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128호] EAI·SBS·중앙일보·한국리서치 공동 대선4차 패널조사

 

 

1. 더욱 견고해진 지지층, 초박빙의 대선 판세
2. 부상하는 부동층, 이들의 표심은
3. 선거 이슈
4. 정치효능감과 차기정부 국정과제

 

 

 


 

 

 

본 보고서의 자료는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제108조 “여론조사의 결과 공표금지” 준수를 위해 EAIㆍSBSㆍ중앙일보ㆍ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한 “2012 대선패널 4차 조사”의 결과자료(참여 패널 1,412명) 중 11일과 12일의 결과자료(참여 패널 1,308명)만을 사용한 것임을 밝힙니다. 따라서 최종 조사결과는 본 보고서의 조사결과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더욱 견고해진 지지층, 초박빙의 대선 판세

 

- 박근혜 45.8% 문재인 46.0%

- 선거결과 전망, 투표당일 가봐야 76.4%

 

■ 선거 7일 전, 제18대 대통령선거의 결과는 여전히 예측하기 힘들다. 대선패널 4차 조사 결과에서 유권자 패널들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누구의 손도 들어주고 있지 않았다.

 

■ 다자대결 구도에서 박근혜 후보의 지지율은 45.8%였고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은 56.0%였다. 선거결과를 예측하기 대단히 어려운 초박빙의 경쟁구도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림1] 다자구도 대선후보 지지율(%)

 

■ 대통령에 당선되어서는 안 되는 후보를 꼽는 질문에 대해 유권자 패널들 중 40.3%가 이정희 후보라고 답하였다. 박근혜 후보를 꼽은 비율은 28.8%였고 없다와 문재인 후보를 꼽은 비율은 각각 22.3%와 5.8%였다.

 

[그림2] 당선되어서는 안 되는 후보(%)

■ 선거결과 예측에서도 초박빙의 승부가 될 것이라는 것이 유권자 패널들의 전망이었다. 투표일까지 가봐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76.4%에 달했다. 박근혜 후보가 이길 것이 뻔하다고 답한 비율은 18.4%였고 문재인 후보가 이길 것이 뻔하다고 답한 비율은 5.2%였다.

 

[그림3] 선거결과 전망(%)

 

■ 지지후보별 선거결과 전망에서도 판세예측의 어려움을 읽을 수 있다.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 중 박근혜 후보의 낙승을 전망한 비율은 32.6%였다. 문재인 후보의 지지자들 중 문재인 후보의 낙승을 전망한 비율은 10.9%였다. 지지할 후보가 없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들 중 22.6%는 박근헤 후보의 낙승을 전망했고 문재인 후보의 낙승을 전망한 경우는 없었다.

 

■ 투표일까지 가봐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지지후보에 상관없이 과반수의 응답비율을 나타냈다.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에서의 응답비율은 67.2%였고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에서의 응답비율은 85.2%였다. 지지할 후보가 없다에서의 응답비율은 75.7%였다.

 

[그림4] 지지후보별 선거결과 전망(%)

 

 

 

2. 부상하는 부동층, 이들의 표심은

 

- 견고해진 지지층, 北 장거리 로켓 발사 전후 표심이동 없어

 

■ 대선을 일주일 앞둔 시점에서 93.1%의 유권자 패널들은 이미 표심을 결정한 상황이다. 남은 기간 동안 대단히 특별한 돌발변수가 발생하지 않는 한 지지율 변동의 가능성은 매우 낮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 실제 지난 12일 오전에 있었던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도 불구하고 지지율은 요지부동이었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전날이었던 11일 조사(1,004명)에서의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은 각각 46.1%와 46.4%였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이 발사되었던 12일 조사(304명)에서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은 44.7%로 같았다. 결과적으로 두 후보 진영 모두 상대진영에 그 책임을 물었지만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그만큼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 지지층의 결집 강도가 견고해졌음도 알 수 있다. [그림5] 11일과 12일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 지지율(%)

 

- 3차 조사→4차 조사, 지지자 유지율 박근혜 94.0% 문재인 93.4%

 

■ 투표일이 다가오면서 지지후보 변화 역시 크지 않았다. 지난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진행한 대선패널 3차 조사에서 지지했던 후보를 이번 4차 조사에서 바꾼 유권자 패널들을 살펴보았다.

