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130-2호] EAI·SBS·중앙일보·한국리서치 공동

 

1. 인물요인
2. 이슈별 영향력
3. 이명박 정권 심판론 vs 참여정부 책임론
4. 미디어 활용과 효과
5. 경제인식
6. 정당지지율의 변화

 


 

1. 인물요인

 

- 박근혜 당선인 호감도 5.5점→5.9점, 문재인 후보 호감도 6.1점→5.9점

 

■ 박근혜 당선인에 대한 호감도 점수는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문재인 후보에 대한 호감도 점수와 같은 5.9점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감도 점수결과는 선거 직전 조사에서와는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대선패널 1차 조사가 있었던 8월을 제외하곤 10월, 11월 그리고 대선 직전 패널조사에서는 문 후보의 호감도 점수가 박 당선인을 줄곧 앞섰기 때문이다.

 

[그림18] 후보별 호감도 변화(점)

 

 

■ 그렇다고 연령대별 호감도 점수의 분포 자체가 변화한 것은 아니었다. 50대 이상에서는 박근혜 당선인에 대한 호감도 점수가 높았지만 40대 이하에서는 문재인 후보에 대한 호감도 점수가 여전히 박근혜 당선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림18] 연령대별 호감도 변화(점)

 

 

- 국정운영능력에서는 박 당선인, 도덕성과 소통능력에서는 문 후보 평가 여전히 높아

 

■ 호감도 이외에 도덕성, 국정운영능력 그리고 소통능력에 대한 평가를 대선 직전 패널조사 결과와 대선 직후 패널조사 결과로 나누어 박근혜 당선인과 문재인 후보 간 비교하여 살펴보면, 두 후보 모두에서 대체로 점수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 호감도 점수에서는 두 후보가 같은 점수를 보였으나 국정운영능력에서는 박 당선인이 그리고 도덕성과 소통능력에서는 문 후보가 여전히 앞선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거결과와는 다르지만 인물요인에 있어 문 후보가 박 당선인과 비교하여 뒤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표10] 인물요인의 변화(점)

 

 

- 박 당선인 이념 7.1점에서 7.5점으로 보수 이미지 더욱 강해져

 

■ 후보별 이념평가 점수에서는 대선직후 5차 패널조사에서 박근혜 당선인의 점수는 0점을 매우 진보 그리고 10점을 매우 보수로 하여 7.5점이었다. 유권자 패널들이 박근혜 후보의 이념성향을 그만큼 보수에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문 후보의 이념성향은 4.4점으로 중도에 가까운 약간 진보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지난 5월 총선 직후 패널조사나 11월 3차 대선패널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박 당선인은 좀 더 보수로 그리고 문재인 후보는 좀 더 중도로 이동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림19] 후보별 이념평가 점수 변화

 

 

 

2. 이슈별 영향력

 

- 이슈 영향력 1위, 안철수 후보의 사퇴 및 문재인 후보지원 32.9%

- 이정희 후보 TV토론과 후보사퇴는 15.0%

 

■ 이번 대선에서도 이슈들은 제기되었다. 유권자 패널들이 이들 이슈들에 대해 매긴 영향력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가장 커다란 이슈는 응답비율 32.9%를 나타낸 안철수 후보의 사퇴 및 문재인 후보지원이었다. 이정희 후보 TV토론과 후보사퇴 역시 15.0%의 응답비율을 나타냈다. 국정원 여직원의 비방댓글 의혹이 세 번째로 나타났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일논란, NLL녹취록 공개논란도 4%대의 응답비율을 보였다.

 

[표11] 이슈별 영향력 인식(%)

 

 

■ 이번 18대 대선에서 누구에게 투표를 하였는가에 따라 살펴보면, 우선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를 했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들은 이정희 후보 TV토론과 후보사퇴를 꼽는 비율이 22.4%로 가장 높았으며 안철수 후보의 사퇴 및 문재인 후보지원을 꼽는 비율이 21.0%로 두 번째로 높았다. 국정원 여직원 비방댓글 의혹을 꼽은 비율은 9.7%였고 NLL녹취록 공개논란과 박정희 전대통령 친일논란을 꼽은 비율은 각각 5.9%와 2.8%였다.

