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80호] EAI · 중앙일보 · SBS · 한국리서치 2010 지방선거패널조사

6.2 지방선거 5대 지역패널조사 1차 조사

 

1. 6.2 지방선거 최대 쟁점 : 노풍 분석

2. 제1차 5개 지역패널조사 기초분석

 

 


 

EAI/중앙일보/SBS/한국리서치는 공동으로 서울, 경기, 경남, 충남, 전북 등 5개 지역에서 인구비례에 맞게 모집한 600명의 동일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패널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며 이번 조사는 첫 번째 조사결과이다. 선거 후까지 총 세 차례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시간 변화에 따라 이 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적한다.

 

이번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이 끝난 현 시점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어느 정당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대결 구도를 형성하는가이다. 광역단체장 16곳 가운데 9곳에서 친노무현 인사가 야권후보로 나서자 한나라당은 ‘MB 대 친노’라는 신구정권 대결구도를 만들고 친노심판론을 내세우며 대대적인 공세를 펴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야권 후보 단일화를 통해 ‘MB 대 반MB’로 한나라당과의 일대일 구도를 만들며 현정권 심판론으로 맞서고 있다. 특히 서울과 경기에서는 민노당 후보와의 단일화 합의 등 수도권 야4당 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패널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이번 선거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는 노풍의 영향력이 유권자들의 투표 선택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현재의 국면을 소위 ‘산 MB와 죽은 노무현’의 대결로 보는 시각은 타당한지 분석하고자 한다.

 

 


 

 

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 선거변수 될까?

세종시, 4대강, 무상급식 이슈보다 여야 결집 효과 커

 

서현진(성신여대 사회교육과 교수)

 

3월 10일부터 13일까지 5개 지역에서 실시한 한 1차 패널조사 결과를 보면 6.2 지방선거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슈의 경우 이를 투표선택에 고려하겠다는 응답이 무상급식, 4대강, 세종시 등 다른 이슈에 비해 적었다. 그러나 무상급식, 4대강, 세종시 등은 정당 지지자들 간 찬반 입장 차이가 분명한 이슈들로서 지지하는 정당별로 이들 이슈를 투표 선택에 고려하겠다는 비율에 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노대통령 서거 이슈에 대해서는 지역에 상관없이 한나라당 지지자들은 대부분 이를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여기는 반면 민주당과 국민참여당 지지자들의 상당수는 중요한 이슈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민주당과 국민참여당 지지자들의 상당수는 노서거 1주기를 중요한 이슈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 정당지지자들을 대상으로 보면, 5개 지역 모두에서 한나라당 대 민주당과 국민참여당 지지자들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에서는 한나라당 지지자 중에서 14.3%가,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는 무려 62.1%가 투표에 고려하겠다고 답했고. 경기에서도 한나라당 지지자의 22.8%, 민주당 지지자의 56.7%로 나타났다. 경남의 경우 한나라당 지지자의 25.3%, 민주당 지지자의 68.5%였다. 충남은 한나라당 지지자의 20.2%, 민주당 지지자의 63.4%였다. 국민참여당 지지층과 민주노동당 지지층에서도 민주당 지지층과 유사하게 노 서거 1주기 이슈를 투표선택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노서거 이슈의 경우 실제 투표에서도 다른 이슈들에 비해 보다 여야간 정치적 결집을 강화하는 이슈로 보인다.

 

서울만 예를 들더라도 세종시 경우 이를 투표 결정에 고려하겠다는 응답층에서 오세훈 후보를 지지하는 비율이 40.2%, 한명숙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31.4%로 나타났다. 세종시 문제를 투표선택에 고려하지 않겠다는 응답층에서는 오 후보 지지가 41.2%, 한명숙 후보 지지는 27.3%로 나타났다. 세종시 문제를 투표선택의 기준으로 삼는지 여부에 따라 오세훈 후보에 대한 지지강도에서 차이가 나타나지만 어떤 입장이건 오세훈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대강 사업의 경우도 투표할 때 4대강 문제를 고려하겠다는 응답층에서는 오후보 38.1%, 한명숙 후보 지지가 32.6%였고, 고려하지 않겠다는 응답자의 경우 오세훈 후보지지 44.4%, 한명숙 후보지지 23.8%로 나타났다. 투표선택 기준으로 고려할 때 두 후보간 지지율 격차는 줄어들지만 순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6.2 지방선거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무상급식 이슈의 경우도 이를 중요한 투표기준으로 여기는 사람의 39.6%가 오세훈 후보지지, 31.6%가 한명숙 후보를 지지한다. 이를 고려하지 않는 응답층에서는 43.9%가 오세훈 후보지지, 한명숙 후보 지지가 25.2%로 격차가 다소 늘어난다.