 

■ 지난 3차 조사에서 박근혜 후보를 지지한다고 했던 유권자 패널 중 이번 4차 조사에서도 박근혜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비율은 94.0%(497명)였다. 박근혜 후보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 6.0% 중 4.3%인 23명은 문재인 후보로 그리고 나머지 1.7%인 9명은 다른 후보나 없다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난 3차 조사에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했던 유권자 패널 중 이번 4차 조사에서도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비율은 93.4%(479명)로 박근혜 후보의 결과에서와 차이가 없었다. 문재인 후보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 6.6% 중 2.9%인 15명은 문재인 후보로, 1.3%인 6명은 이정희 후보로 그리고 2.5%인 13명은 없다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1] 지지후보 변동의 결과와 방향 (1,183명 대상)

 

 

- 부동층 72.5% 투표하겠다

- 고른 특성 보인 부동층

- 부동층 53.2%는 안철수 전 후보 지지자

 

■ 초박빙의 지지율 경쟁이 전개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대선결과의 중요한 열쇠는 지지할 후보가 없다고 답한, 즉 ‘없다’고 답한 부동층이 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선패널 4차 조사에서 부동층의 비율은 6.9%(90명)이었고 이들의 선택에 따라 선거결과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 이들 부동층 90명 중 투표의향층(반드시 투표하겠다+아마 투표할 것이다)의 비율은 72.5%로 낮은 비율은 아니다. 즉 이들 부동층 중 상당수가 아직 어떤 후보에게 투표를 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하지 못한 것이지 투표를 하지 않겠다고 결심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 부동층 90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가 54.0%였고 여자가 46.0%였다. 연령대에서는 19세~29세의 비율이 32.5%로 가장 높았고 50대와 60세 이상의 비율이 각각 11.8%와 12.5%로 가장 낮았다. 이념성향은 진보라고 답한 비율이 25.3%, 중도라고 답한 비율이 42.5% 그리고 보수라고 답한 비율이 28.7%였다.

 

■ 다만 이들 부동층 중 적잖은 비율이 무소속의 안철수 전 예비후보(이하 안철수 전 후보)의 지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철수 전 후보가 출마선언을 한 이후 진행되었던 지난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된 대선패널 2차 조사에서(90명 중 76명 참여) 이들 부동층 가운데 53.2%가 안철수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바 있다.

 

■ 이들 중 당시 2차 조사에서 박근혜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비율은 6.5%였으며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비율은 11.4%였다. 그리고 지지할 후보가 없다고 답했던 비율은 27.6%였다.

 

[그림6] 부동층의 특성(%)

 

 

- 안 전 후보의 문 후보 지원 긍정평가, 부동층은 45.6%

- 문 후보 지지자는 94.4%

 

■ 안철수 전 후보의 문재인 후보 지원에 대해서는 유권자 패널들 중 57.3%의 비율로 긍정적(매우 긍정적이다+대체로 긍정적이다)이라고 답했다. 부정적(매우 부정적이다+대체로 부정적이다)이라고 답한 비율은 40.3%였고 모름/무응답이라고 답한 비율은 2.4%였다.

 

■ 물론 이러한 평가는 지지후보가 누구인지에 따라 달랐다.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 중 긍정적(매우 긍정적이다+대체로 긍정적이다)이라고 답한 비율은 21.2%였지만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에서의 긍정적(매우 긍정적이다+대체로 긍정적이다) 평가 비율은 94.4%에 달했다.

 

■ 반면 부동층(90명)에서의 평가는 엇갈렸다.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비율은 45.6%였고 부정적이라고 평가한 비율은 45.4%였다. 이들 부동층 중 많은 수가 과거 안철수 전 후보를 지지했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여전히 이들 중 많은 수가 안철수 후보 이외의 대선 후보에게 부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림7] 안철수 전 후보의 지원평가(%)

 

3. 선거 이슈

 

- 정권심판론 공감한다, 69.3%

- 박근혜 후보 지지자 중 공감한다, 48.8%

 

■ 선거운동 기간 중 활용되는 선거 모토 중 하나가 정권심판론과 무책임한 야당론이다. 우선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심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에 대해 69.3%의 비율로 공감한다(매우 공감한다+대체로 공감한다)고 답함으로써 정권심판론에 대한 유권자 패널들의 높은 공감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감하지 않는다(전혀 공감하지 않는다+별로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9.4%였으며 모름/무응답의 비율은 1.2%였다.

 

■ 이러한 높은 공감도는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에게서도 나타난다.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 중 공감한다고 답한 비율은 48.8%로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 49.5%와 차이가 없었다.

 

[그림8] 정권심판론에 대한 공감여부(%)

 

[그림9] 지지후보별 정권심판론 공감여부(%)

 

 

 

4. 정치효능감과 차기정부 국정과제

 

1) 정치효능감

 

- 국정은 소수가 좌우한다, 81.7%

- 정치인은 당선되면 달라진다, 92.0%

 

■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정치로부터 효능감을 얻기 위해서다. 정치에 대한 실망감이 안철수 현상을 불러온 것도 정치효능감의 부재 또는 한계와 무관하지 않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대다수 국민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소수의 사람이 정부와 정치를 좌우한다.”는 주장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대체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81.7%에 달한 반면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별로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16.5%에 불과했다.

 

■ 정치인들에 대한 실망감과 불신의 정도를 유추하게 하는 “일반적으로 정치인은 당선된 후 선거 때 행동과 상당히 다르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유권자 패널들의 92.0%가 그렇다(매우 그렇다+대체로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별로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7.4%에 불과했으며 모름/무응답의 응답비율은 0.6%였다.

