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한국인 그들은 누구인가] 박정희 전 대통령, 경제·정치 발전 1위

  • 2005-10-13
  • 이현우 외 (중앙일보)

노 대통령 택한 유권자 중 65% "지지 철회"
한국전 책임, 북한 43% 미국 20% 소련 14%


정치 발전, 경제 성장, 남북 화해의 세 영역으로 조사한 전.현직 대통령 평가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박 전 대통령이 경제 성장뿐 아니라 정치 발전 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66.6)를 받은 것은 흥미롭다. 한국인은 정치발전을 민주주의나 인권 보호뿐 아니라 국가 안정이나 국가 성장이라는 의미로 넓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명의 대통령별로 3개 영역씩 전체 21개 부문 평가에서 단지 4개 부문에서만 50점 이상의 긍정적 평가가 나왔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2개 분야에서, 김대중.노무현 전.현 대통령이 남북 화해 분야에서 각각 50점 이상을 받았다. 국민이 대통령들의 역할에 전반적으로 불만스러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와 관련, 2002년 대선에서 노 대통령을 택했던 유권자 가운데 65%가 지지를 철회했다. 대선과 2004년 총선 때 다 같이 노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을 찍은 지지자 중에선 57.5%가 현재 대통령의 직무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런 낮은 직무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영역은 경제성장이었다. 존경하는 역사적 인물엔 응답자의 38%가 이순신 장군을 꼽았고, 세종대왕(14.5%)이 둘째였다. 근.현대사 인물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유일하게 3위(10.6%)에 올랐다.

학생층은 전체 평균(52.9%)보다 우리 역사에 대해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지만(61.9%), 특정 인물을 언급하지 않는 비율(30%)이 매우 높다. 학생들의 역사 자긍심이 지식에 기반하지 않고 감성에 치우쳐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전쟁 발발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 국가는 북한(43.5%), 미국(20.5%), 소련(14.4%)과 남한 정부(10.2%)순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20대에서는 북한 대 미국의 책임을 31% 대 29%로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30대는 20대와 40대 이상의 중간 지점에 위치했다.

해방 정국에서 김일성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은 20~30대(7.5%)보다 40대 이상(12.3%)에서 많았다. 특히 30대는 김일성은 부정적, 김구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가장 높았다. 이승만 대통령과 미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선 젊은 세대일수록 부정적이었다.

해방.전쟁 시기 김일성의 역할에 대한 평가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정도는 별 관계가 없었다.

"나는 어떤 다른 나라 사람이기보다 대한민국 국민이고 싶다"는 항목에 70.5%가 "그렇다"고 답했는데, 김일성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중에선 86%가 대한민국 국민이고 싶어했다. "대한민국 국민이고 싶다"가 "한민족의 역사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응답(52.9%)보다 높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대한민국 국민됨의 자부심은 50대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30대가 제일 낮았고, 20대는 한민족에 대한 자부심이 제일 높았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이 김일성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에게서 높게 나타나고, 한민족 역사에 대한 자긍심보다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한민족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과 별개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이 독립적으로 형성됐다고 볼 만하다.

이현우 경희사이버대학교 영미학과 교수 · 김장수 고려대학교 BK21 연구전임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