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여당, 당론 - 지지자 생각 가장 달라

  • 2006-05-06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지지자들은 과연 자신이 선택한 정당의 정책에 동의하고 있을까.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중앙일보가 "정당의 정책"과 "지지자의 생각"이 어느 정도 다른지를 보여주는 "정책 충돌지수"를 작성했다. 정책 충돌지수는 정당과 지지자들이 특정한 정책을 놓고 입장이 상충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수치다. 충돌지수가 높을수록 정당과 지지자들의 입장이 다름을 보여준다.

반대로 충돌지수가 낮으면 해당 정당에 대한 지지자들의 충성도 역시 높다고 유추할 수 있다. 충돌지수는 각 정당이 중앙선관위에 제출한 26개 정책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해 얻었다.

분석 결과 열린우리당은 26개 정책 중 8개가 지지자들의 입장과 상충돼 충돌지수가 30.8%로 가장 높았다.

반면 한나라당은 25개 정책(26개 정책 중 입장을 밝히지 않은 "파병 연장" 제외) 중 4개만 찬반 여부가 엇갈려 16%로 가장 낮았다.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은 19.2%로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중간으로 나타났다.


◆ 여 지지층, 조건부 대북 지원을=열린우리당과 당 지지자의 입장이 다른 정책 8개 중 3개가 외교.안보 분야다. 열린우리당은 지난해 11월 ▶"이라크 파병 연장"에 조건부 찬성 ▶"대북 경제지원의 북핵 연계"에 반대 ▶"국방예산 증액"에 조건부 찬성 입장을 중앙선관위에 제출했다.

그러나 여당 지지자들은 파병 연장에 반대했고, 북핵과 대북 지원을 연계하는 데는 찬성했다. 국방비 증액엔 반대했다. 열린우리당 지지자들은 당의 외교.안보 정책과 엇갈린 성향을 보인 것이다.

파병 연장이나 국방비 증액엔 반대해 보다 "왼쪽"을 지향한 반면 대북 지원에선 북핵과 연계할 것을 요구, 당의 입장보다 더 보수적인 태도를 드러냈다. 교육.환경 분야의 여섯 가지 정책에선 "대학 본고사 도입" 항목에서만 여당 입장(조건부 찬성)과 지지자들의 입장(반대)이 상충됐다.

열린우리당과 지지자의 충돌지수가 다른 당보다 높은 것은 현재 여당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심정적으론 여당을 지지해도 당정이 추진하는 개별 정책에 대해선 반대하는 경향이 높다. 열린우리당 지지층의 이탈이 다른 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충성도 높은 한나라당 지지층=한나라당과 지지자들이 상충하는 정책 4개 중 절반이 교육 분야다. "대학 본고사 도입"에 한나라당은 조건부 반대했지만, 지지자들은 찬성했다. "기여입학제 허용"도 같은 양상(당은 조건부 반대, 지지자들은 찬성)을 보였다.

한나라당 정책 중 지지자들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이중국적 허용" 문제다. 당은 조건부로 찬성했지만, 지지자들은 반대했다. 전반적으로 한나라당의 충돌지수는 열린우리당의 절반밖에 안 된다. 그만큼 당의 생각과 지지층의 생각이 일치함을 보여준다. 이는 지지층이 한나라당에 대해 갖는 충성도가 높고, 쉽게 선호 정당을 바꾸지 않는다는 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나라당이 공천 파문에도 불구하고 높은 지지율을 계속 유지하는 이유에는 지지층이 당을 "자신과 생각이 비슷한 집단"으로 간주하는 기제가 작용했을 수 있다.


◆ 민노당 지지층, 원전 건설 찬성 많아=민주당은 지지층과 엇갈리는 5개 정책 중 3개가

외교.안보 분야다. ▶"대북지원의 북핵 연계"에 반대 ▶"국방예산 증액"에 조건부 반대 ▶"국가보안법 폐지"에 조건부 찬성이 당의 입장이다. 그러나 지지층은 대북 지원과 북핵 연계엔 찬성을, 국방예산 증액엔 찬성을, 보안법 폐지엔 반대했다.

민노당 지지자들의 생각은 당의 입장인 ▶"인터넷 실명제" 반대 ▶"대북지원 북핵 연계" 반대 ▶"원전 건설" 반대와 달랐다. 민노당의 정책이 가장 진보적인 반면 지지자들은 개별 정책에 대해선 일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태도를 보여준 것은 흥미로운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