 

■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들의 경우 안철수 후보의 사퇴 및 문재인 후보지원을 꼽은 비율이 44.8%로 가장 높았다. 박정희 전대통령 친일논란과 국정원 여직원 비방댓글 의혹을 꼽은 비율이 각각 7.1%와 7.0%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높았다.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했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들에서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던 이정희 후보 TV토론과 후보사퇴를 꼽는 비율은 6.8%에 불과했다.

 

■ 세대별로 살펴보면, 젊은 세대일수록 안철수 후보의 사퇴 및 문재인 후보지원을 꼽는 비율이 높았다. 다른 이슈에 대해서는 연령대별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성을 발견할 수는 없었다.

 

[표12] 주요 변수별 이슈별 영향력 인식(%)

 

 

- 안철수 후보의 사퇴 및 문재인 후보지원, 지지후보 호감 변화 없다 50.3%

- 이정희 후보 TV토론과 후보사퇴, 박근혜 후보 호감 상승 52.0%

 

■ 10개 조사대상 이슈 중 상위 5개 이슈별 영향력이 대선 후보 지지에 미친 영향의 방향, 즉 호감의 상승과 감소 또는 변화 없음에 대해 물어본 결과 몇 가지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우선 안철수 후보의 사퇴 및 문재인 후보지원의 경우 후보 호감에 미친 영향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50.3%로 가장 높았다. 문재인 후보에 대한 호감이 상승했다고 답한 비율은 19.8%였지만 동시에 감소했다고 답한 비율이 11.9%로 조사됨으로써 실질적인 상승비율은 7.9% 포인트(p)였다. 박근혜 당선인의 호감이 상승했다고 답한 비율은 14.4%였고 감소했다고 답한 비율은 3.4%로 조사됨으로서 실질적인 상승비율은 11.0% 포인트(p)였다. 문재인 후보의 실질적인 호감 상승비율보다 높은 결과이다.

 

■ 이정희 후보 TV토론과 후보사퇴는 박근혜 당선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이슈였다. 박근혜 당선인에 대한 호감이 상승했다고 답한 비율은 52.0%였지만 문재인 후보에 대한 호감이 상승했다고 답한 비율은 2.5%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 국정원 여직원 비방댓글 의혹은 상대적으로 박근혜 당선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한 이슈였지만 크기는 작았다. 박근혜 당선인의 호감이 감소했다고 답한 비율은 26.6%였고 문재인 후보의 호감이 감소했다고 답한 비율은 22.0%였다.

 

■ 박정희 전대통령의 친일논란은 박근혜 당선인에게 불리한 이슈였다. 박근혜 당선인의 호감이 감소했다고 답한 비율이 54.5%로 과반에 달했기 때문이다. 다만 전체 이슈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9%에 불과했기 때문에 파급력은 한계가 있었다.

 

■ NLL녹취록 공개논란은 박근혜 당선인의 호감도 상승에 기여한 이슈였다. 박근혜 당선인의 호감이 상승했다고 답한 비율은 33.9%였지만 문재인 후보에 대한 호감이 감소했다고 답한 비율은 23.7%였다.

 

[표13] 이슈별 영향력의 방향(%)

 

 

3. 이명박 정권 심판론 vs 참여정부 책임론

 

- 이명박 정권 심판론 공감한다 48.9%

- 참여정부 실패론 공감한다 28.1%

 

■ 이번 대선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이명박 정부 심판론과 참여정부 책임론이었다. 박근혜 당선인은 이명박 대통령과 같은 새누리당 소속이었고 문재인 후보는 참여정부의 청와대 비서실장 출신이다. 우선 이명박 정권 심판론에 대해서는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이 모두 48.9%(매우 공감한다 24.1%+대체로 공감한다 24.8%)로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의 합인 49.4%(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15.4%+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34.0%)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림20] 이명박 정권 심판론 공감정도(%)

 

 

■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투표 후보별로 살펴보면 차이를 드러낸다.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의 경우 매우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이 4.8%에 불과했으나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경우에서의 응답비율은 44.6%로 매우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림21] 투표후보별 이명박 정권 심판론 공감정도(%)

