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81호] EAI · 중앙일보 · SBS · 한국리서치 2010 지방선거패널조사

6.2 지방선거 5대 지역패널조사 2차 조사

 

1. 6.2 지방선거 5개 지역 표심변동과 그 요인

2. 제2차 5개 지역패널조사 기초분석

 

 


 

EAI · 중앙일보 · SBS · 한국리서치는 공동으로 서울, 경기, 경남, 충남, 전북 등 5개 지역에서 인구비례에 맞게 모집한 600명의 동일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선거 전부터 직후까지 세 차례 패널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며 이번 조사는 두 번째 조사결과이다. 시간 변화에 따라 이 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적한다.

 

 


 

 

천안함 후폭풍 “수도권 강풍, 충남/경남 미풍”

정권심판론의 공감대가 왜 수도권 표심으로 연결되지 못했나?

야권, 중앙풍과 지방풍이 교차하는 지방선거 특성 간과

 

정한울 (EAI 여론분석센터 부소장)

 

6.2 지방선거의 키워드는 ‘바람 선거’로 요약된다. 야권은 초지일관 ‘정권심판론’ 의 바람에 기대 선거운동을 출발하여 ‘노풍’에 대한 바람으로 선거운동을 진행해왔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호남 및 영남 등 각 당의 지역기반이 되는 충남, 경남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한나라당의 우세가 점쳐 지면서 소위 천안함 침몰사건을 계기로 한 북풍이 노풍을 잠재웠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노풍을 투표기준으로 생각하겠다는 응답자는 35.9%에 그친 반면 천안함 사건을 고려하겠다는 응답자는 54.1%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천안함 사건을 투표선택의 기준으로 활용하겠다는 응답자들은 한나라당을, 노풍을 고려하는 응답자들은 민주당 혹은 야권후보를 지지하는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천안함에 노풍이 가리게 되었다는 분석은 일면 타당하다. 실제로 천안함 사건 이전인 5월 10~13일에 서울, 경기, 경남, 충남, 전북에서 조사한 1차 패널조사와 여론조사 허용 기간인 5월 24일~26일 실시한 2차 패널조사를 비교해보면 대통령 지지율이 상승하고, 여론은 전 지역에서 고르게 견제론 보다 안정론에 힘을 실어주는 추세가 드러난다. 외부의 위기 상황에 정부여당에 대한 지지가 상승하는 결집효과(rally around the flag effect)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야당과 적지 않은 국민들이 정부의 천안함 발표에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다고 판단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대통령 지지율을 보면 서울은 2주전 실시한 1차 조사의 49.3%에서 54.1%로 5.2%p, 경기에선 42.5%에서 53.3%로 10.8%p나 상승했다. 충남에서도 41.3%에서 46.3%로, 전북에서도 30.9%에서 35.9%로 각각 5.0%p 상승해 서울의 상승폭과 비슷했다. 경남에서는 50.3%에서 52.4%로 상대적으로 소폭 상승했다. 국정지지율의 상승은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로 생각하는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정권 심판론을 주춤하게 한다. 더구나 천안함 문제에 대해 여야 없이 초당적 협력하는 주장에 대해 5개 지역 평균 88.7%가 공감한다고 밝혀 천안함 이슈로 야권이 여당과 각을 세우는 데 제약이 따른다.

 

그러나 천안함 발표 이후에도 유권자들 사이에 이번 선거를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의 장으로 생각하는 여론은 여전히 남아 있고 여당이 주장한 참여정부 심판론에 대해서는 반감이 컸다.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심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서울 59.1%, 경기 67.3%, 충남 63.2%, 전북 72.0%, 경남에서 63.8%가 동의했다. 반면 노무현 정부 심판론에 대해서는 서울에서 26.0%, 경기 28.1%, 충남 29.2%, 전북 26.8%, 경남 25.3%만이 공감한다고 답했다. 천안함 발표에도 불구하고 야권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상황만은 아니었다.

 

그렇다면 주목할 점은 광범위한 중간평가에 대한 공감대에도 불구하고 표심으로 이어지지 않는가, 또한 같은 친노 후보들 사이에서도 수도권에선 한명숙 후보와 유시민 후보가 고전을 하고 있는 반면, 충남과 경남의 안희정, 김두관 후보는 천안함 이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선두를 다투며 선전하는 이유에 있다. 수도권이 정치적, 지리적 특성 상 중앙정치에 보다 민감하고,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일수록 남북대결 이슈에 둔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 제기되고 있지만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과 경기도 사이에 여론의 편차가 존재할 뿐 아니라, 지방 특히 경남 지역의 경우 천안함 이슈의 영향이 수도권에 비해 적지 않았다.

 

[그림1] 천안함 사건 투표 고려 여부에 따른 지지율 변화

 

[그림2] 노풍 투표 고려 여부에 따른 지지율 변화

 

 

그렇다면 적지 않은 정권견제, 정권심판의 분위기가 표심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도권 야당 후보의 고전과 충남, 경남지역 야당 후보의 선전을 가져온 또 다른 요인은 무엇일까?