 

반면, 노 서거 1주기 이슈를 투표기준으로 고려하느냐 여부는 다른 이슈들에 비해 지지하는 후보 선택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노서거 이슈를 투표선택의 기준으로 고려하겠다는 응답층 중에서 과반수에 달하는 49.0%는 한명숙 후보를 찍겠다고 답했고 19.7%만이 오후보를 찍겠다고 했다. 노 서거 이슈를 고려하지 않겠다고 답한 사람 들에게서는 반대로 오세훈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무려 51.9%, 한명숙 후보 지지는 19.5%로 급감하고 있다. 즉 노서거 이슈를 투표선택의 기준으로 삼는 유권자와 그렇지 않은 유권자들 사이에 지지후보가 상반될 가능성이 크다.

 

결국 노 전대통령 서거 1주기 이슈는 투표선택기준으로 삼을지 여부와 실제 지지하는 후보를 정하는 데 다른 어떤 현안보다 투표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투표선택에서 노 전대통령 관련 이슈를 고려하는 응답자는 한명숙 후보를, 그렇지 않을 경우 오세훈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뚜렷해 양 진영의 지지층 결집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노대통령 서거 1주기를 기점으로 노무현 대통령의 비극적 죽음에 대한 지지자들의 슬픔이나 분노가 정치권의 대결구도 전략인 한나라당 대 ‘친노’ 또는 ‘반MB’라는 연대 형성으로 표출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한나라당 지지자들에게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노대통령 서거이슈가 친노 지지층의 결집으로 귀결될지, 반 MB 지지자들을 결집시키는 중요 변수가 될 지 지켜보는 것도 이번 선거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그림1] 현 정당 지지별 “노 전대통령 1주기”의 투표 시 “고려 하겠다” 비율(%)

 

[그림2] 2006년 지방선거 투표정당별 “노 전대통령 1주기”의 투표 시 “고려” 비율(%)

 

[그림3] 주요 이슈 고려 여부에 따른 여야 지지편차: 서울 사례(%)

 

 

세종시 이슈 고려여부에 따른 투표선택 차이

노 서거 고려여부에 따른 투표선택 차이

4대강 고려 여부와 투표 선택

무상급식 고려 여부와 투표선택  

 


 

 

“MB 대 친노” 구도 현실화될까?

“MB 대 친노” 대결인가, “MB 대 反MB” 대결인가?

서울, 경기, 경남, 충남 사례를 중심으로

 

유성진(이화여대 BK21)

 

6·2 지방선거 후보자가 확정되고 접전지역을 중심으로 선거 열기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하나의 특징은 지난 참여정부의 주축 인물들이 대거 등장, 현 정부의 인물들과 대결구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의 한명숙 후보, 경기 유시민 후보, 경남 김두관 후보 등은 지난 참여정부의 대표적 인물들로 각 지역에서 현 정부의 주축인물들인 오세훈 서울시장, 김문수 경기도지사,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과 각축하고 있다. 이러한 구도 때문에 일부에서는 이번 지방선거를 현 정부 대 지난 참여정부 혹은 MB 대 친노세력 간의 대결로 규정지으려는 모습도 보인다.

 

이번 조사의 결과는 이번 지방선거에 대한 그러한 규정이 지나치게 단순하거나 자칫 왜곡된 규정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노무현 전대통령의 지지율이 가파르게 추락하고 있었던 2006년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을 선택한 유권자들을 참여정부의 핵심지지층이라고 본다면, 이들로부터 서울의 한명숙 후보는 58.8%의 지지를, 유시민, 안희정, 김두관 후보는 각각 45.1%, 40.6% 53.8%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이번 선거에서 친노세력의 결집이 어느 정도 나타나긴 하지만, 그렇다고 선거 자체를 MB 대 친노세력 간의 대결로 규정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님을 알려준다.

 

오히려 참여정부 인사들의 지지자들은 친노세력이 주축이긴 하지만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등 범야권세력, 그리고 무당파에 걸쳐 폭넓게 형성되어 있었다. 각 후보자들의 지지자들의 정당지지 분포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한명숙 후보의 지지자의 경우 가장 많은 48.3%가 민주당 지지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무당파 지지자가 30.3%, 민주노동당 지지자는 5.6%, 한나라당 지지자도 5.6%를 차지하고 있다. 친노정당을 표방한 국민참여당 지지자 들은 한명숙 지지층의 3.9%에 불과하다. 유시민 후보의 지지층 역시 민주당 지지자 46.0%, 무당파 24.4%, 국민참여당 지지층이 8.5%, 민주노동당 지지자 7.4%로 구성된다. 충남의 안희정 후보의 경우도 전체 지지자의 62.1%가 민주당 지지자였고, 무당파 층은 13.6%에 달한다. 경남의 김두관 후보 지지층은 다소 특색이 있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파 층이 전체의 32.5%를 차지하고 있으며 민주당 지지자 18.2%, 특히 한나라당 지지자도 15.6%나 된다는 점이다. 그 뒤를 이어 민주노동당 지지자들이 14.3% 정도다.