 

 

■ 세대별 차이도 비교적 선명했다. 40대 이하에서는 이명박 정권 심판론에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이 모두 50%대 이상이었다. 그러나 50대에서는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이 37.9%(매우 공감한다+대체로 공감한다)였고 60세 이상에서의 응답비율은 모두 29.0%(매우 공감한다+대체로 공감한다)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림22] 세대별 이명박 정권 심판론 공감정도(%)

 

 

■ 참여정부 실패론에 대해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은 모두 28.1%(매우 공감한다 8.7%+대체로 공감한다 19.4%)였고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모두 70.3%(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19.9%+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50.4%)였다. 이명박 정권 심판론에 대한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공감도가 낮은 수준에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림23] 참여정부 실패 책임론 공감정도(%)

 

 

■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를 했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들 중 참여정부 실패론에 대해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은 모두 50.4%(매우 공감한다 16.9%+대체로 공감한다 33.5%)였고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모두 47.5%(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41.2%+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6.3%)였다.

 

■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은 모두 6.3%(매우 공감한다 0.9%+대체로 공감한다 5.4%)였고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모두 93.0%(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58.2%+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34.8%)였다.

 

[그림24] 투표 후보별 참여정부 실패론 공감정도(%)

 

 

■ 세대별로 살펴보면 대체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공감한다고 답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19-29세에서 참여정부 실패론에 대해 매우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은 2.5%에 불과했으나 60세 이상에서의 응답비율은 18.5%였다. 반대로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에서 19-29세는 23.9%였고 60세 이상에서는 10.4%였다.

 

[그림25] 세대별 참여정부 실패론 공감정도(%)

 

 

4. 미디어 활용과 효과

 

- 선거정보, 30대까지는 인터넷 40대 이상에서는 TV

- SNS 응답비율 4.3%

 

■ 선거정보를 얻은 미디어를 조사한 결과 TV라고 답한 비율이 44.2%로 가장 높았다. 인터넷이라고 답한 비율은 33.3%였고 신문이라고 답한 비율은 10.4%였다. SNS와 주위사람이라고 답한 비율은 각각 4.3%와 3.8%였다.

 

[그림26] 선거정보 획득 미디어 경로(%)

 

 

■ 세대별로 살펴보면 차이가 있었다. 30대까지는 인터넷을 꼽는 비율이 높았으며 40대 이상에서는 TV를 꼽는 비율이 높았다. 60세 이상에서는 신문을 꼽은 비율(19.8%)이 인터넷을 꼽은 비율(6.8%)보다 높았다. 그러나 50대에서조차 신문을 꼽은 비율은 13.1%로 인터넷을 꼽은 비율 23.8%보다 낮았다. SNS 역시 30대까지에서 5%대를 넘겼을 뿐 다른 미디어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비율을 나타냈다.

 

[표14] 세대별 선거정보 획득 미디어 경로(%)

 

 

- TV 토론, 문 후보 잘했다 39.0% 특별히 잘한 후보 없다 37.9%

- 박 당선인이 TV 토론 잘했다 21.9%

 

■ 이번 대선에서 TV 토론을 시청한 적이 있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의 비율은 71.8%(1,204명)이었다. 이들 중 어떤 후보가 잘했는지를 물어본 결과 문재인 후보라고 답한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다. 특별히 잘한 후보가 없다고 답한 비율이 37.9%였다. 그러나 대선에서 승리한 박근혜 당선인을 꼽은 비율은 21.9%였다.

 

[그림27] TV 토론 시청자(71.8% 1.204명)의 후보 평가

 

 

■ 어떤 후보에게 투표했는가에 따라 살펴본 결과에서도 박근혜 당선인보다는 문재인 후보가 TV 토론을 잘 했다는 평가들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박근혜 후보가 잘했다고 답한 비율은 41.6%였고 특별히 잘한 후보가 없다고 답한 비율은 42.3%였다.

 

■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의 평가는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과 비교하여 자신이 택한 후보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문재인 후보가 잘했다고 답한 비율은 63.7%였으며 특별히 잘한 후보가 없다고 답한 비율은 31.8%였다.

