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68호] 정기 여론바로미터조사  

1. 전년대비 체감경제 바닥치고, 소득 계층별 인식 격차도 줄어

2. 2010년 전망 : 국가경제에 대한 기대감 크나, 각 분야 전망은 불투명

  

 

 


 

 

올 2월 비해 체감경제 부정평가 크게 줄어 가정경제보다 국가경제 인식 개선 두드러져
체감경제의 양극화 크게 줄고, 체감경제 개선 MB 지지율 떠 받쳐

 

체감경제 바닥 쳤다 : 올 2월 비해 체감경제 부정평가 크게 감소
국가경제 개선 폭 커 : 한국경제 “1년 전에 비해 악화” 93.1%(2월)→36.2%(12월) 급감
가정경제도 비관적 평가 줄어 : 가정경제 “1년 전 비해 악화”50.9%(2월)→ 33.1%(12월)

 

[그림1] 1년 전 대비 가정경제 및 한국경제 평가 변화 : 2009년 2월과 12월(%)


  

주: 무름/무응답은 그림에 포함하지 않음. 한국경제 평가 문항의 경우 2월 조사에서는 모름/무응답이 0.1%였고 12월 조사에서는 2.9%였다. 가정경제 평가문항에서는 모름/무응답 비율이 2월 조사에서 0.1%, 12월 조사에서 0.5%였다. 2월 조사는 1,000명, 12월 조사는 800명 조사결과임

 


올 2월에 실시한 와 12월 19일에 실시한 를 비교하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 상황이 최소한 바닥을 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한국경제 상황에 대한 평가가 크게 개선되었다. 올 2월 조사에서 ‘1년 전에 비해 한국경제가 어떻게 달라졌다고 평가하는지’물어 본 결과 무려 응답자의 93.1%(매우 나빠졌다 58.9%, 약간 나빠졌다 34.2%)가 ‘나빠졌다’고 답했다.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5.4%, ‘좋아졌다’는 응답은 1.4%(매우 좋아졌다 0.1%, 약간 좋아졌다 1.3%)에 그쳤다. 이번 12월 조사에서는 ‘나빠졌다’는 비관적 응답은 36.2%(매우 나빠졌다 8.3%, 약간 나빠졌다 27.9%)로 2월에 비해 무려 56.9%p 줄어들었다.‘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46.5%, ‘좋아졌다’는 응답은 14.4%(매우 좋아졌다 1.2%, 약간 좋아졌다 13.2%)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정부나 IMF, OECD 등의 국제기구가 발표하는 한국경제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이어지고, 국가경제 차원의 거시지표들이 호전된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가정경제에 대한 체감도도 적지 않게 개선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올 2월 조사에서 ‘1년 전에 비해 가정 경제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50.9%(매우 나빠졌다 14.0%, 약간 나빠졌다 36.9%)였고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43.2%,‘좋아졌다’는 응답은 5.8%(매우 좋아졌다 0.5%, 약간 좋아졌다 5.3%)에 불과했다. 12월 조사에서는 가정경제 역시 ‘1년 전에 비해 나빠졌다’는 응답이 33.1%(매우 나빠졌다 8.0%, 약간 나빠졌다 25.1%)로 크게 2월 조사에 비해 17.8%p 감소했다.‘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2월에 비해 늘어나 58.5%였고, ‘좋아졌다’는 응답은 7.8%(매우 좋아졌다 1.0%, 약간 좋아졌다 6.8%)에 그쳐 2월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국가경제나 각 개별 가정경제에 대해 1년 전에 비해 좋아졌다는 평가는 여전히 소수에 불과한 것이 사실이다.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상황이 완전히 회복국면에 진입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국가 및 가계경제가 나빠지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10개월 전에 비해 감소하고 긍정평가가 늘고 있는 추세를 보면 최소한 체감경제가 바닥을 쳤다고 볼 수 있다.


소득계층별 경제 인식격차도 줄어, 저소득층 가정경제 비관 크게 줄어
10개월 새“가정경제 악화”: 저소득층 27.2%p↓, 중간소득층 14.2%p↓, 고소득층 16.4%↓
한국경제 평가, 계층별 인식 고르게 나타나

 

사회경제적 양극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소득계층별 경제 인식 격차가 줄어든 것도 중요한 소득이다. 보통 국가경제 보다는 개인과 가정의 경제생활 상태를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가정경제에 대한 계층별 인식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글로벌 차원, 국가적 차원에서 발생한 경제 쇼크에 대한 반응은 전 계층적으로 고르게 나타날 수 있다. 반면 경제쇼크가 개별가정과 개인의 경제 상태에 미치는 파장은 정부정책이나 당사자의 경제력이나 인맥이나 신용과 같은 사회적 자산크기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큰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가구 월소득 기준으로 나눈 계층집단별로 한국경제에 대한 응답을 비교해보면 지난 2월 조사나 12월 조사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2월 조사의 경우 1년 전에 비해 한국경제가 악화되었다고 답한 비율만 비교해보면 월 가구소득 저소득층(월 200만원 미만)에서 90.6%, 중간소득계층(200~400만원 미만)에서 94.7%였고, 고소득층에서도 93.9%로 고르게 나타났다. 12월 조사결과를 보면 한국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나빠졌다는 응답이 저소득층에서 34.7%, 중간소득에서 38.5%, 고소득층에서 33.2%로 동시에 개선되었다.

