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길정아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는 두 주요 정당 지지자들이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과 이들을 대표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평가 간의 편차를 분석하여 현재 한국 정치의 지형을 다면적으로 보여주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길정아 연구교수는 2024년 현재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양 거대 정당의 지지자들 중 상당수가 정당 보다 정당의 대표자들에 대해 더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지지 정당에 대해 가지는 불안, 걱정 등의 인식이 강할 수 록 정당의 대표 정치인인 이재명과 윤석열에 대한 호감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즉, 정당지지세가 강한 유권자들은 정당을 둘러싼 부정적인 상황의 원인을 정당의 제도나 시스템보다는 정당을 이끄는 대표자에게서 찾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1. 들어가며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선거는 2년 전 치러진 대통령선거와 마찬가지로 “역대급 비호감 총선”으로 불리며 진행되었다(연합뉴스 2024/04/09). 선거의 과정에서 정책, 이슈, 인물 등의 영향력이 특별히 눈에 띄게 드러나지 않았으며, 정권 심판론과 야당 심판론이 맞붙을 뿐이었다(한겨레 2024/04/09). 이러한 대립되는 심판론의 중심에는 국민의힘의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가 있었는데, 최근 지지층 일부에서도 이들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가 제기되었다.

           주지하다시피, 2022년 3월 9일에 치러진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양대 정당 후보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팽배했고, 따라서 국내외 언론들은 이 대선을 “비호감 선거(unlikeable election)”, 혐오스러운 선거(distasteful election)“ 혹은 스캔들과 언쟁, 모욕으로 얼룩진 선거(marred by scandals, bickering and insults)” 등으로 명명하였다(Reuter 2022/02/03; The Times 2022/02/13; Washington Post 2022; 연합뉴스 2022/03/10). 후보에 대한 이미지와 평가는 유권자들의 투표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바(안종기·이내영 2018), 각 후보에 대한 비호감의 평가는 이들 후보에 대한 투표 선택의 의향을 낮추는 데 독립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의 윤석열 후보는 높은 지지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한국일보 2021/10/05), 선거의 결과에서도 각각 47.83%, 48.56%라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후보에 대한 스캔들과 여러 의혹에도 불구하고, 정당과 후보가 동일시되어 작동할 수밖에 없는 대통령선거의 정치적 환경으로 인해 두 주요 정당의 지지자들은 이들에게 높은 선호를 유지하였을 가능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2022년 대통령선거가 두 후보를 중심으로 상당히 경합적으로 치러졌음을 고려할 때, 평균적으로 나타난 두 주요 후보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는 사실상 상대 정당 지지자들에게서 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가 강하게 표출되는 동시에 자신의 후보에 대해서는 높은 선호를 보이는 정서적 양극화(affective polarization; Iyengar et al. 2012)가 내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길정아 2022). 그러나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지지하는 정당에 대한 선호와 정당을 대표하는 주요 정치인에 대한 선호가 유리되어 나타나는 것이 현실적으로 보다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지지층 내부의 상이한 태도를 살펴보기에 보다 용이한 정치적 맥락을 제공한다. 더욱이, 당 내부에서도 두 인물에 대한 지지와 반대를 중심으로 한 계파, 소위 친명계와 비명계(연합뉴스 2024/03/14), 친윤계와 비윤계(서울신문 2023/01/23) 등의 계파가 존재하며, 정당 지지층 사이에서도 이 두 인물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 또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선호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글은 두 주요 정당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지지하는 정당과 이들을 대표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 나아가 이들에게 있어 자신의 정당에 대한 우려 혹은 분노 등의 부정적인 인식이 정당과 정치인 중 어디에 보다 명확하게 주어지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두 주요 정당을 중심으로 한 경쟁을 넘어서서, 당내 정치의 동학 또한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선거 정치, 정당 정치의 지형에 대해 보다 다면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은 2024년 국회의원선거 직후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22년 대통령선거와의 비교를 위해 부분적으로 대선 설문조사 자료 또한 사용하였다.