 

첫째, 한명숙 후보와 유시민 후보의 지역기반에 기반한 정치활동의 성과 보다는 ‘정권심판론’과 같은 중앙정치의 대결구도와 바람에 기댄 선거운동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조사에서 후보들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한명숙, 유시민 후보의 경우 오세훈, 김문수 후보에 비해 신뢰도, 청렴성, 친근감 등에서 모두 뒤졌고 특히 시도정 능력 평가에 격차가 컸다. 두 후보 공히 정권심판론을 위한 야권후보 단일화에 성공하여 선거운동 이전의 지지율 격차를 어느 정도 좁히는 데는 성공했지만 중앙정치인으로서의 비전과 능력 뿐 아니라 지역발전의 비전과 시/도정 능력에 대한 신뢰를 주는 데는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안희정 후보가 세종시라는 지역최대이슈에 기반하고 있고, 김두관 후보는 세 번째 경남지사 후보에 도전하면서 지역에 상당한 뿌리를 내린 것으로 평가받는 것과 대조적이다[13-14p 참조].

 

둘째, 지방선거는 중앙정치의 선거프레임에 의해서만 유권자들의 선택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경제 상황과 무엇보다 중앙정치에 대한 평가 뿐 아니라 4년간 지방자치를 이끈 지방정부에 대한 평가의 장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과 경기에서 이명박 정부 심판론에 공감하는 사람만 뽑아 오세훈, 김문수 후보의 지난 4년의 시정/도정을 평가해보았다. 서울에서 현 정부 심판론에 공감하는 사람 244명 중에서 50%에 가까운 121명이나 오세훈 시장이 잘했다고 평가했다. 이들처럼 MB 심판론에 동조하지만 오세훈 후보가 잘했다고 하는 사람 중에서는 이번 선거에서 오세훈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39.7%로 한명숙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 34.7%를 상회한다. 경기에서도 MB 심판론자 중 김지사 도정평가에 긍정적인 사람은 45.2%가 김문수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밝혀 유시민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36.3%보다 많았다. 정권심판론 보다 현직자 평가를 우선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안희정, 김두관 후보가 선전하고 있는 충남과 경남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던 많은 지지를 받은 이완구 지사와 김태호 지사가 세종시 문제와 내부 조정에 의해 선거에 나오지 않았던 것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결국 정권심판론 같은 중앙정치 대결구도가 지방선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만 정권심판론 여부에 따라 후보나 정책과 무관한 묻지마 투표를 하지 않아고 누가 더 시정과 도정을 잘 이끌 것인가라는 지방선거 본연의 의미에 대해서도 무게를 두는 유권자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지방에 기반을 갖고 지방현안에 뿌리를 둔 안희정, 김두관 후보가 선전하고 선거를 앞두고 자리를 바꿔 출마한 한명숙, 유시민 후보가 고전하는 핵심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림3] MB 심판론 공감자 중 오세훈 시장 시정평가에 따른 투표선호 차이

 

[그림4] MB 심판론 공감자 중 김문수 지사 도정평가에 따른 투표선호 차이

 

 


 

 

 

박빙의 선거지역, 유동층의 표심이 결정한다

 

임성학(서울시립대)

 

지방선거 패널조사 지역 2차 조사는 5월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경기. 충남, 전북, 경남 지역에서 실시되었다. 이중 접전 지역인 충남과 경남이 서울, 경기, 전북 지역에 비해 아직도 유동층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아직 누구를 찍을지 결정하지 못했다고 밝힌 미결정층의 비율은 서울 15.0%, 경기 16.4%, 전북 13.0%인데 반해 충남 23.3%, 경남은 32.3%로 나타났다. 결국 충남과 경남의 선거의 결과는 다른 선거에 비해 예측하기 어렵고, 이런 미결정층의 표심을 움직일 수 있는 후보가 승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유동층은 어떤 유권자들인가? 유권자의 지지후보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여론조사방법은 똑같은 대상을 여러 차례 조사하는 패널조사만이 가능하다. 1차 조사 때 유동층인 유권자가 특정 후보를 정한 경우를 분석해 보면 이들의 특성과 경향을 밝혀낼 수 있다.

 

지난 번 여론조사보다 높은 지지도를 얻은 충남의 안희정 후보와 경남의 김두관 후보는 경쟁후보보다 상대적으로 유동층을 지지자로 변화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안희정 후보의 경우 지난 조사 당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유동층 153명 중 50명(32.7%)을 이번 조사에서 새로운 지지층으로 흡수한 반면, 박상돈 후보는 31명(20.3%)를 흡수하는 데 그쳤다. 경남에서도 1차 조사 당시 투표후보를 정하지 못한 유동층인 186명 중 18.3%인 34명이 이달곤 후보 지지로 바뀌었지만 김두관 후보 지지로 바뀐 응답자는 23.1%인 43명으로 많았다. 지난 2주간 부동층의 행방은 안희정 후보와 김두관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또한 이들 1차 조사시기 미결정층이었던 유동층 중에서 적극적 투표의향을 밝힌 유권자 중에서는 충남에서는 안희정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층이 37.9%로 가장 많았고, 경남에서도 김두과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아 33.3%였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이들 후보의 현재 지지율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충남, 경남 지역의 유동층이 각각 40.5%, 54.3%로 아직 많아 막판 선거운동에서 유동층의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후보가 승리할 것이다.

 

[그림5] 1-2차 조사간 유동층 분석 (단위 %)

 

[그림6] 1차 미결정층의 투표의향별 지지후보 (단위 %)

 

6대 프로젝트

민주주의와 정치혁신

세부사업

대통령의 성공조건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