 

이와 같은 지지율은 참여정부 인사들의 지지세력이 범야권세력을 포괄하여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번 지방선거의 대결구도가 지난 참여정부가 아닌 현 이명박정부에 대한 지지, 반대여부에 따라 규정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물론 아직 선거 초반이고 각 지역에서 아직 지지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들이 24~45.3%에 이르기 때문에 이러한 구도가 바뀔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지만 아직까지 이번 선거를 MB 대 친노세력 간의 대결로 규정짓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표1] 친노성향 광역단체장 후보 지지자의 정당지지 구성(%)

 

 

 


 

 

6.2 지방선거 선거구도 분석

친노 프레임 부상, 여에 이득인가? 야에 이득인가? 625명 대선패널 분석

반MB 반盧 유권자 향방이 이번 선거의 관건

 

정한울(EAI 여론분석센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적 경호실장 유시민 전 장관이 제1야당 민주당 김진표 후보를 누르고 야권의 경기도지사 후보로 결정되었다. 서울 한명숙, 경남 김두관, 충남 안희정 등 야권 광역단체장 후보의 상당수가 과거 친노 인사들로 채워지면서 여야간 지지율 격차가 줄어들고 있으며 5.23 노 전대통령 서거 1주기를 앞두고 ‘노풍’이 선거정국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불과 얼마전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 충남, 호남을 제외하고 한나라당이 여유있게 앞서가던 판세가 변화하면서 소위 MB냐 노무현이냐라는 이분법적 대결구도로 선거를 이해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EAI/중앙일보/SBS/한국리서치가 지난 대선부터 실시해온 패널조사를 통해 현재 유권자들의 인식유형을 분류해보면 MB 대 친노라는 이분법적 대결구도로 단순화하기 어렵다. 현정부에 대한 태도와 전 정부에 대한 태도를 교차해보면 MB정부에 긍정적이면서 노전정부에 부정적인 ‘친MB반노’와 현 정부에 부정적이면서 친노적 성향의 ‘반MB친노’ 여론과 함께 두 정부 모두에 비판적인 ‘반MB반노’ 여론 및 두 정부 모두에 긍정적인 태도가 공존하는 ‘친MB친노’네 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노정부 심판론이 확산되었던 2007년 대선 직후 실시한 패널조사부터 이번 조사까지 참여한 621명 중 현재 MB정부에 부정적인 반MB 여론이 51.4%, 부정적인 여론은 48,6%로 팽팽하다. 2년 전 조사에서 노무현 대통령에 긍정적인 평가를 했던 응답은 전체 621명 150명으로 24.2%에 그쳤다. 반면 당시 노 대통령 국정에 비판적인 응답은 471명으로 무려 75.8%에 달했다.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국정평가에서 부정적이면서 현 정부에 긍정적인 응답층은 전체 674명 중 274명로 44.1%로 가장 많다. 반면 현 MB 정부에 부정적이면서 참여정부에 긍정적인 ‘친노반 MB’ 성향의 응답자는 총 105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16.9%에 불과하다. MB 대 친노의 대결구도로 갈 때 여당이 유리할 수 있음을 짐작케하는 대목이다.

 

주목할 점은 현재 MB 정부의 국정에도 불만을 가지면서 2007년 당시 노전대통령에도 부정적이었던 ‘반MB반노’ 여론이 총 19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31.7%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MB에도 비판적이지만 과거 친노진영에 대한 거부감도 만만치 않다. 경기지사 단일화과정에서 김진표 지지자의 상당부분이 유시민 지지로 이어지지 않은 것은 김 후보 지지층의 상당부분이 이들 ‘반MB반노’ 성향의 유권자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두 정부 모두에 긍정적인 응답자는 45명으로 전체 7.2%에 불과했다.

 

‘반MB반노’ 성향의 유권자들과 ‘반MB친노’ 성향의 유권자들이 ‘반MB’로 결집할 경우 이번 선거는 'MB 대 반MB' 프레임이 작동하게 되어 정권견제론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이들이 ‘친MB반노’와 연결되면 즉 전임정부 심판론을 매개로 친MB반노와 반MB친노 성향의 유권자들이 결집하게 될 경우 2006년과 같은 표쏠림이 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대가 이루어지지 않고 최소한 현 정부와 이전 정부 모두에 비판적인 여론이 ‘MB 대 친노’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기만 해도 현재 40%가 넘는 지지기반을 가지고 있는 정부여당 쪽이 유리하게 선거정국을 이끌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계산법에 의해 ‘반MB 연합’의 가능성을 차단하고 ‘친노 대 MB’의 구도로 끌고 가려는 한나라당과 ‘MB 대 반MB 연합’을 내세운 민주당 간의 충돌이 선거 초기 국면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야권 일각에서 보여지는 ‘친노마케팅’을 강화하려는 시도들은 한나라당 지지층 결집이라는 역풍과 함께 ‘반MB반노’ 그룹의 친노 거부감을 자극함으로써 반MB 연대를 스스로 약화,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정부와 여당은 50%를 넘나드는 국정지지율에 취해 일방적 독주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정당 분열로 이어질 정도로 골이 깊은 ‘반MB반노’ 진영과 ‘반MB친노’ 진영의 연대를 촉진시켜 스스로 ‘정권견제론’의 촉매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표1] 전 ․ 현직 정부 심판론 교차로 본 선거프레임과 유권자 분포 : (%)

 

6대 프로젝트

민주주의와 정치혁신

세부사업

대통령의 성공조건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