 

2.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국민의힘과 윤석열 호감도

 

먼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의 맥락에서 조사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두 주요 정당과 후보에 대한 호감도를 살펴보았다. 특히, 지지 정당에 따라서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여 지지층의 정당과 후보에 대한 호감도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하단의 <표1>에 보고하였다. 선거의 과정 동안에 불거졌던 두 후보에 대한 “비호감”의 평가에도 불구하고, 지지층은 자신의 후보에 대한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심지어 정당에 대한 호감도보다도 후보에 대한 호감도가 더 높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 대통령선거에서 두 주요 후보와 이들의 지지층을 중심으로 치열한 경합이 이루어졌던 것을 반영한다.

 

<표1> 주요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호감도: 2022년 대통령선거

(가장 부정적: 0, 부정도 긍정도 아님: 5, 가장 긍정적: 10)

          

          한편,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정당과 이들에 대한 호감도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정당보다 이 두 주요 정치인들에 대하여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 특히 흥미로운 발견은 지지층에서 자신의 정당에 대해 여전히 높은 호감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각각 74.808, 72,702),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서는 상당히 낮은 호감도를 표명했다는 것이다(각각 63.079, 59.827). 상술하였듯이, 정당과 후보가 동일시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높은 경합을 이루었던 대통령선거에서와는 달리, 이번 국회의원선거에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지층에서도 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표출하는 응답자들이 상당히 많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표2> 주요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호감도: 2024년 국회의원선거

(가장 부정적: 0, 부정도 긍정도 아님: 50, 가장 긍정적: 10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위의 <표2>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표3>과 같이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는 11.729로, 이들이 국민의힘과 윤석열에 대해 가지는 호감도의 차이인 5.369보다 두 배 이상 큰 편차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나타내는 국민의힘과 윤석열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는 12.876으로, 이들이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에 대해 가지는 호감도의 차이인 7.512보다 두 배에 가까운 편차가 나타났다.

 

<표3>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호감도 대응분석

 

           이후에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자신의 정당과 당시 대통령후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히스토그램을 통해 살펴본다. 먼저, <그림1>과 <그림2>는 각각 2022년 대통령선거의 맥락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과 국민의힘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당과 후보에 대한 호감도의 편차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었는지를 나타낸다. 음(-)의 방향은 정당보다 후보를 더 선호하는 경우를, 0은 두 대상에 대해 무차별한 경우, 양(+)의 방향은 후보보다 정당을 더 선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2022년 대통령선거 전반에 걸친 과정에서 두 후보에 대한 “비호감”의 일반적인 정서가 팽배했던 것과는 달리, 각 정당의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살펴볼 때 정당보다 오히려 그들의 대통령후보를 더욱 선호하는 응답자 비율이 더 많이 분포되어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다.

 

<그림1> 2022년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호감도 차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그림2> 2022년 대통령선거에서 국민의힘과 윤석열 호감도 차이: 국민의힘 지지자

           다음에는 이번 2024년 국회의원선거에서 두 주요 정당 지지자들이 정당과 이 정치인들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살펴본다. 분포를 히스토그램으로 살펴본 결과, 2022년 대통령선거에서의 결과와는 상당히 다른 점을 볼 수 있다. <그림3>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이 자신의 정당과 이재명에 대해 가지는 호감도의 편차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지지층의 33.33%가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선호를 보였지만, 양(+)의 값을 가지는 영역에 상당한 비율의 응답자가 분포해 있어 지지하는 정당에 대해서는 높은 선호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이재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가진 지지층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3> 2024년 국회의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호감도 차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이는 국민의힘 지지자들에게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림4>를 통해 볼 수 있듯이,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자신의 정당과 윤석열에 대해 가지는 호감도의 편차의 분포에서 39.27%의 응답자들이 국민의힘과 윤석열에 대해 동일한 선호를 가졌지만, 국민의힘을 선호하나 윤석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선호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양(+)의 값의 영역에 상당한 비율의 응답자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4> 국민의힘과 윤석열 호감도 차이: 국민의힘 지지자

 

3. 정당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의 원인?