 

■ 세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30대까지는 문재인 후보가 잘했다고 답한 비율과 특별히 잘한 후보가 없다고 답한 비율이 40%대 이상으로 높았다. 40대와 50대에서도 박근혜 당선인보다는 문재인 후보가 잘했다고 답한 경우들이 많았다. 박근혜 당선인이 문재인 후보보다 TV 토론을 잘했다고 답한 비율이 높은 세대는 유일하게 60세 이상에서뿐이었다.

 

[표15] 주요 변수별 TV 토론 시청자(71.8% 1.204명)의 후보 평가

 

 

 

- TV 토론과 지지후보 지지강도, 변화 없다 59.2%

- 17대 대선에서는 45.6%

 

■ TV 토론이 지지후보에 대한 지지강도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이번 18대 대선에서는 변화 없음이라고 답한 비율이 59.2%로 지난 17대 대선에서의 45.6%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더욱 지지나 지지 약화에서는 17대 대선과 비교하여 응답비율이 낮아졌다. 지지후보 변경이나 새로 생김에서도 17대 대선과 비교하여 일부 응답비율이 낮아졌다.

 

[그림28] TV 토론과 지지후보(%)

 

 

■ TV 토론 시청이 지지후보 지지강도에 미친 영향이 크지 않았다는 결과는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가에 따른 차이도 적었다는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지지후보 변경이나 새로 생김으로 답한 비율은 각각 2.6%와 0.6%에 불과했다. 변화 없음의 응답비율은 60.4%였다.

 

■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들 역시 지지후보 변경이나 새로 생김으로 답한 비율이 각각 2.9%와 1.9%에 불과했다. 변화 없음으로 답한 비율은 57.2%로 박근혜 당선인에게서 나타난 조사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표16] 주요 변수별 TV 토론과 지지후보

 

 

5. 경제인식

 

- 가정경제 상황, 매우 좋아졌다 0.4% 좋아진 편이다 8.0%

- 국가경제 상황, 매우 좋아졌다 0.5% 좋아진 편이다 5.6%

 

■ 경제인식은 통상 선거결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여겨진다. 우선 가정경제 상황이 1년 전과 비교하여 어떻게 변했는지에 대한 조사결과는 부정적으로 답한 비율이 긍정적으로 답한 비율보다 높았다. 단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인 경우는 차이 없다에서였다. 이번 패널조사에서 차이 없다의 응답비율은 60.5%로 4월 총선 직후 조사에서의 응답비율 56.8%와 차이가 없었다.

 

■ 이번 5차 조사에서 매우 좋아졌다고 답한 비율은 0.4% 그리고 좋아진 편이라고 답한 비율은 8.0%에 불과함으로서 총선 직후 조사(2차 조사)에서의 응답비율과 차이가 없었다. 그만큼 가정경제 상황이 대체로 긍정적으로 변화하지 못한 채 현상을 유지하는 수준에 있거나 아니면 오히려 나빠졌다고 인식하는 유권자 패널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림29] 가정경제 상황인식(%)

 

 

■ 국가경제 상황인식의 경우, 나빠진 편이라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아 50.5%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4월 총선 직후 조사(2차 조사)에서의 응답비율 43.4%보다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비슷하다고 답한 비율이 26.4%였고 매우 나빠졌다고 답한 비율이 15.8%였다. 결과적으로 유권자 패널들의 대부분이 한국의 국가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강도 역시 4월 총선 직후 시점과 비교하여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30] 국가경제 상황인식(%)

 

 

 

- 가정경제 책임, 나 자신 > 현 정부 > 해외경제 상황 순

- 국가경제 책임, 현 정부 > 나 자신 > 해외경제 상황 순

 

■ 가정경제와 국가경제 악화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본 결과,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공통점에서는 현 정부를 꼽는 비율이 국가경제와 가정경제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는 점이다. 해외경제 상황과 정당 및 국회를 꼽는 비율이 차례로 높았다는 점 역시 공통점이다.

 

■ 차이점은 나 자신을 꼽는 비율에서 나타났다. 국가경제에서 나 자신을 꼽는 비율은 3.6%에 불과했지만 가정경제에서의 응답비율은 30.4%로 높았다.

