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동아시아연구원(EAI)은 지난 15년(2005-2020) 동안 <한국인의 정체성> 조사를 네 차례 진행하였습니다. 2020년 조사결과의 세 번째 워킹페이퍼 시리즈인 “한국인의 생활세계: 결사체, 다문화, 일과 삶, 소통”의 두 번째 보고서로 박성민 성균관대 교수가 집필한 워킹페이퍼를 발간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 사회 형국에 대처하고 있는 한국인의 삶의 질, 직장생활의 질에 대해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량적 분석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함의들을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제도적, 시간 디자인적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유연근무제의 현황과 필요성, 경험에 기반한 일과 삶의 균형과 조화, 스마트한 근무행태와 제도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 아래는 본 워킹페이퍼의 서론입니다. 전문은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I. 서론

코로나 시대를 맞아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높아지고 있는 뉴노멀의 시대, 밀레니얼세대, M-Z세대 등 디지털 세대의 등장, 언택트 및 딥택트 환경의 일상화 등 집단적 시스템에서 개인으로의 중심 이동이 가속화되고 발전적 진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우리가 살아가는 시공간에서의 삶의 행복이란 무엇일까? 행복을 양적 혹은 질적으로 측정, 진단해 볼 수 있는 것일까? 내가 일하는 일터에서의 행복 수준은 과연 어떠할까? 보다 유연하게 직장생활을 영위하는 방법은 없을까?(이효주·박성민 2019) 이러한 일과 삶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들의 행복감 수준을 진단, 파악하고 향후 미래 대한민국 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일과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를 예측,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책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코로나 사태의 원년으로 일컬어지는 2020년을 맞이하여 뉴노멀 및 무경계위험사회 시대에서의 세계적, 국가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함께 이를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다양한 정책들을 논의하는 가운데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 삶의 질, 행복에 대한 영역의 의미와 함의 등 다양한 논의들은 지속적, 심층적으로 담론화될 필요가 있다.

기존 한국인의 정체성 연구가 지난 15년간의 한국인 정체성 조사를 통해 한국인의 의식적, 문화적, 이념적, 인식적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중요한 근거와 자료들을 수집하고 적실한 시사점들을 제공해 왔다면, 이번 ‘다원화 사회와 통합가치’ 편에는 새롭게 일과 삶의 질, 그리고 한국사회의  유연근무제에 대한 조사 및 분석내용이 추가되었다. 우리가 바라보고, 예상하고, 지향하는 미래의 15년의 한국인의 삶과 행복에 대한 소고를 이번에 담아보고자 한다. 본 장에서는 첫째, 코로나 패러다임에서의 한국인들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과 직장생활의 질(Quality of Work Life, QWL)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둘째, 시간적 디자인적 관점과 제도주의적 시각을 투영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국형 유연근무제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WLB), 스마트워크, 언택트(Untact) 및 딥(Deep) 워크 등에 관한 세부적인 정책적 내용들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저자: 박성민_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및 국정전문대학원 교수. 조지아 대학교 (The University of Georgia)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네바다 주립대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조교수, 남가주대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G 연암 학술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겸임교수, 인사혁신처 혁신정책추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공공 인재관리 및 조직관리, 인적자원개발, 플랫폼 거버넌스 등이다. 최근 논저에는 "Do Trust and Culture Matter for Public Service Motivation Development? Evidence from Public Sector Employees in Korea" (2019, 공저), "공직가치 제고를 위한 행동주의적 분석연구: 공공봉사동기의 통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2019, 공저),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조직시민행동, 삶의 질에 관한 연구" (2018, 공저) 등이 있다.

 

■ 담당 및 편집: 서주원 EAI 연구원

           문의: 02 2277 1683 (내선 206) jwseo@eai.or.kr

 


 

[EAI 워킹페이퍼]는 국내외 주요 사안들에 대한 문제의 핵심을 짚어내고 심층 분석한 학술 보고서입니다.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EAI는 어떠한 정파적 이해와도 무관한 독립 연구기관입니다. EAI가 발행하는 보고서와 저널 및 단행본에 실린 주장과 의견은 EAI와는 무관하며 오로지 저자 개인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6대 프로젝트

문화와 정체성

세부사업

한국인의 정체성

Keyword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