 

상술한 결과들은 2024년 현재 두 주요 정당에 대한 지지자들 중의 상당수는 지지하는 정당에 대한 선호와 각 정당을 대표하는 정치인에 대한 선호에 차이를, 특히 정당에 비해 정치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다음에는 각 정당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정당과 정치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으로 추정한다. 본 설문자료에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 그리고 이들에 대한 분노라는 부정적인 인식에 대한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분석에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지지층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이 자신의 정당에 대해 가지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것이 자신의 정당과 대표 정치인 중 어디에 더욱 명확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이다. 먼저 <표4>는 걱정과 불안감의 영향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보고한 것이며, 이 결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음의 <표5>와 <그림5>, <그림6>에 각 정당별 기울기를 나타냈다.

 

<표4> 정당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정당 및 정치인에 미치는 영향

 

           <표5>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기울기의 계수가 음(-)의 값으로 나타나,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높아질수록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에 대한 호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무당파층과 국민의힘 지지자들에게서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오히려 이재명보다 더불어민주당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보다 크게 미치는 것과 반대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에게서는 자신의 정당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정당이 아닌 이재명에 대한 호감도를 더욱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국민의힘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국민의힘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높아질수록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국민의힘과 윤석열에 대한 호감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국민의힘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 인식이 다른 집단에서는 윤석열보다 국민의힘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컸으나, 지지층에게서는 자신의 정당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정당이 아닌 윤석열에게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5> 걱정과 불안감이 정당과 정치인에 미치는 영향: 기울기

<그림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호감도보다 이재명 호감도의 경우에 더욱 명확한 음(-)의 기울기를 보이고 있다.

 

<그림5>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

더불어민주당 호감도와 이재명 호감도에 대하여

 

또한, <그림6>은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자신의 정당에 대해 가지는 걱정과 불안감은 국민의힘 호감도보다 윤석열 호감도의 경우에 더욱 명확한 음(-)의 기울기로 이어지고 있다.

 

<그림6> 국민의힘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

국민의힘 호감도와 윤석열 호감도에 대하여

 

4. 정당에 대한 분노의 원인?

 

이번에는 각 정당에 대한 분노라는 부정적 인식이 정당과 정치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으로 추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6>에 정리하였다.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자 집단에서 각각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번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각 지지층별 기울기를 <표7>과 <그림7>, <그림8>에 제시하였다.

 

<표6> 정당에 대한 분노가 정당 및 정치인에 미치는 영향

 

 

           <표7>의 회귀분석 결과는 위에서 살펴본 걱정과 불안감이라는 <표5>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분노는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에 대한 호감도를 낮추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무당파층과 국민의힘 지지자들과는 달리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에게서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분노가 정당이 아닌 이재명에 대한 호감도를 낮추는 데에 더욱 명확하게 영향력을 미쳤다. 국민의힘에 대한 분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국민의힘에 대한 분노의 정서가 높아질수록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국민의힘과 윤석열에 대한 호감도가 낮아지는 가운데, 국민의힘 지지자들에게서만 이러한 분노가 정당이 아닌 윤석열에게 더욱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표7> 분노가 정당과 정치인에 미치는 영향: 기울기

    

<그림7>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호감도보다 이재명 호감도의 기울기가 더욱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7>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분노:

더불어민주당 호감도와 이재명 호감도에 대하여

 

또한, <그림8>을 통해, 국민의힘 지지자들에게서 국민의힘 호감도보다 윤석열 호감도의 경우에 더 큰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8> 국민의힘에 대한 분노:

국민의힘 호감도와 윤석열 호감도에 대하여

 

 

5. 나가며

 

