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한일국민 상호인식, 지난해보다 개선, 변화 모멘텀"

  • 2016-07-20
  • 김효정 (연합뉴스)

한일 싱크탱크 조사…韓 "일본 인상 부정적" 답변 11.5%p↓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지난해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양국이 관계개선 노력을 하면서 양 국민의 상대국에 대한 인식도 다소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민간 싱크탱크인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싱크탱크 '겐론 NPO(言論 NPO)'는 20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일 국민에 대한 최근 상호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가운데 일본에 대한 인상이 '좋지 않다', '대체로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같은 조사(72.5%)보다 11.5%포인트 줄어든 61.0%였다.

 

반면 일본에 대한 인상이 '좋다', '대체로 좋다'고 답한 한국인은 지난해(15.7%)보다 소폭 늘어난 21.3%였다.

 

일본인 응답자들도 한국에 대한 인상이 좋지 않다는 답변이 지난해(52.4%)보다 감소해 44.6%를 기록했고, 인상이 좋다는 답변은 다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인상이 부정적이라고 답한 일본인은 36.6%로 지난해(48.3%)와 비교해 11.7% 포인트 줄었다.

 

EAI와 겐론NPO는 "부정적 상호 인식의 벽은 높지만, 변화의 모멘텀이 발견된 것"이라며 "악화 일로를 걷던 상호인식에 제동이 걸렸다"고 평가했다.

 

한일관계에 대한 양 국민의 평가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일 모두 현재 한일관계가 나쁘다고 본 응답자 비율이 지난해보다 15%포인트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관계가 나쁘다고 답한 일본인은 지난해 65.4%에서 50.9%로, 한국인은 78.2%에서 62.3%로 줄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양국관계가 발전하면서 역사문제 역시 서서히 해결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역사문제 해결 없이 양국관계 발전이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론을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싱크탱크는 한국에 부정적 인식을 하는 이유로 '중국 경사론'을 꼽은 일본인은 1.8%에 불과했다며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도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정부가 타결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에 대해서는 한일 국민이 여전히 엇갈리는 인식을 보였다.

 

위안부 합의에 대한 일본인의 평가는 긍정적(48%)이 부정적(21%)의 배 이상이었지만 한국인은 부정적(38%)이 긍정적(28%) 보다 많았다.

 

한국인들은 위안부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로 '더는 역사문제로 한일관계가 발목 잡혀서는 안 되기 때문'(66%)을 주로 꼽았다.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당사자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66%) 등이었다.

 

일본인의 60.9%, 한국인의 56.4%는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로 19일(현지시간) 공식 선출된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동북아 안보가 더 불안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EAI와 겐론NPO는 한일 국민의 인식차를 해소하고 서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2013년부터 매년 상호인식 조사를 해 왔으며 올해가 4번째다.

 

이번 조사는 19세 이상 한국 남녀 1천10명과 18세 이상 일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 6∼7월 실시(한국은 면접조사, 일본은 방문 유치 회수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