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6월 셋째주

[EAI 컨퍼런스]

제21대 대선 표심 분석과 신정부 과제

동아시아연구원(EAI)은 6월 12일(목) “제21대 대선 표심 분석과 신정부 과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습니다. 참석자들은 6월 4~5일 실시된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수 연합의 분열, 선거무결성 인식과 투표 참여, 청년·여성 유권자의 정치 행동, 지역주의 투표 양상의 변화 등을 중심으로 제21대 대선의 민심을 분석하고, 신정부가 직면한 과제를 논의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언론인들이 토론자로 참여해, 조사 결과의 사회적 함의와 향후 정치적 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 ① 신정섭, 21대 대선에서의 보수의 재편성: 무엇이 윤석열 지지 연합을 분열시켰는가? [영상 보기]
  • ② 임성학, 선거무결성과 부정선거 담론의 정치화: 21대 대선에서 드러난 불신의 정치 [영상 보기]
  • ③ 구세진, 균열의 재구성: 네 후보 투표층이 그리는 보수-진보의 이념 지형 [영상 보기]
  • ④ 한정훈, 청년층의 후보 선택: MZ 세대는 게임체인저인가? [영상 보기]
  • ⑤ 김한나, 제21대 대선 속 20대 남녀: 투표 선택, 이념 성향, 정치 참여 [영상 보기]
  • ⑥ 이재묵, 보수의 심장에서의 균열? 제21대 대선에서 본 지역주의 투표의 변주와 반복 [영상 보기]

[EAI 여론브리핑] 2025 대선 및 동아시아 인식조사 결과 분석

EAI는 한국리서치와 함께 2025년 6월 4-5일 실시한 동아시아 인식조사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공개하였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21대 대선 투표 결정 이유 및 정치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놓고 진영 간 뚜렷한 차이와 함께 진보층의 결집과 보수층의 이탈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양극화 경향은 정치 상황에 대한 평가를 넘어 선거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미중 경쟁 및 갈등, 보호무역 및 첨단기술 경쟁에 대한 국민의 위협 인식이 증가하고, 이에 대응하여 신정부에 경제 외교 강화 등 외교 과제를 주문하는 여론이 감지되었습니다. 아울러 대일 호감도 급증, 남북관계 및 한중관계 개선 기대, 중국의 대북 역할을 중시하는 여론 등 특기할 만한 결과가 포착되었습니다.

[2025 EAI 동아시아 인식조사 결과 분석] ① 신정부에 바라는 “비호감” 중국과의 관계 개선 기대와 과제

이동률 EAI 중국연구센터 소장(동덕여대 교수)은 2025년 EAI 동아시아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한국 국민의 대중국 인식을 토대로 신정부의 대중국 외교 과제를 제시합니다. 이 소장은 중국에 대한 지속적인 비호감 정서가 국민성, 지배 체제 등 본질적 원인에서 비롯되고 있어 장기화 · 고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경제적 측면에서 한중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북한 문제 대응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기대하는 여론이 존재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소장은 신정부가 국민 여론 및 주요국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중 관계 개선을 신중하게 추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소통의 조건을 마련하는 단계적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고 제언합니다.

[북한과 세계] 美 국방장관이 요구한 인태 동맹국의 ‘책임과 비용’

박원곤 EAI 북한연구센터 소장(이화여대 교수)은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 미국 국방장관이 5월 31일 샹그릴라 대화에서 밝힌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동맹국에 대한 요구 내용을 분석합니다. 박 소장은 헤그세스 장관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국가’ 정체성을 재확인하면서, 중국 견제를 위한 미국의 전력 증강 및 동맹국과의 책임 분담 의사를 밝혔다고 설명합니다. 박 소장은 한국도 “안미경중”에 대한 미국의 경고를 염두에 두고, 미국의 동맹 전략에 동참하기 위한 역할을 신중히 모색할 것을 강조합니다.

[ADRN 이슈브리핑] 2025년 한국 대통령 선거의 결과 및 민주주의에 주는 함의(영문)

이재묵 한국외대 교수는 2025년 한국 대선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이후 민주주의의 회복 탄력성을 시험하고, 심화된 사회적 양극화를 보여 주는 사건이었다고 평가합니다. 이 교수는 탄핵부터 선거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민주주의 규범 준수 의지가 발현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선거 결과에서 세대, 지역, 성별, 계층 간 고착화된 균열이 나타났다고 설명합니다. 이 교수는 새로 출범한 이재명 정부가 양극화를 관리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한 제도적 개혁 및 포용적 정치 문화 조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EAST ASIA INSTITUTE 
030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7길 1
Tel 82 2 2277 1683  |  Fax 82 2 2277 1684 | Email EAI
Copyright 2025 ©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