이 글은 2024년 국회의원선거의 맥락에서 두 주요 정당의 지지층을 중심으로, 이들이 지지하는 정당과 이들을 대표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평가의 차이, 나아가 이들에게 있어 자신의 정당에 대한 우려 혹은 분노가 정당과 정치인 중 어디에 보다 명확하게 주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통해 지지층의 상당수는 여전히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대해 높은 선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대표하는 정치인인 이재명과 윤석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지층이 자신의 정당에 대해 가지는 부정적인 인식은 지지하는 정당에 대한 호감도보다 각 정당의 대표 정치인인 이재명과 윤석열에 대한 호감도를 더욱 명확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들이 지지 정당의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원인을 정당보다는 이들에게 귀인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결국, 두 정치인이 균질적이고 안정적인지지 기반 위에 놓여 있지는 않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의 선거 정치, 정당 정치의 지형에 대해 보다 다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구체적으로, 향후 국회 내 정치적 권력 배분 구조(power-sharing structure)뿐만 아니라 당내 정치의 동학과도 관련하여 한국 정치의 향방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아가, 이러한 논의는 추후 제도화된 정당 정치, 당내 민주주의, 팬덤 정치 등의 이슈와도 연계된 학술적 논의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길정아. 2022. “”비호감 대선에서 주요 정당 지지자들의 태도는 어떠했을까: 20대 대선에서 당파적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 변화하는 한국 유권자 7: 2022 대통령 선거와 한국 정치: 정권심판론, 세대 갈등, 사회 양극화. EAI.

안종기·이내영. 2018. “투표선택에 미치는 정치후보자 이미지의 효과와 역할: 한국의 2012년 제19대 대통령선거 분석.” 『한국정치연구』 제27집 제1호.

이민영. 2023. “친윤·진윤·비윤·반윤·멀윤까지…與 계파 논쟁.”<서울신문> 1월 23일.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123500009&wlog_tag3=naver

연합뉴스. 2024. “[연합시론] 역대급 ‘비호감’ 총선... 투표만이 정치를 바꾼다.” <연합뉴스> 4월 9일.

https://www.yna.co.kr/view/AKR20240409108700022?input=1195m

류미나. 2022. “역대급 비호감 선거, 역대급 접전으로... 기록 쏟아낸 20대 대선.” <연합뉴스> 3월 10일.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0078300001?input=1195m

정수연, 홍지인. 2024. “민주 현역 교체율 40% 달할 듯... 친명 대약진, 비명 줄탈락.” <연합뉴스> 3월 14일. https://www.yna.co.kr/view/AKR20240314070100001?input=1195m

엄지원, 강재구. 2024. “막판까지 정권심판론... 모든 정책·이슈 ‘압도’.” <한겨레> 4월 9일. https://www.hani.co.kr/arti/politics/election/1135613.html

이성택. 2021. “대선이 이상하다... 악재 터져도 이재명·윤석열 지지율은 ‘언터쳐블’.” <한국일보> 10월 5일.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00417430002584?did=NA

 

Hyonhee, Shin. 2022. “S.Korean Voters Hold Noses as Rivals Land Low Blows in ”Unlikeable Election.“ Reuters. February 3.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skorean-voters-hold-noses-rivals-land-low-blows-unlikeable-election-2022-02-03/

The Times. 2022. “Leaders’ Wives Dragged into Korea’s Election of Unlikeables.” February 13.  https://www.thetimes.co.uk/article/leaders-wives-dragged-into-koreas-election-of-unlikeables-w0hw8vcsh

Michelle Ye Hee, Lee & Min Joo, Kim. 2022. “South Korea’s Pivotal Presidential Election Marred by Scandals, bickering and Insults.” Washington Post. February 8.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2022/02/08/south-korea-presidential-election/

 

■ 저자: 길정아_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 담당 및 편집: 김선희_EAI 연구원
문의: 02-2277-1683 (ext. 209) shkim@eai.or.kr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