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셋째주

[2050 세계를 위한 한일 공동 협력]

한일 양국의 미래지향적 협력(영문)

동아시아연구원(EAI)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후원으로 일본 아시아퍼시픽이니셔티브(API)와 함께 지난 1년간 진행한 <2050 세계문제 해결 한일 공동연구> 프로젝트의 연구 보고서 열두 편을 발행하였습니다. 연구팀은 안보, 경제, 인공지능(AI) 규범, 기후변화, 그리고 인구 위기 등의 다섯 가지 분야에서 한일 양국이 직면한 미래 공동 위기를 논의하며, 양국 공동 이익을 창출하고 포용적인 역내 및 국제 질서 구축을 위해 한일 간 지속 가능한 파트너쉽 구축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1. 손열, Taking a Future-Oriented Approach to ROK-Japan Partnership[보고서 읽기]
  2. 전재성, Future Military and Security Environments towards 2050: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Korea-Japan Relations[보고서 읽기]
  3. 오기 히로히토(Hirohito Ogi), Adjusting Net Imbalances of Benefits in Complex Geopolitics: Foundational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보고서 읽기]
  4. 테라다 다카시(Takashi Terada), “Shaping the Future: Strategic Economic Governance and Collaboration for Japan-South Korea Partnership towards 2050 [보고서 읽기]
  5. 이정환, The Long-Term Vision for ROK-Economic Cooperation in the Era of De-Globalization and Shrinking [보고서 읽기]
  6. 백서인, Korea-Japan AGI for Science, Science for AGI Cooperation [보고서 읽기]
  7. 시오노 마코토(Makoto Shiono), Safety and Ethics Guidelines for AI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보고서 읽기]
  8. 하라다 다이스케(Daisuke Harada), Prospects of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toward Carbon Neutrality [보고서 읽기]
  9. 임은정, 2050 South Korea-Japan Cooperation in Energy and Climate Change-related Areas: Beyond Energy Security [보고서 읽기]
  10. 한준, How can South Korea & Japan Overcome the Impending Population Risk Together? [보고서 읽기]
  11. 사가라 요시유키(Yoshiyuki Sagara), “Declining Population, Increasing Human-Machine Teaming [보고서 읽기]
  12. 짐보 켄(Ken Jimbo), Conclusion: Leading a Regional order through Strategic Resilience: A Bilateral Partnership Ready for the Future [보고서 읽기]

[ADRN 이슈브리핑] 동남아시아의 민주주의 증진 프레임워크 구축: 아세안 사례의 교훈과 향후 전략(영문)

유현석 경희대 교수는 동남아 지역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아세안의 노력이 지역 내 국가 내정 불간섭 및 합의 기반 의사결정의 원칙 등으로 인해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하면서, 그 대안으로 역내 시민사회 단체 및 역외 민주주의 국가를 아우르는 플랫폼 구축을 제안합니다. 유 교수는 이러한 플랫폼이 역내 각국의 정치적 다양성 및 주권을 보장하는 가운데,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유연하고 포괄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Global NK 논평]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북중 관계 전망

이동률 EAI 중국연구센터 소장(동덕여대 교수)은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북중 관계의 변화를 전망하고 한국의 대응 방향을 제시합니다. 이 소장은 북한이 북러 밀착 속에서도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전략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대북 실무 협력을 제한적으로 확대하면서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미러 관계 변화와 APEC 정상회의 등 외부 요인이 북중 관계에 미칠 영향을 강조하며, 한국이 이를 외교적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저자는 한국이 한미일 협력뿐만 아니라 중국, 러시아, 북한,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여 외교 자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합니다.

[북한과 세계] 국방차관 지명자를 통해 본 트럼프 대외정책 향방

박원곤 EAI 북한연구센터 소장(이화여대 교수)은 엘브리지 콜비(Elbridge Colby) 미국 국방부 정책차관 지명자의 저술 및 청문회 발언을 분석하여,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전략이 중국 견제에 초점을 두면서 세계 각지의 분쟁 해결을 위한 동맹국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박 소장은 콜비 지명자가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북한 위협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한국의 동맹 기여 확대를 위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및 주한미군 재편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진단합니다.

EAST ASIA INSTITUTE 
030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7길 1
Tel 82 2 2277 1683  |  Fax 82 2 2277 1684 | Email EAI
Copyright 2025 ©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