 

[그림10] 정치효능감 체감 조사결과(%)

 

 

- 정부에 할 말 할 수 있다, 58.4%

 - 내가하는 투표 중요하다, 89.3%

 

■ 그러나 유권자 패널들의 정치참여 욕구는 높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우리 같은 사람은 정부가 하는 일에 대해 말할 자격이나 능력이 없다”는 주장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40.2%였으나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58.4%였다. 모름/무응답으로 답한 비율은 1.4%였다.

 

■ “투표는 아주 많은 사람들이 하기 때문에 내가 투표하는가 안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9.9%에 불과한 반면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89.3%에 달했다. 모름/무응답의 답한 비율은 0.8%였다.

 

[그림11] 정치효능감 입장 조사결과(%)

 

 

- 지지후보별 정치효능감 차이 크지 않아

 

■ 유권자 패널들의 이와 같은 정치효능감 인식은 지지후보별 분석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우선 소수의 사람이 정부와 정치를 좌우한다에 대해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의 72.2%가 그렇다고 답했다.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의 응답비율은 90.9%였다. 없다에서의 응답비율은 84.6%였다.

 

■ 정치인은 당선되기 전과 당선된 후의 선거 때 행동과 다르다에 대해서도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 중 87.7%의 비율이 그렇다고 답했다.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의 응답비율은 95.6%였고 없다에서의 응답비율은 96.1%였다.

 

■ 상대적으로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에서의 응답비율이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에서의 응답비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그렇다고 정치에 대한 실망감이나 불신의 크기가 낮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은 물론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 역시 정치에 대한 강한 실망감과 불신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우리 같은 사람은 정부에 대해 말할 자격이나 능력이 없다에 대해서 및 나의 투표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에서의 응답비율은 그렇지 않다에서 높았다. 우선 우리 같은 사람은 정부에 대해 말할 자격이나 능력이 없다에 대해서는 박근혜 후보 지지자 중 55.7%의 비율로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문재인 후보 지지자 중 62.2% 그리고 없다에서 중 52.9%의 비율로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 나의 투표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에 대해서는 박근혜 후보 지지자 중 88.0%, 문재인 후보 지지자중 91.7%의 비율로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없다에서의 응답비율은 84.8%였다.

 

[그림12] 지지후보별 정치효능감 조사결과(%)

 

 

 

2) 차기정부 최우선 국정과제

 

- 경제적 양극화 1위, 삶의 질 개선 3위

- 2위는 경제성장

 

■ 차기정부가 추진할 최우선 국정과제에 대해 유권자 패널들은 경제성장(21.6%)보다는 경제적 양극화 완화(30.2%)와 삶의 질 개선(17.3%)과 같이 분배 측면의 개선을 주문하는 경우들이 많았다. 국민통합이나 정치개혁을 꼽은 응답비율은 각각 7.5%와 7.4%였고 안보강화ㆍ국제경쟁력 강화ㆍ교육개혁ㆍ남북관계 개선이라고 답한 비율은 5% 미만이었다.

 

[그림13] 차기정부 최우선 국정과제(%)

 

- 박근혜 후보 지지자 1위는 경제성장, 27.9%

- 문재인 후보 지지자 1위는 경제적 양극화 완화 37.8%

 

■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가에 따라 차기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의 순위가 달랐다.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 패널들의 경우 경제성장을 꼽은 응답비율이 27.9%로 가장 높았고 경제적 양극화 완화와 삶의 질 개선을 꼽은 응답비율이 각각 24.9%와 13.1%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11월에 진행한 3차 조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3차 조사에서도 경제성장을 차기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로 꼽은 비율이 27.9%로 가장 높았다.

 

■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 패널들의 경우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 패널들과는 차이를 나타냈다.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나타낸 과제는 경제적 양극화 완화(37.8%)였고 삶의 질 개선(37.8%)이 그 뒤를 이었다. 경제성장을 꼽은 응답비율은 14.4%였다. 이번 조사결과를 지난 3차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한 가지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3차 조사에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의 수는 513명이었다.

 

■ 이번 4차 조사에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의 수는 602명으로 3차 조사에 비교하여 89명이 늘었다.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의 수가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최우선 국정과제에 대한 응답비율에서도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적 양극화 완화는 36.3%에서 37.8%로 늘어났고 경제성장은 15.2%에서 14.4%로 줄었다. 오차 범위 내에서의 변화이지만 문재인 후보에 대한 지지로 이동한 유권자 패널들의 정치적 성향이 분배 측면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들이 많음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결과로도 여겨진다.

 

■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의 또 한 가지 특징은 민주통합당 지지자들과의 비교 결과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민주통합당을 지지한다고 답한 유권자 패널들 중 경제성장을 차기정부 최우선 국정과제로 꼽은 응답비율은 21.1%였다. 반면 경제적 양극화 완화라고 답한 비율은 33.5%였다.

 

■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의 응답비율과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자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 패널들이 정당보다는 다른 이유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표2] 지지후보와 지지정당별 차기정부 최우선 국정과제(%)

 

 

6대 프로젝트

민주주의와 정치혁신

세부사업

대통령의 성공조건

Related Publications