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53호] 대통령 · 한나라당 지지율 하락, 중도실용주의 반대 많아

1. 이대통령 국정지지 상승세 꺾여, 중도실용노선, 서민행보 효과 상쇄

2. 정당지지율 변화 : 한나라당 상승세 꺾이고 민주당도 하락국면

 

 


 

 

한나라당 26.9%, 민주당 21.8%, 6월 대비 각각 2.1%p 씩 빠져, 무당파 30.7%

 

한나라당-민주당 지지율 재역전 뒤 동반 침체
(한) 29.0→26.9(2.1%p↓), (민) 23.9→21.8(2.1%p↓)
영남 한나라당, 호남 민주당 지역균열 유지, 서울은 한나라당 우세, 충청 민주당 우세


결국 비정규직법안 및 미디어법 통과 과정에서 격렬하게 충돌해온 한나라당과 민주당 공히 국민들의 지지를 자신했지만 국민들이 정치권을 바라보는 눈은 싸늘했다.

 

정당지지율에서는 여당인 한나라당과 제1야당 민주당 지지율이 약간 하강 추세를 보여준다. 지난 5월 23일 노무현 대통령 서거로 두 배 이상 벌어지던 양 당 간 지지율 격차가 크게 좁혀졌지만 지난 6월 조사에서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29.0%까지 회복하고 민주당 지지율은 정체되면서 지지율 격차가 다시 벌어지기 시작한 바 있다.


그러나 미디어법 통과 직후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한나라당 지지율은 26.9%, 민주당 역시 21.8%에 그쳤다. 한나라당은 급상승 하던 지지율 곡선이 꺾이고, 민주당 역시 서거 정국 이후 20% 초반 대에 정체된 지지율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민주노동당이 6.6%로 뒤를 이었고 친박연대 4.2%, 자유선진당 3.0%, 창조한국당 2.1%, 진보신당 2.0% 순이었다. 기타 2.7%, 무당파층은 30.7%였다.


[그림3] 7월 정당 지지율 (%)

 

* 7월 조사부터 친박연대를 별도의 보기로 구성하여 조사. 6월 조사 까지는 친박연대 지지율은‘다른
정당(기타)’에 포함되어 있음.


 

[그림4] 한나라당-민주당 정당지지율 변동(2009년 2월-7월)] (%)


* 6월 5일 조사는 정기조사가 아닌 EAI ․ 매일경제 공동 긴급정치현안조사(600명) 결과임


영호남 지역균열 유지, 서울은 한나라당 우세, 충청 민주당 우세

 

지역별로 정당 지지기반을 보면 한나라당의 경우 전통적인 지지기반인 TK 49.4%, PK 32.3%로 민주당에 대해 큰 우세를 보이고, 민주당은 호남에서 50.6%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여전히 지역균열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수도권의 미묘한 인식차이는 주목할 만하다. 서울지역의 경우 한나라당 34.3%, 민주당 19.1%로 한나라당 우위가 유지되고 있는 반면, 인천/경기지역에서는 한나라당 24.4%, 민주당 22.2%로 매우 팽팽한 상황이다. 미디어법 통과이후 의원직 사퇴와 장외투쟁라는 초강수로 반 한나라당 공세를 강화하려는 민주당의 입장에서 볼 때 전국여론 향방의 풍향계라 할 수 있는 서울에서 여전히 지지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상당한 부담거리가 아닐 수 없다.


전체적으로 수도권에서는 한나라당이 앞서는 형국이지만 충청권에서는 한나라당의 지지약세가 두드러진다. 대전/충청지역에서 한나라당 지지율은 계속 하락경향을 보여 왔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9.5%까지 떨어졌다. 반면 민주당은 23.0%로 충청권에서 수위를 기록했다. 다만 충청권에서는 무당파 층이 41.7%로 가장 높아 관망하는 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나라당 일각에서 자유선진당과의 연합에 관심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강원 및 제주의 경우 전체 조사인원이 적어 분석의 한계가 있지만 6월조사에 이어 이번 조사에서도 대체로 한나라당(21.2%)과 민주당(23.1%)간에 지지율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2] 지역별 정당지지 (%)

 

[표3] 정당지지율 변동(2009년 2월-7월) (%)

 

* 6월 5일 조사는 정기조사가 아닌 EAI ․ 매일경제 공동 긴급정치현안조사(600명) 결과임
** 지지정당 없음, 모름/무응답을 합한 값
*** 6월 대비 7월 지지율 증감치(%p). 오차범위가 95% 신뢰수준에 3.5%p 임을 감안하면 각 정당 지
지율의 전월대비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음

 

6대 프로젝트

민주주의와 정치혁신

세부사업

대통령의 성공조건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