 

[그림31] 가정경제와 국가경제 악화 책임인식(%)

 

 

■ 가정경제 상황에 대한 책임이 주로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투표 후보별로 살펴보면,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가장 높은 응답비율은 나 자신이었다. 해당 응답비율은 35.5%였다. 그 다음은 해외경제 상황으로 응답비율은 23.8%였다. 현 정부를 꼽은 비율과 정당 및 국회를 꼽은 비율은 각각 22.0%와 6.4%였다.

 

■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의 생각은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과 차이를 보였다. 가장 높은 응답비율은 현 정부였다. 해당 응답비율은 44.4%였다. 나 자신을 꼽은 비율이 24.8%였고 해외경제 상황을 꼽은 비율이 15.3%였다. 정당 및 국회를 꼽은 비율은 7.5%였다.

 

■ 세대별 차이도 나타났다. 나 자신을 꼽는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현 정부를 꼽는 비율은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응답비율이 감소하였다. 해외경제 상황은 모든 연령대에서 20% 안팎의 응답비율을 보였다.

 

■ 지지정당별로 살펴보면, 우선 새누리당 지지자들에서는 나 자신을 꼽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현 정부와 해외경제 상황을 꼽는 비율이 같았다. 민주통합당 지지자들과 무당파에서는 현 정부를 꼽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나 자신과 해외경제 상황을 꼽는 응답비율 순이었다.

 

[표17] 주요 변수별 가정경제 상황 책임인식(%)

 

 

■ 국가경제 상황에 대한 책임인식에 대하여 투표 후보별 결과를 살펴보았다.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에게서도 현 정부라고 답한 비율은 42.0%로 가장 높았다. 해외경제 상황과 정당 및 국회를 꼽은 비율이 각각 33.0%와 10.7%였다.

 

■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에서는 현 정부를 꼽는 응답비율이 71.3%로 가장 높았다. 해외경제 상황과 정당 및 국회를 꼽는 비율이 각각 13.5%와 8.2% 순으로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에서와 결과와 순서가 같았다.

 

■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현 정부를 꼽는 응답비율이 모든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특히 40대 이하에서의 응답비율이 60%대로 높게 나타났다. 해외경제 상황이나 정당 및 국회를 꼽는 비율은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나타났지만 세대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 지지정당별 차이는 비교적 뚜렷했다. 새누리당 지지자들은 현 정부에 대한 책임을 꼽는 비율(43.3%)과 더불어 세계경제 상황을 꼽는 비율(30.9%)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민주통합당 지지자들은 현 정부를 꼽는 비율이 71.3%로 해외경제 상황을 꼽는 비율 13.8%를 압도했다. 무당파들 역시 현 정부를 꼽는 비율이 58.3%로 해외경제 상황을 꼽는 비율 23.7%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표18] 주요 변수별 국가경제 상황 책임인식(%)

 

 

- 가정경제 1년 후 전망, 좋아질 것 30.1% 차이 없을 것 52.0%

- 국가경제 1년 후 전망, 좋아질 것 33.2% 차이 없을 것 35.2%

 

■ 1년 후 전망에서는 국가경제 상황을 가정경제 상황과 비교하여 낙관적으로 보는 비율이 높았다. 국가경제 상황을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모두 33.2%(매우 좋아질 것 3.1%+약간 좋아질 것 30.1%)였고 가정경제 상황을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모두 30.1%(매우 좋아질 것 3.2%+약간 좋아질 것 36.9%)였다.

 

■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국가경제 상황에 대한 전망이 가정경제 상황에 대한 전망과 비교하여 낙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에서 국가경제에 대한 응답비율은 35.2%였지만 가정경제 상황에 대한 응답비율은 52.0%였다.