 

[그림2] 소득계층별 한국경제에 대한 부정적 평가 비율 변화(2월~12월)
             “1년 전에 비해 한국경제 나빠졌다”고 응답한 비율(%)
 
저소득층 가정경제 악화여론 급감, 중간소득 및 고소득층 악화여론 감소폭은 적어

 

반면 가정경제상황에 대해서는 계층별로 큰 인식격차에 큰 변화가 있었다. 2월 조사에서는  1년 전에 비해 가정경제상태가 악화되었다는 응답이 저소득층에서는 63.9%, 중간소득층에서는 50.1%였지만 고소득계층에서는 41.4%로 큰 격차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경제쇼크가 가정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저소득층에 더 크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12월 조사에서는 이러한 격차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에서 가정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2월 대비 27.2%p 감소한 36.7%였고, 월 가구소득 200~400만원 미만의 중간소득층에서도 전월대비 14.2%p 하락한 35.9%로 나타났다. 월소득 4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에서는 16.4%p 하락한 25.0%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도 저소득층일수록 가정경제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높지만 2월에 비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사이에 가정경제 상태를 바라보는 인식 격차는 크게 줄었다. 이는 지난 해 경제위기 이후 정부의 재정확대 정책이 추진되고 각종 저소득 지원정책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다. 반면 중간소득층이나 고소득층 역시 가정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그 감소폭은 저소득층에 못 미쳤다. 정부가 추진한‘중산층 살리기’나 ‘감세’정책 등의 체감경제 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약했음을 시사한다.
   
[그림3] 소득별 가정경제에 대한 부정적 평가 비율 변화(2월~12월)
            “1년 전에 비해 가정경제 나빠졌다”고 응답한 비율(%)   
 

 

체감경제 개선, 대통령 지지 상승으로 이어져
가정경제 좋다고 볼수록 MB지지 :“개선층”56.1%,“현상유지층”53.1%,“악화층” 25.2%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가정경제인식 개선, MB 지지율 상승요인으로 작용

 

국민들의 체감경제인식의 개선이 대통령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가정경제가 지난 1년 전에 비해 ‘좋아졌다’고 답한 62명 중 무려 56.2%가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한다고 답했고, ‘비슷하다’고 답한 468명 중에서는 53.1%에 달해 전체 평균 44.1%를 크게 상회했다. 그러나 ‘가정경제가 나빠졌다’고 답한 265명 중에서는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한다고 답한 응답이 25.2%에 불과해 지지율 평균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림4] 가정경제 인식별 MB 국정 지지율(%)
 
한나라당 지지층 중 가정경제 호전 시 MB지지 81.1%, 악화 시 60%
민주당 지지층 중 가정경제 호전 시 MB 지지 40.9%, 악화 시 10.2%

 

이에 대해 가정경제상태를 좋게 보는 사람일수록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높은 것이 아니라 반대로 MB를 지지하고, 한나라당을 지지하기 때문에 가정경제를 좋다고 답했다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를 분석해보면 한나라당 지지층은 물론 반한나라당과 반MB 성향이 강한 민주당 지지층에서조차 가정경제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응답층은 그렇지 않은 응답층에 비해 대통령을 지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나라당을 지지한다고 밝힌 225명 중 가정경제가 좋아지거나 현상유지하고 있다고 응답한 층에서는 대통령 지지율이 각각 81.1%, 84.9%나 되지만, 가정경제가 나빠졌다고 답한 응답층에서는 60.0%로 상대적으로 낮은 지지율을 보여준다.

 

반대로 민주당 지지층 160명의 응답을 분석해보면 가정경제를 긍정적으로 응답한 층에서는 40.9%가 대통령의 국정지지를 밝혔고, 비슷하다는 현상유지 층에서는 27.5%로 떨어진다. 가정경제 상황이 나빠졌다고 보는 민주당 지지층에서 국정 지지율은 10.2% 수준에 불과하다. 결국 여야 정당지지라는 정치적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가정경제상태가 대통령 평가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두 전 대통령 서거와 세종시 논란 등으로 하락하던 대통령 지지율이 최근 다시 상승하고 있는 데에는 이러한 경제적 효과가 작용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그림5] 한나라당 지지자 및 민주당 지지자의 가정경제인식별 MB지지율 비교(%)
             대통령 국정운영 “매우 잘함+대체로 잘함”응답 비율

6대 프로젝트

문화와 정체성

세부사업

한국인의 정체성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