kr
 

6대 프로젝트

한일관계 재건축

세부사업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시리즈

한일 국민 상호인식(동아시아 인식) 조사

Keyword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