 

■ 더욱이,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에서 국가경제에 대한 전망이 가정경제에 대한 전망과 비교하여 높은 응답비율을 나타냈다. 국가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유권자 패널들의 비율이 가정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비율보다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림32] 가정경제와 국가경제 전망인식(%)

 

 

■ 가정경제에 대한 주요 변수별 결과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투표 후보별로 살펴보면,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낙관적으로 전망한 응답비율이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의 응답비율보다 높았다. 그러나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에서조차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모두 42.8%(매우 좋아질 것이다 4.8%+약간 좋아질 것이다 38.0%)로 과반에 이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가정경제 전망에 있어 비관적 전망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

 

■ 세대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50대 이상에서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30%대 이상으로 나타남으로서 40대 이하에서의 응답비율 20%대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연령대에서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별로 차이가 없을 것이다와 나빠질 것이다를 합한 비율에 미치지 못하였다.

 

■ 다만 새누리당 지지자들의 전망은 달랐다.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은 모두 49.1%(매우 좋아질 것이다 5.6%+약간 좋아질 것이다 43.5%)였다. 별로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비율은 41.4%였고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한 응답비율은 모두 7.8%(매우 나빠질 것이다 0.9%+약간 나빠질 것이다 6.9%)에 불과했다.

 

[표19] 주요 변수별 가정경제 전망인식(%)

 

 

 

■ 국가경제 전망은 가정경제 전망에서보다 결과 값의 차이를 더욱 분명히 했다. 이번 대선에서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국가경제 전망을 낙관적으로 답한 비율은 모두 50.1%(매우 좋아질 것이다 5.6%+약간 좋아질 것이다 44.5%)였다.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에서의 응답비율은 모두 16.8%(매우 좋아질 것이다 0.9%+약간 좋아질 것이다 15.9%)에 불과했다.

 

■ 세대별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좋아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 비율이 높아졌다. 반대로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별로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한 비율과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한 비율이 높아졌다. 실제 40대까지는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비율은 모두 20%대에 불과했지만 50대 이상에서의 응답비율은 40%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 지지정당별로 살펴보면 새누리당 지지자들 중 국가경제 전망을 낙관적으로 답한 비율은 모두 54.1%(매우 좋아질 것이다 6.7%+약간 좋아질 것이다 47.4%)였지만 민주통합당 지지자들에서의 응답비율은 모두 20.0%(매우 좋아질 것이다 1.0%+약간 좋아질 것이다 19.0%)에 그쳤다.

 

[표20] 주요 변수별 국가경제 전망인식(%)

 

 

6. 정당지지율의 변화

 

- 지지하는 정당 없다 37.7%

- 새누리당 지지율 34.2%에서 35.3%로

- 민주통합당 지지율 25.2%에서 23.0%로

 

■ 정당지지율을 살펴보면,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35.3%였고 민주통합당의 지지율이 23.0%였다. 다른 정당들의 지지율은 모두 1%대 이하였다. 그러나 가장 높은 응답비율은 지지하는 정당 없음의 37.7%였다.

 

[그림33] 지지정당(%)

 

 

 

■ 박근혜 당선인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정당 지지율에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대선 전 36.6%였던 것과 비교하면 1.1% 포인트(p) 높아졌을 뿐이다. 뿐만 아니라 8월, 10월 그리고 11월 패널조사에서의 지지율과 비교하면 오히려 낮아진 결과다.

 

■ 민주통합당의 지지율은 대선 전 25.2%와 비교하면 2.2% 포인트(p) 낮아졌다. 그렇다고 경향성이 변화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는 아니다. 11월 이전에 진행된 패널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 것은 아니다.

 

[그림34] 정당지지율 변화(%)

 

 

■ 몇 가지 변수별로 정당 지지율을 살펴보았다. 우선 대선투표 후보별로 살펴보면 박근혜 당선인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67.9%가 새누리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지지정당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27.1%로 두 번째로 높았다.

 

■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 패널들 중 가장 높은 응답비율은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답한 45.8%였다. 민주통합당을 지지한다고 답한 비율은 43.2%였다.

 

■ 세대별로 살펴보면, 40대까지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음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다. 50대 이상에서는 새누리당을 꼽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 거주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과 인천/경기에서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전/충청과 대구/경북에서는 새누리당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광주/전라에서는 민주통합당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다.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새누리당과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각각 37.6%와 38.9%로 팽팽하였다.

 

[표21] 주요 변수별 지지정당(%)

 

6대 프로젝트

민주주의와 정치혁신

세부사업

대통령의 성공조건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