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16-5호] 국내대학의 위기와 조기유학 인식](../images/bg_tmp.jpg)
[여론브리핑 16호] 교육환경의 변화와 교육소비자의 전략적 선택
[1] 교육문제, 발상의 전환이 절실하다 - 전체연구팀 총론
[2] 교육소비자의 전략적 선택, 해외유학 - 임천순 · 정일준
[3] 조기유학, 어디까지 확산될 것인가? - 서소정 · 정한울
[4] 차기정부의 교육정책, 다층적 복합대책이 절실하다 - 임천순 · 김병국
5. 국내대학의 위기와 조기유학 인식
정한울(EAI 여론분석센터 부소장)
1. 국내대학의 위기에 주목해야 한다
□ 자녀 학년 올라갈수록 공교육 불신 가장 높아 :
대학생 부모 불만 88%, 고등학생 부모 83.5%, 중학생학부모 83.1%, 초등생학부모 78.4%
또한 자녀가 커갈수록 이에 비례하여 한국교육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특히 중고생 학부모보다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공교육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크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무려 88%가 한국 공교육이 불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미취학자녀 포함 취학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70.4%가 공교육에 불만 있다는 응답을 한 반면 초등학생 학부모는 78.4%, 중학생 학부모의 83.1%, 고등학생 학부모의 83.5%가 부정적인 응답을 했다[그림1]. 대학생 학부모들이 공교육에 갖는 불만은 자녀의 대학입시과정을 겪으면서 형성된 측면이 크겠지만 자녀가 받는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불만도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즉 갈수록 깊어가는 취업난 등으로 인해 대학교육을 포함한 교육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진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1] 자녀의 취학학교 단계별 공교육 만족도(%)
□ 좁은 취업시장 앞에 무력한 대학
어렵게 대학 들어가도 대학졸업자 총 취업률 67.3%, 정규직 취업률 49.2% 불과
명문대 프리미엄도 많이 축소돼, 다소 낫지만 사정은 마찬가지.
상위명문 10위권 대학, 정규직 취업률 63.2%, 대기업 취업률 29.6%
대학입시를 통해 어렵게 대학을 진학해도 심각한 문제가 남는다. 교육인적자원부가 2006년 발표한 전국 363개 대학 취업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4년제 대학의 총취업률은 67.3%이고 정규직 취업률은 49.2%에 불과했다. 대학졸업자 2명 중 1명만이 정규직장에 취업하는 셈이다. 그나마 군입대, 대학원 진학자 등을 졸업자에서 제외하여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 취업률은 이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 교육인적자원부 조사에서 졸업자 3,000명 이상을 배출하는 학교 중 총취업율, 정규직취업률에서 상위 10개 대학을 뽑아 평균을 내보면 각각 74.7%와 63.2%에 그쳤다. 상위 10개 학교조차 졸업생 10명 중 4명은 취업을 못하거나 비정규직에 종사하게 된다. 대기업취업률 상위 10개 학교의 평균을 내봐도 29.6%에 불과했다.
상위 명문대와 그 외 대학간 취업률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취업한 직장의 질적인 측면까지 고려하면 명문대에 진학했다 하더라도 치열한 취업경쟁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이 명확해진다. 상위 10위권 대학에서조차 10명 중 4명은 취업에 실패하거나 비정규직에 취업해야 할 만큼 국내 노동취업시장의 문이 좁아진 상태이기 은 과거와 같은 명문대 프리미엄은 사라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취업환경이 갈수록 악화되면서 대학졸업이 취업의 보증수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외국대학에 대한 선호가 늘어가고 조기유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늘어나는 데에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는 국내취업환경의 변화가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표1] 전국대학 및 3000명 이상 졸업생 배출학교 중 각 항목별 취업률 상위 10위대학
2006년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교육인적자원부ㆍKEDI)
□ 조기유학생 급증추세 2001년 7,944명에서 2006년 29,511명으로 크게 늘어
: 유학 연령대 자꾸 낮아져, 초등학생 조기유학이 크게 늘어
자료 : 2006년 유학생 출국 통계, 출처 : 교육인적자원부 홈페이지
□ 보내고 싶은 나라, 보내는 나라 : 영미권에 집중, 중국과 동남아 유학도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