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I 국가안보패널 보고서] 경제위기 이후 세계질서](/data/bbs/kor_workingpaper/2011041315105858.gif)
[EAI 국가안보패널 보고서] 경제위기 이후 세계질서
| kor_workingpaper | 2011-03-18
고봉준, 김준석, 김치욱, 박성우, 손열, 신범식, 이상현, 이승주, 이재승, 황지환
2009년 9월부터 국가안보패널(위원장 하영선 교수, 서울대학교)이 진행해 온 ‘경제위기 이후 세계질서’ 프로젝트의 최종 보고서가 발행되었습니다. 국가안보패널은 2008년 경제위기 이후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변화와 중국의 부상 가능성 속에서 세계질서가 어떻게 변화하게 될 것인지 살펴보고, 이러한 변환의 흐름 속에서 한국 외교가 추진해야 할 대전략을 모색하기 위하여 ‘경제위기 이후 세계질서’ 프로젝트를 ‘안보,’ ‘경제,’ ‘환경,’ ‘문화’라는 네 영역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아래 NSP Report 시리즈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안보
경제위기 이후 국제 군사안보질서 변화 : 미국의 대응과 안보적 함의
이상현(세종연구소)
고봉준(충남대학교)
황지환(명지대학교)
경제
'복합 네트워크 시기' : 글로벌 금융위기와 세계경제 거버넌스의 변화
김치욱(세종연구소)
손열(연세대학교)
이승주(중앙대학교)
환경
이재승(고려대학교)
탈위기 지구질서와 환경의 국제정치 : 기후변화 대응체제의 현재와 미래
신범식 (서울대학교)
문화
김준석(가톨릭대학교)
경제 위기 이후 지구화 과정과 문화 영역의 변화 추이 : 시민권, 다문화주의, 민주주의, 종교
박성우(중앙대학교)
EAI 국가안보패널 소개
EAI 국가안보패널은 국가이익뿐 아니라 국민의 삶과도 직결되는 외교안보 분야의 아젠다 설정과 정책적 대안 제시를 위하여, 2004년 5월 18명의 외교안보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한반도-동아시아-글로벌’ 세 층위에서의 복합적 분석을 위해, 국가안보패널은 그동안 《21세기 한국외교 대전략: 그물망국가 건설》(2006), 《북핵위기와 한반도 평화》(2006), 《동아시아공동체 : 신화와 현실》(2008), 《21세기 신동맹 : 냉전에서 복합으로》(2010)라는 네 권의 책을 출판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